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각국정치사정/정치사 > 유럽
· ISBN : 9788987691589
· 쪽수 : 343쪽
· 출판일 : 2005-05-14
책 소개
목차
제1부 프랑스인의 유럽통합에 대한 기본 인식
제1장 프랑스인의 유럽통합관에 대한 실태조사
1. 서론
2. 조사연구 개요
3. 조사결과 분석
4. 결론
제2장 유럽통합에 대한 프랑스인의 문화적 인식
1. 서론
2. 유럽인 의식의 기원과 발전
3. 프랑스 문학사에 나타난 유럽인 의식
4. 오늘날 프랑스인의 유럽통합에 대한 문화적 인식
5. 결론
제2부 유럽통합의 주요 쟁점에 대한 프랑스의 인식과 대응
제3장 EU의 중동구 확대와 프랑스 여론
1. 서론
2. EU 확대를 바라보는 프랑스의 기본 시각
3. EU 확대의 파급효과와 프랑스 여론
4. 결론
제4장 냉전종식 후 유럽안보체제의 변화와 프랑스의 유럽안보정책
: NATO와 WEU 정책을 중심으로
1. 서론
2. 냉전종식 후 유럽안보체제의 변화
3. 프랑스의 NATO 정책
4. 프랑스의 WEU 정책
5. 결론 : 프랑스 안보정책에 대한 전망
제5장 프랑스의 경제.통화통합정책에 대한 고찰
: 제도개혁을 위한 노력을 중심으로
1. 서론
2. 유럽공동체 차원에서 경제.통화통합의 배경
3. 미테랑의 경제.통화통합을 위한 제도개혁 노력
4. 시라크 주도의 경제.통화통합 노력
5. 결론
제6장 유럽통합과 사회적 대화의 발전
1. 서론
2. 공동체 차원의 사회적 대화의 발전
3. 공동체 차원의 사회적 파트너들의 위상과 역할
4. 사회적 대화의 업적과 프랑스의 대응
5. 결론
제7장 프랑스 영화를 통해서 본 프랑스인의 정체성 탐구
1. 서론
2. 1990년대 이후 프랑스 영화산업의 새로운 경향
3. 프랑스 영화작품을 통해서 본 프랑스인의 정체성
4. 결론
제8장 EU의 다언어정책에 따른 대학생 교류 현황
: 프랑스의 발전추이, 문제점과 전망
1. 서론
2. EU의 다언어정책 발전과정과 개별 프로그램 내용
3. Erasmus 프로그램의 형황과 새로운 발전 양상
: Erasmus Mundus
4. 프랑스에서의 Erasmus 적용 현황 분석
5. 결론
부록_ 프랑스인의 유럽통합관에 대한 설문조사 종합응답표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20세기 말 유럽통합이 점진적으로 심화되어가는 과정 속에서, 프랑스인들은 국가 정체성과 유럽시민 정체성 사이에 일종의 혼란을 느끼게 되었을지도 모르겠다. 국경이 없어지고 경제적인 상호의존이 심화 될수록 국가의식은 희박해지고, 국가의 자율성을 상실하지나 않을까 하는 위기의식을 가졌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시대적 맥락에서 영화 '비지터'와 '아스테릭스'의 대중적인 성공읜 프랑스인들의 정체성 확인으로 해석해 볼 수도 있는 것이다. 즉 프랑스인들의 이러한 무의식적인 욕구가 현대 프랑스 영화계에서 특이한 대중문화현상으로 나타난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이 문화현상은 프랑스인들이 세계화의 공격에 맞서서 자국문화에 대한 보호본능을 자연스럽게 표출한 것으로 생각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 본문 263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