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현대 사회와 미디어

현대 사회와 미디어

(2014년 개정판)

한균태, 홍원식, 이인희, 이종혁, 채영길, 이기형, 이두황, 이양환, 이정교, 박종민, 이상원, 정낙원, 홍지아, 임병국 (지은이)
  |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03-12
  |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현대 사회와 미디어

책 정보

· 제목 : 현대 사회와 미디어 (2014년 개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30400495
· 쪽수 : 510쪽

책 소개

현대 사회에서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는 무엇인가? 현대 사회에서 소통은 거의 미디어를 통해 매개된다. 미디어 이용능력은 현대인의 핵심 생존 기술의 하나다. 미디어에 대한 교육은 왜 필요한가? 미디어 환경은 엄청난 변화를 겪고 있다.

목차

개정판 서문


1부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이해
01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정의와 특성
1.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본질
1) 커뮤니케이션 과정
2) 커뮤니케이션의 유형
3)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특징

2.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유형, 범위와 특성
1)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중요성
2)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융합 유형
3)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범위와 주요 특성

3. 매스미디어 사회적 기능

4. 미디어 환경의 변화


02 매스미디어의 이론과 효과
1. 매스미디어 효과 이론의 출발점
1) 대중사회의 등장과 마법의 탄환이론
2) 과학적 효과 연구의 등장

2. 제한 효과 이론의 등장
1) 라자스필드의 선거 연구와 2단계 흐름 모델
2) 선택적 지각과 준거집단
3) 제한 효과 이론에 대한 비판



3. 효과 이론의 확장
1) 문화 계발 효과
2) 의제 설정
3) 제3자 효과 이론

4. 강효과 이론
1) 침묵의 나선 이론
2) 프레이밍 이론


03 정보사회의 새로운 패러다임
1. 정보사회의 유래

2. 정보사회의 정의

3. 정보사회 현상의 요소
1) 인터넷: 개인 소통의 미디어
2) 디지털: 새로운 기술 논리
3) 개인화: 인간의 존재 의미
4)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하는 세계관

4. 정보사회의 쟁점
1) 디지털 통합
2) 저작권과 정보 공유
3) 콘텐츠와 정보 접근

5. 정보사회의 전망

6. 정보사회의 진화
1) 소셜 미디어의 등장
2) 소셜 미디어의 영향
3) 소셜 미디어와 정보사회


2부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유형과 내용
04 인쇄 미디어
1. 인쇄 미디어의 발달
1) 신문의 역사
2) 잡지의 역사

2. 인쇄 미디어의 특징
1) 인쇄 미디어의 소재
2) 인쇄 미디어 작성
3) 인쇄 미디어의 제작 과정
4) 인쇄 미디어의 효과와 영향

3. 인쇄 미디어의 역할

4. 인쇄 미디어의 미래
1) 신문, 잡지의 위기
2) 인쇄 미디어의 대응과 변화


05 방송과 현대 사회
1. 방송의 개념과 이념
1) 방송의 개념
2) 방송의 이념과 공공성

2. 방송의 역사
1) 방송과 방송 산업의 탄생
2) 우리나라의 방송

3. 방송과 문화
1) 대중문화
2) 방송과 시청자 문화

4. 방송과 통일
1) 통일과 방송의 역할
2) 통일 방송과 정책

5. 공영방송의 정체성과 위기

6. 뉴미디어 기술과 방송
1) 방송 생태계의 변화
2) 새로운 방송 서비스


06 복합적인 문화양식으로서의 영화: ‘재현의 정치학’ 그리고 영화보기 습속의 형성을 중심으로
1. 영상문화의 부상과 간학문적인 관심들

2. 영화라는 시각 텍스트와 대중문화물의 부상

3. 영상문법의 형성과 특징들

4. 영화라는 재현의 문화형식과 맥락성: 멜로드라마를 중심으로 200

5. 영화분석의 방법론들과 문화연구의 영향: 텍스트보기에서 수용과 사회 문화적인 맥락성 추구로

6. ‘초기 영화’의 부상과 ‘역사화된 문화연구’의 등장: 재현의 차원을 넘어서 영상의 ‘사회적 배치와 활용’이라는 문제 제기하기

7. 역사화된 문화연구와 초기 영화의 재조명: ‘볼거리, 놀람과 경악의 영화’

8. 결론을 대신해서: 영화 분석과 새로운 방법론, 대안 그리고 상상력의 결합으로서 문화연구


07 디지털미디어와 인터넷
1. 디지털 미디어 혁명
1) 디지털의 의미
2) 디지털 미디어의 개념

2. 디지털미디어의 특징
1) 상호작용성
2) 멀티미디어화
3) 비동시성
4) 탈대중화
3. 미디어 융합

4. 인터넷의 태동과 발전
1) 인터넷의 개념
2) 인터넷의 태동
3) 인터넷의 성장 배경

5. 인터넷의 진화
1) 국내 인터넷 이용 실태
2) 인터넷 이용의 진화

6. 소셜 미디어의 등장: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중심으로
1)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출현과 의미
2) SNS의 탄생과 발전
3)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국내 이용 현황과 이용 동기
4) SNS와 소셜 미디어의 미래


08 모바일 기술
1. 모바일 기술의 진보와 혁명

2. 스마트폰 시대의 도래
1) 세대별 이동통신 기술의 진화: 1∼3G
2) 4G 모바일 기술의 확산
3) 모바일 인터넷
4) 스마트폰 혁명

3. 태블릿 PC

4.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5. 모바일 전자상거래

6. 맺는말


09 광고
1. 광고의 개념과 특성
1)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광고의 개념
2) 마케팅 관점에서 광고의 개념
3) 광고와 유사 개념들과의 차이점

2. 국내 광고 시장의 현황
1) 매체별 국내 총 광고비
2) 국내 광고 대행사의 현황

3. 광고 콘셉트와 크리에이티브
1) 광고 콘셉트의 개념
2) 광고 콘셉트의 도출 방식
3) 크리에이티브 콘셉트


10 PR
1. 조직의 PR 부서와 PR 회사

2. 조직(기업) 내에서 PR 부서의 중요성

3. 조직 내 PR 부서의 주요 업무

4. 최근 PR 회사의 사회적 역할과 국제적 추세

5. PR 회사의 주요 업무 영역

6. PR의 개념Ⅰ: PR은 조직의 대공중관계 관리다

7. 공중의 개념

8. PR의 개념 Ⅱ: PR은 조직의 대스테이크홀더 관계 관리다

9.PR과 마케팅

10. PR 프로그램 기획
1) 환경 분석
2) 목표 공중 분석
3) PR 목표와 실행 과정 분석
4) PR 프로그램 실행 과정 분석 및 평가


3부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현대적 쟁점
11 미디어 산업
1. 융합 시대의 미디어 산업

2. 미디어 상품의 특성

3. 미디어 시장의 구조
1) 시장집중도
2) 상품 차별화
3) 시장 진입장벽
4) 비용 구조
5) 수직적 통합
6) 시장 구조의 유형

4. 미디어 시장의 환경적 요인
1) 기술적 요인
2) 경제·산업적 요인
3) 정책적 요인
4) 소비자적 요인
5) 세계화적 요인

5. 미디어 산업과 경영 전략
1) 미디어 기업의 전략
2) 미디어 기업 경영 전략에 관한 이론적 관점
3) 전략적 네트워크

6. 미디어 산업의 변화와 미래
1) 미디어 산업의 변화
2) 미디어 산업의 미래


12 매스미디어와 정치
1. 정치 커뮤니케이션

2. 매스미디어의 정치적 효과
1) 의제 설정과 프라이밍 효과
2) 프레이밍 효과
3) 여론의 인지와 형성 효과
4) 정치 참여 효과
3. 언론의 선거 보도
1) 바람직한 선거 보도
2) 바람직하지 않은 선거 보도

4. 정치 홍보

5. 정치 광고
1) 정치 광고의 기능
2) 정치 광고의 분류

6. 후보자 TV 토론회
1) 후보자 TV 토론회의 기능
2) 우리나라와 미국의 후보자 토론회
3) 후보자 TV 토론회의 형식

7. 뉴미디어와 정치
1) 뉴미디어의 정의와 특징
2)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정치 캠페인 사례


13 문화연구와 젠더
1. 문화연구란 무엇인가?
1) 대중문화에 대한 초기의 비판
2) 문화와 이데올로기
3) 남과 다른 나, 구별 짓기의 수단으로서 문화 자본

2. 문화연구와 페미니즘
1) 페미니즘은 불편하다?
2) 여성문제는 왜 복잡한가?
3) 문화연구와 페미니즘의 만남


14 언론 자유와 법
1. 언론의 자유
1) 언론 자유의 중요성
2) 헌법적 보장과 제한
3) 언론 자유의 내용
4) 표현의 자유의 확대

2. 명예훼손
1) 형법과 명예훼손
2) 민법과 명예훼손
3) 정보통신망법에 의한 명예훼손

3. 프라이버시 침해
1) 법규와 보호 법익
2) 프라이버시권의 내용
3) 프라이버시침해에 대한 구제

4. 초상권 · 퍼블리시티권
1) 초상권
2) 퍼블리시티권

5. 음란표현과 언론자유
1) 음란의 의미
2) 음란표현물의 평가방법
3) 음란표현의 헌법적 보장
4) 법률
5) 음란물유포죄
6) 인터넷 서비스 제공사업자의 책임


저자 소개

저자소개

이인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볼 주립대학교와 럿거스대학교에서 정보방송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지금은 경희대학교 미디어학과에서 뉴미디어와 방송영상 분야를 가르치고 있습니다. 쓴 책으로는 《현대 사회와 미디어》(공저) 《디지털 영상편집기법》 《정보화 시대의 방송교육》(공저) 《네트워크 트렌드》(공저)가 있고, 우리말로 옮긴 책으로는 《뉴미디어 올드 뉴스-디지털 시대의 언론과 민주주의》 《뉴스의 역사》(공역) 《방송보도실무》(공역)가 있습니다. 각종 미디어에 둘러싸여 지내는 어린이들이 현명하고 슬기로운 미디어 생활을 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펼치기
임병국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객원교수다. 경희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언론중재위원회 본부장을 역임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언론법과 미디어 저작권이다. 저서로 『언론법제와 보도』(2009), 『현대사회와 언론』(2006, 공저)가 있다.
펼치기
이기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미디어학과 교수로 대중문화와 민속지학, 청년연구와 미디어 생산연구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일리노이대학교 대학원 사회학 석사 및 커뮤니케이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책으로는 《미디어 문화연구와 문화정치로의 초대》, 《플랫폼 변동의 시대 미디어 생산연구로의 초대》(공저), 《문화연구의 렌즈로 대중문화를 읽다》(공저), 《미디어 문화연구의 질적 방법론》(공저), South Korean Golden Age Melodrama(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한균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다. 경희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유타주립대학교에서 언론학 석사, 텍사스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를 취득했다. 한국언론학회 회장, 편집위원장, 신문발전위원회 부위원장을 역임했다. 주요 논문으로 “한국신문의 공정성에 대한 고찰: 미디어 관련법 개정보도에 대한 프레임분석을 중심으로”(2010), “대선보도와 여론조사: 여론조사 공표 금지조항 개정을 중심으로”(2009), “ 방송채널사용 사업자(PP)와 프로그램 제작원 간 네트워크 분석: 방송프로그램 다양성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 뮤직비디오의 폭력성 연구”(2009), “종교방송에 대한 수용자 기대 연구”(2009) 등이 있다.
펼치기
이정교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다.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무역학을 전공하였고, 미국 텍사스대학교 오스틴에서 광고학 석사를 미주리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미국 노스플로리다대학교에서 교수직을 역임하였으며, 2004년부터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에서 광고 및 소비자 심리 관련 과목들을 강의하고 있다. 한국광고학회 총무이사, 한국광고홍보학회 기획이사, ≪광고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한국언론학보≫ 편집위원을 역임했으며, 현재 한국광고학회 이사, ≪광고학연구≫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유명인 광고 전략 및 효과, 소비자 심리, 브랜드 관리, 뉴미디어 광고 등이다. 저서로 『유명인 광고의 이해: 이론과 전략』(2012), 『광고 인사이트』(2009, 공저), 『신문광고 시장의 미래』(2006, 공저), 『현대사회와 광고』(2006, 공저), 『현대사회와 언론』(2006, 공저)등이 있다.
펼치기
이종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다.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를 졸업했다. 미국 미주리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미국 시라큐스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조선일보 취재기자, 미국 센트럴미시간대학교 조교수, 한국언론학회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회 회장 등을 거쳤다. 저서로 『커뮤니케이션학이란 무엇인가』(2017, 공저) 등이 있고, 논문으로 “뉴스가치의 개념, 유형, 작동 기제 및 규범에 대한 종합 고찰”(2019), “토픽모델링을 이용한 뉴스 의제 분류와 미디어 다양성 분석”(2019), “보도 프레임 메타분석을 통한 보수-진보 매체의 공정성 모형 검증”(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채영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미국 텍사스대학교 오스틴에서 커뮤니케이션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커뮤니케이션 권리의 제도화와 언론의 민주화, 커뮤니티 미디어,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공공외교 등이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디어외교센터장을 맡고 있으며, ‘민주언론시민연합’의 공동 대표 및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편집위원장, 뉴스타파 콘텐츠평가위원회 위원장 등을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이두황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언론정보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조지아대학교와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 텔레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언론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앨라배마대학교 텔레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를 거쳐 2012년부터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연구 분야는 뉴미디어 이용과 효과다. 최근 소셜 미디어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관련한 사용자의 이용과 효과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또 가상, 증강, 혼합현실의 통합을 가능케 하는 커뮤니케이션 원천기술 개발과 사용자의 심리생리학적인 반응에 관한 학제간 융합연구를 글로벌프런티어(Global Frontier)사업 과제를 통해 진행 중이다.
펼치기
이양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콘텐츠진흥원 정책연구실 선임연구원이다. 경희대학교에서 신문방송학으로 학부와 석사를 마쳤고, 미국 플로리다대학교에서 텔레콤 석사, 사우스캐롤라이나대학교에서 매스컴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한국콘텐츠진흥원 정책연구실에서 방송과 게임 관련 정책연구를 수행하고 있고, 경희대학교, 단국대학교, 광운대학교, 동국대학교 등에서 매스컴 연구방법론과 커뮤니케이션 이론, 뉴미디어론, 디지털콘텐츠론 등을 강의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융합미디어와 콘텐츠이며, 저서로 Communication Technology Update(2006, 공저), 『현대사회와 광고』(2006, 공저)가 있다.
펼치기
박종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이고, 독립기념관 이사로 재직 중이다. 미국 미주리대학교에서 광고PR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언론학회, 한국광고홍보학회, 한국PR학회 등의 총무이사, ≪홍보학연구≫, ≪사회과학연구≫의 편집위원장을 역임했으며,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위기관리센터, 기획재정부, 환경부, 해양수산부 ,국가보훈처, 국민권익위원회의 정책홍보자문위원을 역임했다. 저서로 『현대 사회와 미디어』(공저, 2014), 『Public Relations Leaders as Sensemakers』(공저, 2014)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Pluralistic Ignorance and Social Distance of Public Relations Practitioners and Journalists in the Source-Reporter Relationship”(2012) 등 15여 편의 국외 논문들과 “트위터를 통한 정치인 자아표현과 공중과의 상호 커뮤니케이션: 고프만(E. Goffman)의 연극적 분석법과 틀 분석의 적용”(2013) 등 80여 편의 국내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상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다. 연세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조지 워싱턴대학에서 통신학 석사, 미국 플로리다대학에서 미디어경제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는 Beyond Broadband Access: Developing Data-Based Information Policy Strategies(2013, 공저)가 있으며 “An Empirical Analysis of Fixed and Mobile Broadband Diffusion”(2011) 등 다수의 국제 논문을 저술하였다.
펼치기
정낙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여자대학교 언론영상학부 교수다. 주로 저널리즘과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를 하고 있으며 미디어 이용이 정치적 양극화와 시민참여에 미치는 효과에 관심이 많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학사학위를 받고 미국 텍사스대학교(오스틴)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로는 <디지털 사회와 커뮤니케이션>(2014, 공저) 등이 있으며, “Self-coverage for public interest or self-promotion: How media cross-ownership structures affect news content in South Korea”(2018), “정치적 태도 극화 및 적대감 증가 요인과 그 결과에 대한 탐색 연구: 커뮤니케이션 변인, 정치참여, 사회자본을 중심으로”(2016) 등의 논문을 학술지에 게재했다.
펼치기
홍지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후반까지 CBS 편성제작국 PD로 일했으며 아메리칸대학교에서 다큐멘터리 제작 전공으로 MFA 학위를,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영상 문화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로, ‘영상 커뮤니케이션’, ‘영상 발달사’, ‘영상 매체 글쓰기’ 등의 과목을 가르친다. 연구 분야는 미디어 문화 연구와 젠더이며, 「TV가 제시하는 사랑할 ? 받을 자격과 한국 사회 20대 여성들이 이를 소비하는 방식」, 「젠더화된 폭력에 대한 뉴스 보도」, 「미디어를 통한 성매매의 의미구성」, 「젠더적 시각에서 바라본 한국 언론의 다문화 담론」, 「TV드라마를 통해 재현된 여성의 몸 담론」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따라서 이번 개정판에서는 디지털 기술에 바탕을 둔 소위 유비쿼터스 사회로 더욱 발전하기 위해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역할과 기능이 핵심이라는 사실에 의거해 다양한 미디어, 특히 새로운 디지털 미디어를 정확하게 이해하도록 하는 데 주력하였다. 즉, 우리는 미디어를 주제로 한 평범한 대화를 단순히 이야깃거리나 흥밋거리 수준으로부터 일상생활에서 유익하게 이용할 수 있는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에 공감하여 일반인들의 디지털 미디어 이용 능력에 조금이나마 보탬을 주고자 했다. 왜냐하면 오늘날 각종 디지털 미디어를 스마트하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미디어 이용 능력(media literacy)은 일상생활에서 필수가 되었기 때문이다.
_<머리말> 중에서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는 인류 역사가 시작되면서 함께 생겨났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사회적 동물인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졌기 때문이다. 애초에 비언어적 수단과 함께 말을 시작으로 문자, 인쇄미디어, 전자미디어, 그리고 디지털 미디어에 이르기까지 생존과 사회생활을 위한 필수 요건으로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는 계속 진화해 왔다. 더욱이 21세기 정보사회에 들어와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융합과 통합이 이루어지면서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범위가 매우 다원적으로 발달하고 있다. 즉, 오늘날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는 전통적인 매스미디어의 기능뿐 아니라 통신, 인터넷 등 다양한 형식의 상호작용적 커뮤니케이션 과정과 표현을 가능케 해주는 범주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물론 매스 커뮤니케이션 과정의 독특한 특성과 기능을 가진 전통적 미디어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지만, 오늘날의 복합적인 미디어 환경을 감안하면 매스미디어라는 용어보다는 커뮤니케이션 미디어가 더 적절하다고 여겨진다.
_<01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정의와 특성> 중에서


‘무엇이 뉴스인가’는 ‘어떤 사건이 뉴스로서의 가치가 있는가’에 답하면서 풀어볼 수 있다. 미주리그룹(The Missouri group, 2005)은 뉴스가 갖춰야 할 6가지 특성을 제시하였다. 영향성(impact), 갈등(conflict), 새로움(novelty), 저명성(prominence), 근접성(proximity), 시의성(timeliness) 등이다. 정부 정책에 반대하는 대규모 집회는 이런 측면에서 뉴스로서의 가치가 높다. 집회가 대중의 인식을 바꾸거나 정책의 철회를 유발할 정도로 강한 영향성을 가질 수 있으며, 정부와 집회 참가자 사이의 갈등도 있으며, 집회 참가자의 요구 사항은 새로운 내용에 해당한다. 또 이 집회에 유명 연예인이 참가했다면 저명성을 갖추게 되고, 집회 장소가 서울 시청 앞이라면 물리적으로 가까운 근접성도 갖추게 된다. 방금 끝난 집회라면 시의성도 높다. 이와 같은 개념들은 뉴스가치 기준에 해당되며, 어떤 사건이 뉴스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척도가 된다.
_<04 인쇄 미디어>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