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K컬처 트렌드 2024

K컬처 트렌드 2024

(영화, 드라마, 예능, 웹툰, 대중음악으로 보는 K컬처의 모든 것!)

컬처코드연구소,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정민아, 이현경, 조일동, 김소원, 고윤화, 고일권, 김선영, 김영대, 김형석, 배동미, 백태현, 정덕현, 정명섭, 조한기 (지은이)
미다스북스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22,500원 -10% 0원
0원
22,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0,000원 -10% 1000원 17,000원 >

책 이미지

K컬처 트렌드 2024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K컬처 트렌드 2024 (영화, 드라마, 예능, 웹툰, 대중음악으로 보는 K컬처의 모든 것!)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대중문화론
· ISBN : 9791169104333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3-12-28

책 소개

각 분야에서 활약하는 평론가, 창작자, 기자 등을 모아『K컬처 트렌드 2023』을 냈던 이들이 다시 한 번 모였다. 이번에는 웹툰까지 포함하여 부문을 확대했고, 드라마 부문에서는 예능까지 포괄하여 내용을 풀어냈다.

목차

서문

I. 영화

1. 한국영화의 현재를 진단하다
2. 한국영화 제작 현실을 읽다
3. 변화된 영화관 흥행 코드
4. 독립영화와 영화제
5. AI에 대항하는 영화인
6. 2024년 한국영화 전망
7. 2023 영화 MVP: 마동석

II. 드라마 & 예능

1. K드라마와 예능의 현주소
2. K사극의 매력
3. K웹툰의 힘
4. K드라마와 SF 장르
5. 한국형 시즌제 드라마
6. K예능의 잠재력
7. 2024년 드라마 & 예능 전망
8. 2023 드라마 MVP: <무빙>

III. 웹툰

1. 웹툰과 AI
2. 웹툰 IP 확장과 글로벌 진출 전략
3. 웹툰 창작 환경의 변화와 저작권 침해 문제
4. 플랫폼 다변화와 출판만화
5. 2024년 웹툰 전망
6. 2023 웹툰 MVP: 강풀

IV. 대중음악

0. 수면 위로 부상한 한국 대중음악의 근본적인 고민
1. 2023년 한국 대중음악의 현재를 읽다
2. 2023년 한국 대중음악을 읽는 토픽 4가지
3. 2024년 한국 대중음악 전망
4. 2023 한국 대중음악 MVP: 뉴진스

[부록1] 객단가를 아십니까: 티켓값 상승에도 객단가는 크게 늘지 않았다
[부록2] 휘청이는 충무로 잡아줄 구세주는 여성 감독
[부록3] 한국식 시즌제 드라마, 과연 효과를 내고 있나
[부록4] <연인>이 병자호란의 역사를 그리는 방식
[부록5] 2023년 영미권, 일본 인기 웹툰 순위
[부록6] 웹툰의 글로벌 확산 과정에서 플랫폼의 역할
[부록7] 신곡 내자마자 음원차트 ‘올킬’…다시 도래한 ‘영웅시대’
[부록8] 한미 합작 글로벌 K팝 그룹, 세계시장에서도 통할까

저자소개

정민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결대학교 영화영상학과 교수. 영화평론가. 국제영화비평가연맹 한국본부 출판이사, 한국영화학회 편집위원, 한국영상문화학회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공저로 『K컬처 트렌드 2025』, The Korean Cinema Book(근간), 『영화는 역사가 아니다』, 『K컬처 트렌드 2024』, 『K콘텐츠 코드』, 『다시 한국영화를 말하다: 코리안 뉴웨이브와 이장호』, 『봉준호 코드』 등이 있다.
펼치기
조일동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예술학부 교수. 문화인류학자. 대중음악 웹진 <음악취향Y> 편집장, 한국대중음악학회·한국시각인류학회 연구이사, 한국대중음악상 선정위원을 맡고 있다. 미디어 기술과 대중문화 변화에 관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으며, 저역서로 『K컬처 트렌드 2025』, 『다시 한국영화를 말하다: 코리안 뉴웨이브와 이장호』, 『K컬처 트렌드 2024』, 『신해철 다시 읽기』, 『공감대화』, 『미국 대중음악』 등이 있다.
펼치기
정명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3년 서울에서 태어났으며, 대기업 샐러리맨과 바리스타를 거쳐 2006년 역사 추리 소설 『적패』로 작가 활동을 시작했다. 픽션과 논픽션, 일반 소설부터 동화, 청소년 소설까지 다양한 분야의 글을 쓰고 있다. 현재 전업 작가로 활동 중이다. 대표작으로는 『빙하 조선』 『기억 서점』 『미스 손탁』 『어린 만세꾼』, 『유품정리사-연꽃 죽음의 비밀』 등이 있으며 『학교괴담 도서관의 유령』을 비롯해 다양한 앤솔러지를 기획하고 참여했다.
펼치기
정덕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중문화평론가이자 칼럼니스트. 어려서부터 TV를 끼고 살던 그를 어머니는 커서 뭐가 될까 걱정했지만 좋아하는 걸 계속하다 보니 드라마, 예능, 영화 보고 음악 들으며 글 쓰고 방송하고 강연하는 일로 먹고살고 있다. 대중문화가 가진 통속성이 때론 그 어떤 위인들의 철학만큼 우리네 삶에 영향을 미친다고 믿고 있는 그는, 그래서 드라마 한 편을 통해 나누는 수다와 주장들이 실제 현실을 바꾸는 중요한 힘이라고 생각한다. 평론가로 불리며 어쩔 수 없이 평가하는 일을 하고 있지만, 그보다는 대중들과 공감하고 소통하는 걸 더욱 소중하게 여기는 사람이다. MBC 시청자 평가원, JTBC 시청자 위원으로 활동했고, 백상예술대상·대한민국예술상 심사위원이며 SBS 〈열린TV 시청자 세상〉, KBS 〈연예가중계〉와 〈비인칭 시점〉, MBC 〈무한도전〉 등 다양한 방송에 출연했다. 저서로는 『숨은 마흔 찾기』, 『드라마 속 대사 한마디가 가슴을 후벼팔 때가 있다』, 『다큐처럼 일하고 예능처럼 신나게』 등이 있다.
펼치기
이현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화평론가. ‘씨네21 영화평론상’을 수상. 대한민국영화대상, 부일영화상 심사위원, 국제영화제 평가위원으로 활동했다. 평론집 『영화, 내 맘대로 봐도 괜찮을까?』, 공저 『K콘텐츠 코드』, 『봉준호 코드』, 『대중서사장르의 모든 것』 등이 있다. 단편영화 <행복엄마의 오디세이> 등을 연출했다.
펼치기
백태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학술연구교수. 한국영화학회 학술이사를 역임했고 현재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경희대·동국대·인하대 등에 출강하고 있으며 한국영화사와 한류를 연구하고 강의하고 있다. 공저로 『영화란 무엇인가?』(2022), 『K컬처 트렌드 2024』(2023) 등이 있다.
펼치기
김소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학술연구교수. 만화연구가. 한국만화웹툰학회 편집위원장, 대중서사학회 편집위원,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저서로 『시대가 그려낸 소녀-한·일 순정만화의 역사』, 『만화웹툰작가 평론선-김진』, 『만화웹툰작가 평론선-무적핑크』, 『만화웹툰작가 평론선-이빈』, 『만화웹툰작가 평론선-강경옥』 등이 있고, 공저로 『K컬처 트렌드 2025』, 『K컬처 트렌드 2024』, 『2024 K-콘텐츠: 한류를 읽는 안과 밖의 시선』, 『웹툰』 등이 있다.
펼치기
조한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화평론가. 만화평론가.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학술연구교수. 2018년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평론상과 한국콘텐츠진흥원 주관 만화비평 공모전 대상을 수상해 등단했다. 캐릭터 중심의 스토리텔링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유럽영화감독』, 『영화로 읽는 도시』 등을 공저했다.
펼치기
고윤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 태학사 연구원,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한류연구센터 공동연구원이다. 서울대학교 작곡과(이론 전공) 및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연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디지털 음악 산업의 사회학적 구조 분석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벅스·네오위즈에서 음악 콘텐츠 제작 및 기획자로 일했으며, 국립경찰대학교 교양학과 외래교수, 경희대학교 국제대학원 응용예술학과 겸임교수, 숭실사이버대학교 엔터테인먼트학과 특임교수, 한국대중음악학회 학술연구이사, 한국싱어송라이터협회 이사직을 역임했다. 현재 이화여대에서 음악산업과 사회학 관련 강의를 하고 있으며, 문화기술융합 컨소시엄(AFA) 디렉터로 문화 콘텐츠 산업 분야와 학계의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 공저서로 『예술경영과 예술행정』(2020), 『음악의 이해와 감상』(2020), 『K컬처 트렌드 2023』, 『K컬처 트렌드 2024』, 『K컬처 트렌드 2025』 등이 있으며, “블록체인 시스템을 활용한 음악 산업 동향 분석 및 미래 가치 전망”, “포스트코로나 시대, 3D 입체 사운드 기술과 언택트 공연의 진화”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디지털화에 따른 음악 산업의 구조 분석과 음악의 사회적 기능 변화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펼치기
고일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웹툰작가. 만화가. 2013년 데뷔하여 꾸준히 사극 작품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네이버웹툰에서 사극 <칼부림>을 연재중이며 그 외 다양한 플랫폼에서 <1894-동학 최후의 전투 장흥석대들>, <여식>, <별을 품은 아이> 등 다수의 작품을 연재하였다.
펼치기
배동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화 주간지 《씨네21》 기자. 영화진흥위원회 발간 월간지 《한국영화》 필자로도 활동 중이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에서 영상이론을 전공했으며, 공저로 『세상을 구하는 영화관』, 『이상한 나라의 학교』, 『내 몸에 독이 흐른다? TV에도 독이 흐른다!: 2014 좋은 방송을 위한 시민의 비평상 수상집』이 있다.
펼치기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엮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는 세계인의 일상을 바꾸고 있는 K-콘텐츠의 문화 혼종성을 파악하고 그 의미와 가치를 인문적으로 성찰합니다. K-콘텐츠를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정책과 제도, 산업과 기술, 미디어와 플랫폼, 대중의 수용 문화 면에서 초국가적 맥락을 확인해야 합니다.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는 한류와 K-컬처, K-콘텐츠 연구를 포괄하면서 동시대 스토리콘텐츠에 대한 현장 지향적 학술장을 순발력 있게 주도해 나갈 것입니다. https://kcsc.khu.ac.kr
펼치기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의 다른 책 >
김선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TV평론가. 칼럼니스트. 《경향신문》에 ‘김선영의 드라마토피아’, 《시사인》에 ‘K콘텐츠의 순간들’ 연재 등 다수 매체에 칼럼을 기고하고 있다. 서울국제드라마어워즈, 한국방송대상 등 여러 콘텐츠 시상식 심사위원을 역임했으며, SBS와 MBC 시청자평가원을 비롯해 다양한 TV비평 프로그램에 출연하고 진행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9104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