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더 나은 AI, 더 나은 삶

더 나은 AI, 더 나은 삶

강우규, 김형주, 남영자, 문규민, 정유남 (지은이)
마이북하우스
15,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220원 -10% 2,500원
790원
15,9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더 나은 AI, 더 나은 삶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더 나은 AI, 더 나은 삶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97215391
· 쪽수 : 196쪽
· 출판일 : 2023-02-28

책 소개

AI가 인간의 삶과 사회의 미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AI 인문학의 관점에서 연구팀이 조사한 내용을 담고 있다. AI 기술이 사회에 던지는 질문에 대해 연구자들이 어떻게 바라보고 답하고 있는지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목차

들어가는 말 ㆍ 5

〈1장〉 이야기로 스며드는 AI
인공지능은 소설 작가가 될 수 있을까? ㆍ 15
인공지능 소설 작가 되다? ㆍ 21
희미해져 가는 가상과 현실의 경계 ㆍ 27
‘이야기’와 ‘메타버스’ 그리고 ‘이야기하는 인공지능 ㆍ 33
이야기하는 인공지능과 감정 ㆍ 40

〈2장〉 철학이 말하는 인공지능
“안녕 AI친구 이루다야. 우리가 다 자기만 알아서 그래.” ㆍ 49
철 지난 좋은 AI(good old-fashioned AI)가 제철 맞는 AI보다 좋은
한 가지 이유 ㆍ 55
우리들의 기술응전기(技術應戰記) ㆍ 61
인공지능 시대, 아는 것이 힘이다 ㆍ 68
칸트와 인공지능 ㆍ 78

〈3장〉 AI야, 이것도 번역해줄래?
인공지능 번역, 따라올 테면 따라와 봐. ㆍ 87
의료분야 인공지능 번역, 어디까지 왔나?
-깁스는 알고, 기부스는 모르쇠? ㆍ 93
‘시(詩)’도 인공지능 번역이 되나요? ㆍ 99
인공지능 번역은 남성에 우호적이다? ㆍ 104
기계번역의 법적 근거 및 효력과 관련하여 ㆍ 111

〈4장〉 인공지능과 윤리
인공지능윤리, 그 잠재성의 중심 ㆍ 121
자율주행차, 무엇이 문제인가 ㆍ 127
인공지능윤리와 도덕성의 두 개념 ㆍ 133
군사로봇과 분산된 책임 ㆍ 139
가상현실과 삶의 의미 ㆍ 147

〈5장〉 AI, 한국언어문화 이해하기
딥러닝이 남북한 단어의 의미 차이를 안다? ㆍ 155
데이터가 알려주는 우리 사회의 민낯 ㆍ 160
AI와 이데올로기 ㆍ 165
AI, 표준어 말고 방언으로도 말해줘 ㆍ 171
AI, 한국어 사회문화적 맥락 이해하기 ㆍ 177

에 필 로 그 ㆍ 183
그 림 출 처 ㆍ 192

저자소개

김형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지겐 대학교(University of Siegen)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받고,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 연구소 HK 교수로 인공지능 철학, 윤리를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Kant and AI』(2023)가 있으며, 인공지능과 관련한 최근 논문으로 「인공지능 환각」(2023)이 있다.
펼치기
강우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대학교 국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다. 중앙대학교에서 고전문학 전공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 연구”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에서 인공지능인문학을 연구하며, 고전문학과 디지털인문학을 융합하는 연구를 수행했다(2018∼2023). 국제어문학회 총무이사, 우리문학회 편집이사, 중앙어문학회 편집위원, 동아시아고대학회 편집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인공지능 데이터해석학』(2024), 『더 나은 AI, 더 나은 삶』(2023), 『포스트 챗GPT』(2023), 『AI가 내려온다』(2022), 『고전서사와 웹툰 스토리텔링』(2021), 『미래는 AI의 것일까?』(2020) 등이 있다. “국문장편소설 데이터 모델링의 현실적 방안 고찰”(2024), “생성형 AI를 활용한 고전소설 교육방안 모색”(2023), “고전문학과 디지털인문학 융합연구의 경향과 관계”(2023), “국문장편소설의 디지털 큐레이션 방안 고찰”(2022), “딥러닝 분석을 통한 영웅소설 유형론 재고찰”(2022), “인공지능 시대 스토리텔링과 이야기 향유방식”(2021) 등 41편 이상의 논문을 KCI에 게재했다.
펼치기
문규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했고 동 대학원에서 인도불교철학 연구로 석사 학위를, 서울대학교에서 의식(consciousness)과 형이상학적 양상에 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로 분석철학 계통의 형이상학과 심리철학을 연구한다. 전문 분야는 의식의 과학과 형이상학이다. 고려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등에서 가르치고 연구했다. 현재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에서 연구교수로 일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Making Sense of Consciousness as Integrated Information”(2019), “Exclusion and Underdetermined Qualia”(2019), “도덕의 방 속 한니발”(2022), “라투르와 일반화된 행위성”(2023) 등이 있으며, 지은 책으로 ≪신유물론 입문: 새로운 물질성과 횡단성≫(2022)이 있다. 최근에는 인류학과 존재론의 새로운 흐름들, 체계 이론 등으로 연구 영역을 넓혀 가고 있다.
펼치기
정유남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의 HK연구교수다.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한국어 발화 동사의 의미 분류 체계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사전학센터에서 근무했고, 고려대, 중앙대 등에서 강의해 왔다. 나라지식정보 AI 학습데이터 사업에 자문위원으로 참여했다. 주요 대중서로는 <AI 시대의 공부법>(2022), <더 나은 AI, 더 나은 삶>(2023) 등이 있다. “인공지능 번역기의 오류 분석 연구”(2022), “말뭉치 기반 비윤리 문장의 의미 연구”(2023) 등 다수의 논문을 게재했다. 한국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문학적 관점에서 인공지능이 인간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남영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문콘텐츠연구소 HK+인공지능인문학단에서 HK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음성학/speech perception을 전공하였으며, 음성감정인식/AI스피커 음성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인공지능의 소설 창작에 대하여 학계는 두 가지의 상반된 반응을 보여주었다. 그중 하나는 인공지능의 예술이란 창의라기에는 미흡한 의사(pseudo) 예술품을 대량 생산하는 작업이 될 것이고 예술적 글쓰기는 인간의 영역에 머물 것이라는 반응이고, 다른 하나는 창작 행위의 주도권이 인간에서 인공지능으로 넘어가기 시작했으며 인간이 만든 도구가 인간보다 훨씬 우월한 사고와 표현력을 지닌 창작의 주체가 될 것이라는 반응이다.
그런데 인공지능은 창의성을 지닐 수 없다는 관점에서 21세기 한국문학은 과연 창의적이라고 할 수 있을까? 다분히 인간 중심적인 관점에서 인간이 만든 조합형 소설은 창의적이고, 인공지능이 만든 소설은 창의적이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은 아닐까?


인공지능에게 인간의 감정을 이해시키기 위한 연구들이 계속해서 진행되고 이를 통해 수많은 감정 데이터들이 축적된다면, 언젠가는 인공지능이 인간의 감정을 구체적으로 식별하는 날도 올 것이다. 그리고 머지않아 인간의 이야기를 듣고 인간에게 이야기하며 인간과 상호작용하는 인공지능을 볼 수 있지 않을까?


인공지능이 데이터를 통해 인간의 감정을 분석한다는 것이 곧 인간의 감정을 이해한다는 것 즉 공감의 영역이 아니다. 인공지능의 감정분석은 어디까지나 확률계산에 따라 인간과 감정을 교환하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다만 인공지능의 감정분석 정확도가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인간은 인공지능과의 감정 교환 행위를 통해서 인공지능이 자신을 이해한다고 착각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인공지능과 감정 관계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인공지능 입장에서는 기계적 감정 교환 행위이지만, 인간은 공감 즉 감정소통으로 여길 수 있는 것이다. 실제 감정을 이해하지는 못하지만 이해한다고 여겨지는 인공지능의 개발은 가능할 것이고, 이러한 단계까지 나아간 인공 지능은 ‘이야기하는 인공지능’이라고 할 수도 있지 않을까?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