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정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남대학교 정치언론국제학과 부교수다. 경희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경희대학교 대학원에서 언론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문화평론가, 광고평론가로 활동했다. 주요 저서로는 <최진실 신드롬>, <광고비평의 이해>, <광고로 읽는 한국사회문화사>와 <근대적 육체와 일상의 발견> 등이 있다. 최근 미디어의 변화와 문화 변동을 연구한 <포스트휴먼과 탈근대적 주체>와 <문화번역>을 출간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광고홍보학과 문화연구, 광고사다.
펼치기
이인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볼 주립대학교와 럿거스대학교에서 정보방송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지금은 경희대학교 미디어학과에서 뉴미디어와 방송영상 분야를 가르치고 있습니다. 쓴 책으로는 《현대 사회와 미디어》(공저) 《디지털 영상편집기법》 《정보화 시대의 방송교육》(공저) 《네트워크 트렌드》(공저)가 있고, 우리말로 옮긴 책으로는 《뉴미디어 올드 뉴스-디지털 시대의 언론과 민주주의》 《뉴스의 역사》(공역) 《방송보도실무》(공역)가 있습니다. 각종 미디어에 둘러싸여 지내는 어린이들이 현명하고 슬기로운 미디어 생활을 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펼치기
이효성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문리과대학 지질학과 졸업, 서울대 신문대학원 졸업, 서울대 대학원 신문학과 박사과정 수료,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 언론학 박사과정 졸업(언론학 박사). 성균관대학교 언론학 교수로서 언론과 권력, 정치 커뮤니케이션, 저널리즘론, 비판 커뮤니케이션 등을 주로 연구하고 가르쳤다. 틈틈이 사상, 정치, 사회, 문화 등에 대한 비판적인 성찰을 담은 수상집들을 발표하고 있다. 언론개혁시민연대 공동대표, 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 이사 및 정책실장, 기독교방송 객원해설위원, 한국기자협회 이달의기자상 및 한국기자상 심사위원장, 동경대학교 객원교수, 컬럼비아대학교 방문교수, 성균관대 사회과학연구소장 및 언론정보대학원장, 한국언론정보학회 회장, 한국방송학회 회장, 종합유선방송위원회 위원, 방송위원회 부위원장(차관급),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장관급) 등을 역임했다.
언론학 저술로는 《정치언론》(1989), 《언론비판》(1990), 《한국 사회와 언론》(1992), 《한국 언론의 좌표》(1996), 《언론정치의 현실과 과제》(1999), 《언론과 민주정치》(2002), 《방송: 권력과 대중의 커뮤니케이션》(2009), 《통하니까 인간이다》(2012), 《소통과 언어》(2016), 《소통과 권력》(2016), 《소통과 지혜》(2016) 등이 있다. 수상집으로는 《진실과 정의의 즐거움》(1996), 《별은 어둠을 피해 달아나지 않는다》(2000), 《미국 이야기》(2005), 《계절의 추억》(2009), 《삶과 희망》(2013), 《우리는 누구인가?》(2020), 《계절 탐구: 24절기 속으로 떠나는 문화 여행》(2020)이 있다.
펼치기
전범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한양대학교 언론정보대학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석사, 미국 뉴욕주립대학교(버펄로)에서 커뮤니케이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관심사는 글로벌 미디어 산업과 정책에 대한 것이다. 영화 및 콘텐츠 산업의 비즈니스 및 국제화 전략에도 관심이 많다.
펼치기
김기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방송개발원 정책연구실장과 서강대-KBS 방송아카데미 교수 부장을 역임했고, KBS-TV '시청자 의견을 듣습니다' 등 각종 비평 프로그램의 진행을 맡기도 했다. 2005년 현재 호남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신문방송전공 교수로 재직중이다.
지은 책에 <텔레비전, 어떻게 볼 것인가>, <세상에서 가장 쉬운 매스미디어 101문 101답>, <방송비평의 실제>, <언론과 수용자> 등이 있다.
펼치기
송기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성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다. 경희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뉴욕텍대학교(New York Institute of Technology)에서 커뮤니케이션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경희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광고·PR 전공으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나라기획에서 기획부서 AE로, (주)서브제로코리아에서 마케팅·홍보부장으로 근무했다. 2005년 APEC정상회의 부산광역시 홍보자문위원, 2009년 부산국제광고제 심사위원으로 활동했고, 현재도 부산국제광고제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언론학회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한국언론학보≫ 편집위원으로 일했고, 현재 ≪광고PR실학연구≫, ≪사회과학연구≫, ≪한국옥외광고학연구≫,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편집위원과 학회이사로 활동 중이며, 저널 ≪사회과학연구≫ 편집위원장이다. 저서로 『커뮤니케이션 광고기획 방법』(2014), 『감성과 신뢰의 스피치 기법』(공저, 2014), 『현대사회와 언론』(공저, 2006), 『현대사회와 미디어』(공저, 2006)가 있고, 역서는 『익스트림 프레젠테이션』(공역, 2011), 『매스 커뮤니케이션 효과 연구』(공역, 2006), 『광고의 질적 연구 방법론』(공역, 2006), 『기호학을 아는 광고, 기호학을 모르는 광고』(공역, 2004), 『여론을 만든 사람, 에드워드 버네이즈』(공역, 2004) 등이 있다. 논문은 주로 수단-목적과 사슬이론, 수용자의 가치와 광고 전략 개발 분야를 중심으로 30여 편 이상을 썼다.
펼치기
김도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언론학전공 교수다.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옛 신문학과)를 졸업했다.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미국 텍사스대학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위원, 미국 텍사스대학 방문교수를 역임하였고, 한국미디어경영학회 회장, 한국언론학회·한국언론정보학회의 연구이사, 한국방송학보·정보통신정책학보 편집위원 등을 지냈다. 보편적시청권보장위원회, 방송통신규제심사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주요 저서로 『미디어 생태계』(공저, 2011), 논문으로 “시청자 접근 및 채널 경영 면에서 본 공익채널 제도의 성과”(2014), “텔레비전 포맷을 통해 본 콘텐츠의 글로벌화와 현지화”(공저, 2013)가 있다.
펼치기
이기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미디어학과 교수로 대중문화와 민속지학, 청년연구와 미디어 생산연구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일리노이대학교 대학원 사회학 석사 및 커뮤니케이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책으로는 《미디어 문화연구와 문화정치로의 초대》, 《플랫폼 변동의 시대 미디어 생산연구로의 초대》(공저), 《문화연구의 렌즈로 대중문화를 읽다》(공저), 《미디어 문화연구의 질적 방법론》(공저), South Korean Golden Age Melodrama(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한균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다. 경희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유타주립대학교에서 언론학 석사, 텍사스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를 취득했다. 한국언론학회 회장, 편집위원장, 신문발전위원회 부위원장을 역임했다. 주요 논문으로 “한국신문의 공정성에 대한 고찰: 미디어 관련법 개정보도에 대한 프레임분석을 중심으로”(2010), “대선보도와 여론조사: 여론조사 공표 금지조항 개정을 중심으로”(2009), “ 방송채널사용 사업자(PP)와 프로그램 제작원 간 네트워크 분석: 방송프로그램 다양성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 뮤직비디오의 폭력성 연구”(2009), “종교방송에 대한 수용자 기대 연구”(2009) 등이 있다.
펼치기
홍원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텍사스대학교에서 저널리즘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동덕여대 교양교직학부 교수 및 지식융합연구소장으로 있다. 주요 연구 논문으로는 “인터넷 공론장 돌아보기: 소통은 무엇을 위한 것인가”, “TV 비평의 어제와 오늘”, “소셜 네트워크에 의한 투표 여론 오지각의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반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천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다. 한국외국어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텍사스대학교(Austin)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언론에 나타난 한미 FTA>(공저, 2007), <프로슈머로서의 수용자와 문화적 창조성>(공저, 2007), <신화의 추락, 국익의 유령>(공저, 2006), <현대사회와 미디어>(공저, 2006), <사라지는 신문독자>(공저, 2005), <세계의 인터넷 미디어>(공저, 2002) 등이 있고, 역서로 <저널리즘과 선진민주주의>(공역, 2008), <프레이밍과 공공생활: 미디어와 사회현실에 대한 이해>(공역, 2007,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얼터너티브 인터넷>(공역, 2007) 등이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