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2024 K-콘텐츠 : 한류를 읽는 안과 밖의 시선

2024 K-콘텐츠 : 한류를 읽는 안과 밖의 시선

안숭범, 사토 유우, 강유정, 일레인 게리니, 서영호, 켄트 A. 오노, 지승학, 안톤 비텔, 이승제, 크리스티안 돈란, 김소원, 하기하라 유카리 (지은이),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엮은이), 김소원, 한혜민 (옮긴이)
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경희대학교출판부)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000원 -0% 0원
0원
16,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2024 K-콘텐츠 : 한류를 읽는 안과 밖의 시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2024 K-콘텐츠 : 한류를 읽는 안과 밖의 시선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대중문화론
· ISBN : 9788982227738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24-02-25

책 소개

한류 20년,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에서는 『2024 K-콘텐츠: 한류를 읽는 안과 밖의 시선』을 통해 한류 현상을 주도하는 K-콘텐츠를 대상으로, 작지만 흥미로운 ‘글로컬’ 담론장을 만들기로 했다.

목차

서언 동시대 K-콘텐츠를 통한 대화의 장을 기대하며/ 안숭범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
PART 1 괴물은 어디에서 출현하는가
- 부동산 공화국의 지옥도와 ‘황궁아파트 레짐’/ 안숭범
PART 2 한국 영화의 진화를 보여주는 〈콘크리트 유토피아〉
- 한국사회의 현실에서 비롯된 리얼리티와 불평등이 만연한 세계의 보편성/ 사토 유우
• 웹툰 〈유쾌한 왕따〉 vs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

[드라마] 더 글로리
PART 1 공공의 판타지, 유예된 복수의 서사 전략/ 강유정
PART 2 〈더 글로리〉, 가장 한국적인 복수 서사/ 일레인 게리니
• 현실에 〈더 글로리〉가 미친 영향

[K-팝] 뉴진스, 《Get Up》
PART 1 케이팝과 팝 사이, 뉴진스가 세상을 끌어안는 법/ 서영호
PART 2 뉴진스, K팝의 세계화 속 전략적 영향력 행사/ 켄트 A. 오노
[예능] 피지컬: 100
PART 1 〈피지컬: 100〉에서 완벽한 몸의 실재(physical)
다시 읽기/ 지승학
PART 2 승 혹은 패, 넷플릭스의 〈피지컬: 100〉
- 생존과 영생의 그리스 신화를 위한 다윈의 투쟁/ 안톤 비텔
• 〈피지컬: 100〉의 인기 비결은?

[게임] 데이브 더 다이버
PART 1 넥슨과 민트로켓 그리고 〈데이브 더 다이버〉/ 이승제
PART 2 〈데이브 더 다이버〉, 깊이와 복합성의 아름다운 조화/ 크리스티안 돈란

[웹툰] 나 혼자만 레벨업
PART 1 생계형 헌터의 영웅서사, 〈나 혼자만 레벨업〉이
투영하는 것들/ 김소원
PART 2 〈나 혼자만 레벨업〉을 통해 보는 일본의 웹툰 현황/ 하기하라 유카리

저자 소개

저자소개

강유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학평론가, 영화평론가, 제22대 국회의원. 2005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영화평론 부문과 조선일보, 경향신문 신춘문예 문학평론 부문을 수상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지은 책으로 《오이디푸스의 숲》, 《타인을 앓다》, 《스무 살 영화관》, 《영화 글쓰기 강의》, 《시네마토피아》 등이 있다.
펼치기
켄트 A. 오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유타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석좌교수. 최근 암마르 후세인과 함께 『국제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비판적 소개(Critical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Communication)』(2023)를 출간했다.
펼치기
안숭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영화평론가. 시인. EBS <시네마천국>을 진행한 바 있으며 현재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소장으로 한류에 관한 비교문화학적 연구, 스토리콘텐츠 방법론 연구를 하고 있다. 저서로 Contemporary K-Cinema and K-Dramas, 『환멸의 밤과 인간의 새벽』, 『SF, 포스트휴먼, 오토피아』, 『K컬처 트렌드 2025』 등이 있다.
펼치기
김소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학술연구교수. 만화연구가. 한국만화웹툰학회 편집위원장, 대중서사학회 편집위원,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저서로 『시대가 그려낸 소녀-한·일 순정만화의 역사』, 『만화웹툰작가 평론선-김진』, 『만화웹툰작가 평론선-무적핑크』, 『만화웹툰작가 평론선-이빈』, 『만화웹툰작가 평론선-강경옥』 등이 있고, 공저로 『K컬처 트렌드 2025』, 『K컬처 트렌드 2024』, 『2024 K-콘텐츠: 한류를 읽는 안과 밖의 시선』, 『웹툰』 등이 있다.
펼치기
사토 유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기자, 영화평론가. 공저로 『한국영화로 배우는 한국의 사회와 역사』, 『작가주의 한국영화』, 역서로는 『사서함 110호의 우편물』 등이 있다.
펼치기
사토 유우의 다른 책 >
서영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포스트모던음악학과 겸임교수, 대중음악평론가. 저서로 『유튜브 시대에 문화는 어떻게 기억되는가』, 앨범으로 〈Punch Drunk Love〉(2012), 〈작은 마음〉(2016) 등이 있다.
펼치기
일레인 게리니 (지은이)    정보 더보기
기자, 영화평론가. 브라질 주요 언론사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영국 영화 잡지 《스크린 인터내셔널》의 브라질 특파원이기도 하다. 저서로 『가족의 모든 것(All in the Family)』, 『백스테이지(Backstage)』 등이 있다.
펼치기
안톤 비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옥스퍼드대학교 크라이스트 처치 전임강사, 장르영화 전문 영화평론가. 《사이트 앤 사운드》, 《리틀 화이트 라이즈》, 《BFI》 등에 정기적으로 기사를 연재하고, 이외에도 다양한 매체에 글과 영상 에세이를 기고하고 있다.
펼치기
이승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커뮤니케이션학과 BK21Four 박사후연구원. 경희대학교와 건국대학교에서 디지털 인문학 및 게임 분과를 강의하고 있다.
펼치기
크리스티안 돈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기자, 게임평론가. 《유로게이머》의 기획 기사 및 칼럼 분야 편집자. 영국의 비디오게임 전문지 《에지 매거진》과 예술, 문화, 정치 등을 다루는 《바이스》에서 일했다. 저서로 『지도 없는 마음』 등이 있다.
펼치기
하기하라 유카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테이쿄대학교 문학부 일본문화학과 전임강사. 저서로 『마사오카 겐조와 그 시대: 「일본 애니메이션의 아버지」의 전쟁 전과 후』, 편저로는 『〈인어공주의 왕관〉 그림 콘티집』 등이 있다.
펼치기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엮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는 세계인의 일상을 바꾸고 있는 K-콘텐츠의 문화 혼종성을 파악하고 그 의미와 가치를 인문적으로 성찰합니다. K-콘텐츠를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정책과 제도, 산업과 기술, 미디어와 플랫폼, 대중의 수용 문화 면에서 초국가적 맥락을 확인해야 합니다.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는 한류와 K-컬처, K-콘텐츠 연구를 포괄하면서 동시대 스토리콘텐츠에 대한 현장 지향적 학술장을 순발력 있게 주도해 나갈 것입니다. https://kcsc.khu.ac.kr
펼치기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의 다른 책 >
한혜민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KFL대학원에서 강의하고 있다. 2012년부터 2021년까지 홍콩이공대학교에서 전임강사로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가르쳤다. 저서로 『외국인을 위한 참 쉬운 한글 배우기』(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김소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학술연구교수. 만화연구가. 한국만화웹툰학회 편집위원장, 대중서사학회 편집위원,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저서로 『시대가 그려낸 소녀-한·일 순정만화의 역사』, 『만화웹툰작가 평론선-김진』, 『만화웹툰작가 평론선-무적핑크』, 『만화웹툰작가 평론선-이빈』, 『만화웹툰작가 평론선-강경옥』 등이 있고, 공저로 『K컬처 트렌드 2025』, 『K컬처 트렌드 2024』, 『2024 K-콘텐츠: 한류를 읽는 안과 밖의 시선』, 『웹툰』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서언_이 책은 동시대를 대표하는 K-콘텐츠에 대한 비평서다. 트렌드 교체 속도를 생각하면, 이 책에서 언급된 콘텐츠들도 먼 기억 속으로 점차 사라질지도 모른다. 그러나 당대 가장 유의미했던 콘텐츠들에 대한 비평 담론이 연속된다면, 한류라는 도도한 흐름의 깊이와 방향을 점쳐볼 수 있으리라 믿는다.


괴물은 어디에서 출현하는가?_이 사실은 입주민이 아닌 사람을 쫓아내야 한다는 근거로 쉬이 비약한다. 황궁아파트 자가 입주가 특권적 보상이거나 차별적 성취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부동산 공화국 신화가 만들어낸 괴물의 형상 중 하나다. ‘몫이 없는 자’를 타자화하는 것으로 우월적인 자기 신분을 확인받아야 하겠다는 태도는 지금 한국사회에 편재한다. 안과 밖 사이에 물리적 방벽과 의식적 ‘빗금’을 만드는 흑백의 세계에서 연민과 동정은 불합리한 것으로 정죄된다.


한국 영화의 진화를 보여주는 〈콘크리트 유토피아〉_봉준호 감독의 〈설국열차〉(2013)나 〈기생충〉(2019) 등은 일본에서도 인기가 높다. 이렇게 한국의 현대사회를 풍자하는 작품들은 꾸준히 만들어져 왔다. 그러나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한국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생생한 자화상과 세계적 사회 현상의 축소판이 훌륭히 오버랩된다는 점에서 참신하다. 생명의 위기에 직면한 ‘보통’ 사람들이 얼마나 이기적이고 타인에게 잔혹해질 수 있는가 또한 계산된 리듬과 긴장감이 끊이지 않는 스토리텔링으로 다채롭게 그려진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