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K컬처 트렌드 2025

K컬처 트렌드 2025

(대중음악, 영화, 드라마, 예능, 웹툰으로 보는 K컬처의 모든 것!)

컬처코드연구소,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정민아, 조일동, 김소원, 윤석진, 안숭범, 강태진, 고윤화, 김영대, 김형석, 나원정, 서은영, 안수영, 이재훈, 임민혁 (지은이)
미다스북스
28,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650원 -10% 0원
1,420원
24,230원 >
25,65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565원
23,085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0,000원 -10% 1000원 17,000원 >

책 이미지

K컬처 트렌드 2025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K컬처 트렌드 2025 (대중음악, 영화, 드라마, 예능, 웹툰으로 보는 K컬처의 모든 것!)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대중문화론
· ISBN : 9791169109949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24-12-24

책 소개

<K컬처 트렌드> 시리즈가 돌아왔다. 2023년과 2024년에 이어 이번 책에서는 연구자, 평론가뿐 아니라 현업 종사자들도 참여하여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 이제 K컬처란 한국에서 한국인에 의해 발생하여 한국 혹은 해외의 일부 마니아층에 의해 소비되는 문화가 아니다.

목차

서문 정민아, 안숭범

I. 대중음악 조일동, 고윤화, 김영대, 이재훈

O. 들어가며

1. 2024년 한국 대중음악 특징과 동향
떠들썩했지만 무엇이 남았을까, 메인스트림
이 길 끝에는 또 다른 세상이 있을 거야, 인디 음악
메인스트림 그 너머, K클래식 도약하다

2. 키워드로 읽는 2024년 한국 대중음악
멀티레이블 체제, 어떻게 봐야 할까?
밴드의 시대, 돌아온 거 맞아?
“APT.” 열풍, 로제 우뚝 서다
‘일코해제’를 외치기 시작한 팬덤
제이팝의 귀환 혹은 부상

3. 2025년 한국 대중음악은 어디로 갈까?
K 없는 케이팝, 정말이야?
버추얼아이돌 진짜 뜰까?
한국 인디 음악 30주년, 축하 혹은 걱정
BTS 전역, 새로운 바람 아니면...
한국인이 좋아하는 음악은 케이팝? 아니, 발라드!
AI 활용과 시스템화된 영화/음악교육 증가

4. 2024년 대중음악 MVP: 데이식스!

II. 영화 정민아, 김형석, 나원정

1. 데이터로 알아보는 2024년 한국영화 시장
영화의 시대는 저무는가?
혼돈의 카오스 속 한국영화 살아있네!

2. 관행이 파괴된 한국영화 시장, 어떻게 극장에 오게 할 것인가
시성비와 체험 중심으로 변해버린 영화 소비 트렌드
뉴노멀 천만 트렌드: 역사, 장르, 프랜차이즈
심화한 스크린 독과점,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이콘셉트 중예산 적중 vs. 중견 감독 웰메이드 좌절

3. 영화관의 변신, 확장된 팬덤 시장
사라진 1억 명의 관객
영화관에서 즐기는 공연 실황, 티켓팅 전쟁의 틈새를 공략하다
영화관으로 간 드라마, 팬덤과 만나는 사적 공간
어린이 관객을 무시하지마! 국산 애니메이션 프랜차이즈 원년
추억의 N차 관람, 재개봉 영화 시장의 형성
유튜브와 브이로그가 영화관으로
정치의 계절, 진영 팬덤이 응원하는 정치 영화

4. 인스타그래머블한 21세기 씨네필 문화
1990년대 씨네필 문화와 닮은 듯 다르게
경제 위기와 독립예술영화, 영화제의 지속가능성
부산영화제가 OTT 영화를 개막작으로 했다굽쇼?

5. 글로벌 시장에서 K무비의 얼굴들
글로벌 광풍의 새로운 주역 <파묘>
효자 수출 품목이 된 아이돌 콘서트 영화

6. 한국 영화산업의 병폐와 제도에 대한 남은 이야기들
떨어지는 객단가, 천만 관객 수에 집착하는 문화
문 닫는 영화관과 서울 집중화 현상, 그리고 N차 관람

7. 2025년 한국영화의 새로운 장면: “모든 것이 영화가 되었다”
대작이 돌아오지만, 투자 고갈이라는 난항
중예산 영화의 밝은 전망, 문체부 6000억 펀드라는 단비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된 해외 시장, 글로벌 3.0 시대 열렸다
글로벌 무대로 확장된 명장의 귀환
팬이 주도하는 영화문화

8. 2024년 한국영화 MVP: 황정민

III. 드라마 & 예능 윤석진, 안수영

0. 야만적 플랫폼 시대의 선한 캐릭터 발굴

[드라마] 격변의 시대, 정중동의 생존을 모색하는 드라마

1. 스토리텔링: 낭만적 사랑과 문제적 현실
로맨스의 캐릭터 변주: 젠더 감수성의 영향으로 관계 전복
‘회빙환’의 판타지: 문제적 현실의 극적 해결 장치
시즌제와 스핀오프: 세계관의 공유와 확장
주말드라마와 막장드라마의 퇴조

2. 캐릭터: 주체적 여성과 자기모순의 남성
정서적 교감으로 유대하는 연대하는 여성(들)
남성적 권력과 제도에 맞서는 주체적 여성
하마르티아(Hamartia)의 윤리적 함정에 빠진 남성
BL(Boy Love)과 GL(Girl Love)의 로맨스 주체

3. 배우: 청년의 두각과 중견의 역할 변신
청춘 로맨스 <선재 업고 튀어>의 변우석과 김혜윤
젠더 감수성을 반영한 로맨스 드라마의 김수현과 정해인
청년 여성을 대변하는 김태리/남지현/신혜선
이미지 변신에 성공한 장나라/김남주/김희선

4. 플랫폼: 레거시 미디어의 위축과 글로벌 OTT의 영향력 강화
드라마 제작 편수 감소와 드라마 IP의 독점
‘18세 시청등급’과 ‘19금’ 드라마의 격차 확대
OTT 플랫폼의 장르적 한계
고전 드라마의 재발견

5. 2025년 K드라마를 엿보다
시대(과거)에 관한 극적 성찰
추리 스릴러와 로맨스의 장르 드라마 외연 확장
크리에이터의 활성화와 신인 작가의 발굴
여성 연출가의 활약과 젠더 감수성의 강화

6. 2024년 드라마 MVP: 김태리

[예능] 성장 둔화의 시대, 적자생존의 예능

1. K예능의 현주소
TV 예능의 부익부 빈익빈
유튜브 예능의 계속된 약진
OTT 예능의 영토 확장

2. MC 전성시대의 종말
리얼 버라이어티의 퇴조
유튜브로 간 국민 MC들

3. 진정성 있는 착한 승부
스포츠와 예능의 바람직한 결합
이 시대의 착한 예능

4. 2025년 K예능 이렇게 흘러갈 것이다
시즌제와 스핀오프의 크로스 플랫폼
준셀럽(quasi-celebrity) 포맷의 증가
요리 예능의 르네상스

5. 2024년 예능 MVP: <흑백요리사: 요리 계급 전쟁>
글로벌 시청자 맞춤 전략
반전의 쾌감

[부록] 드라마 & 예능, 이런 일 저런 일
로맨스의 연애 감성
코리안 트위스트(Korean Twist)의 반전
캐릭터들의 착한 대결

IV. 웹툰 김소원, 강태진, 서은영, 임민혁

1. 망가 비켜, 이젠 웹툰이야!
픽코마 vs 라인 망가, 일본 대첩
웹툰 나스닥에 입성하다.
「WEBTOON」 시즌 2는 미국에서
슈퍼히어로와 싸워서 이기는 법
‘파리지엥’도 ‘웹툰’을 본다고?

2. 안 보는 사람은 있어도 한 번만 보는 사람은 없는, BL(Boys’ Love)
형도 읽어? 응, 나도.
포르노그래피와 로맨스 사이
잘생긴 애 옆에 잘생긴 애

3. 미디어믹스 레벨 업: 웹툰이 정복하는 세상
최애로 만든 굿즈? 이건 못 참지

4. 웹툰 스튜디오, 독이 든 성배일까?

5. 2025년 웹툰, 위기는 기회다
디바이스에 찰떡인 웹툰이 날다
답은 결국 IP
다양하게 쪼개지는 취향의 소비자
플랫폼 파워로 웹툰의 성장 DNA 완성

6. 2024년 웹툰 MVP: <정년이> - 웹툰에는 있고 드라마에는 없는 것

7. 더 이야기할거리
결국 AI 웹툰 작가가 등장할 것인가?

[부록] 그녀들이 남성 동성애에 탐닉하는 이유

저자소개

정민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결대학교 영화영상학과 교수. 영화평론가. 국제영화비평가연맹 한국본부 출판이사, 한국영화학회 편집위원, 한국영상문화학회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공저로 『K컬처 트렌드 2025』, The Korean Cinema Book(근간), 『영화는 역사가 아니다』, 『K컬처 트렌드 2024』, 『K콘텐츠 코드』, 『다시 한국영화를 말하다: 코리안 뉴웨이브와 이장호』, 『봉준호 코드』 등이 있다.
펼치기
조일동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예술학부 교수. 문화인류학자. 대중음악 웹진 <음악취향Y> 편집장, 한국대중음악학회·한국시각인류학회 연구이사, 한국대중음악상 선정위원을 맡고 있다. 미디어 기술과 대중문화 변화에 관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으며, 저역서로 『K컬처 트렌드 2025』, 『다시 한국영화를 말하다: 코리안 뉴웨이브와 이장호』, 『K컬처 트렌드 2024』, 『신해철 다시 읽기』, 『공감대화』, 『미국 대중음악』 등이 있다.
펼치기
안숭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영화평론가. 시인. EBS <시네마천국>을 진행한 바 있으며 현재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소장으로 한류에 관한 비교문화학적 연구, 스토리콘텐츠 방법론 연구를 하고 있다. 저서로 Contemporary K-Cinema and K-Dramas, 『환멸의 밤과 인간의 새벽』, 『SF, 포스트휴먼, 오토피아』, 『K컬처 트렌드 2025』 등이 있다.
펼치기
서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에리카) 문화콘텐츠전략연구소 학술연구교수. 만화평론가. 부천만화대상에서 학술평론상을 수상했으며 한국만화영상진흥원 만화포럼위원으로 활동했다. 저서로 『K컬처 트렌드 2025』, 『웹툰, 시대를 읽다』, 『박기정』, 『이정문』, 『주호민』 등이 있다. 현재 대학에서 웹툰과 스토리텔링을 강의하고 있다.
펼치기
김소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학술연구교수. 만화연구가. 한국만화웹툰학회 편집위원장, 대중서사학회 편집위원,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저서로 『시대가 그려낸 소녀-한·일 순정만화의 역사』, 『만화웹툰작가 평론선-김진』, 『만화웹툰작가 평론선-무적핑크』, 『만화웹툰작가 평론선-이빈』, 『만화웹툰작가 평론선-강경옥』 등이 있고, 공저로 『K컬처 트렌드 2025』, 『K컬처 트렌드 2024』, 『2024 K-콘텐츠: 한류를 읽는 안과 밖의 시선』, 『웹툰』 등이 있다.
펼치기
고윤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 태학사 연구원,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한류연구센터 공동연구원이다. 서울대학교 작곡과(이론 전공) 및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연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디지털 음악 산업의 사회학적 구조 분석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벅스·네오위즈에서 음악 콘텐츠 제작 및 기획자로 일했으며, 국립경찰대학교 교양학과 외래교수, 경희대학교 국제대학원 응용예술학과 겸임교수, 숭실사이버대학교 엔터테인먼트학과 특임교수, 한국대중음악학회 학술연구이사, 한국싱어송라이터협회 이사직을 역임했다. 현재 이화여대에서 음악산업과 사회학 관련 강의를 하고 있으며, 문화기술융합 컨소시엄(AFA) 디렉터로 문화 콘텐츠 산업 분야와 학계의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 공저서로 『예술경영과 예술행정』(2020), 『음악의 이해와 감상』(2020), 『K컬처 트렌드 2023』, 『K컬처 트렌드 2024』, 『K컬처 트렌드 2025』 등이 있으며, “블록체인 시스템을 활용한 음악 산업 동향 분석 및 미래 가치 전망”, “포스트코로나 시대, 3D 입체 사운드 기술과 언택트 공연의 진화”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디지털화에 따른 음악 산업의 구조 분석과 음악의 사회적 기능 변화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펼치기
윤석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드라마평론가. 한국비평문학회 회장과 한국극예술학회 편집위원장을 맡고 있다. 서울드라마어워즈와 백상예술대상 등 드라마 어워즈의 심사위원으로 활동하였다. 「텔레비전드라마 <시크릿 가든>의 경제적 타자성과 판타지 장치」, 「<한뼘 드라마>의 양식 실험과 드라마 플랫폼 환경 변화」 등의 논문, 『K컬처 트렌드 2025』, 『텔레비전드라마, 역사를 전유하다』, 『텔레비전드라마, 판타지를 환유하다』, 『텔레비전드라마, 권력을 현상하다』 등의 공저가 있다.
펼치기
나원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일보> 문화부 기자. 영화잡지 <스크린> 에디터로 시작해 <무비위크>, <맥스무비 매거진>, <매거진M> 기자로 일했다. JTBC 아침&, KBS 라디오 등 여러 매체에서 영화 리뷰와 산업 기획 기사를 전해왔다. 저서로 『K컬처 트렌드 2025』, ChatGPT와의 협업으로 완성한 SF 앤솔러지 『매니페스토』가 있다.
펼치기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엮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는 세계인의 일상을 바꾸고 있는 K-콘텐츠의 문화 혼종성을 파악하고 그 의미와 가치를 인문적으로 성찰합니다. K-콘텐츠를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정책과 제도, 산업과 기술, 미디어와 플랫폼, 대중의 수용 문화 면에서 초국가적 맥락을 확인해야 합니다.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는 한류와 K-컬처, K-콘텐츠 연구를 포괄하면서 동시대 스토리콘텐츠에 대한 현장 지향적 학술장을 순발력 있게 주도해 나갈 것입니다. https://kcsc.khu.ac.kr
펼치기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의 다른 책 >
강태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코니스트 대표이사. 웹툰·망가 데이터베이스전문가. SICAF 집행위원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한국웹툰산업협회 부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기업에서 <폴리와 함께하는 교통안전 이야기> 등 다양한 콘텐츠 관련 일을 진행했으며, 최근 10년간 웹툰, 웹소설, 망가 관련 IT 서비스 개발에 매진해왔다. 웹툰·망가 정보 <cocoda>, 불법복제 모니터링 <JIKIDA>, 웹툰매거진 <웹툰가이드> 등의 서비스가 있다. 공저로 『K컬처 트렌드 2025』가 있다.
펼치기
안수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MBC 예능본부 PD. 제33대 한국PD연합회장을 역임하였으며, <복면가왕>, <나 혼자 산다>, <쇼 음악중심>, <라디오스타> 등 예능프로그램의 CP를 맡은 바 있다. 연출작으로 <전지적 참견시점>, <일밤-은밀하게 위대하게>, <생방송 음악캠프>, <느낌표-책을 읽읍시다> 등이 있다.
펼치기
이재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뉴시스>에서 사회부와 문화부를 거쳐 대중음악을 담당하고 있다. 네이버 문화재단 온스테이지 기획위원을 거쳐 현재 한국대중음악상(KMA) 선정위원을 맡고 있다. 서울문화재단, 국립극장 등에 비정기적으로 공연, 음악 관련 글도 기고하고 있다. 공저로 『K컬처 트렌드 2025』가 있다.
펼치기
임민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콘텐츠랩블루 운영 총괄(COO). 웹툰 <검술명가 막내아들> 등을 제작했다. LG전자, 네오위즈, AMD, 키다리스튜디오 등 콘텐츠와 비콘텐츠 부문에서 국내, 해외사업을 담당하였으며, 웹툰산업에서는 키다리스튜디오 국내·해외 사업 총괄을 거쳐 현재는 사업 및 조직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공저로 『K컬처 트렌드 2025』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735515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