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도가철학/노장철학 > 도가철학 일반
· ISBN : 9791186853078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16-05-05
책 소개
목차
· 서문: 불로장생의 신선이 되고자 한 광자 갈홍 이야기
『포박자 내편』의 양생사상
■ 신진식(인천대 교수)
Ⅰ 『포박자 내편』의 주요 내용
Ⅱ 양생사상의 이론적 기초
Ⅲ 양생의 방법
Ⅳ 생사상의 의의
전승의 관점에서 고찰한 포박자 갈홍의 연단술
■ 정우진(경희대 철학과 연구 조교수)
Ⅰ 연단술 연구의 방향
Ⅱ 갈홍 연단술의 소개와 전승
『포박자』 「선약」편과 「등섭」편에 보이는 술수와 세계관 연구
■ 정우진(경희대 철학과 연구 조교수)
Ⅰ 갈홍 연구의 빈틈
Ⅱ 채약자의 술수행위
Ⅲ 채약자의 세계관
갈홍의 노자 신선론
■ 김태용(한양대 철학과)
Ⅰ 신선: 타력에서 자력으로
Ⅱ 신선 노자는 세상에 존재하였다
Ⅲ 노자는 배움을 통해 신선이 되었다
Ⅳ 노자는 신선이 될 운명을 타고났다
Ⅴ 성선: 명에서 역으로
갈홍 ‘현도’ 개념의 사상적 근원 고찰: 한대 우주생성론을 중심으로
■ 이진용(연세대 원주캠퍼스 철학과)
Ⅰ 갈홍 ‘현도’ 개념의 사상적 근원의 문제
Ⅱ 갈홍과 한대 학문의 관계
Ⅲ 한대 우주생성론의 특징과 의의: 『회남자』와 『태현』
Ⅳ 갈홍 ‘현도’의 근원과 근본의 의미
Ⅴ 갈홍 ‘현도’ 개념의 우주생성론적 의의
자기와 세계 초월자로서의 신선의 이상: 『포박자』의 신선사상에 나타난 초월과 금욕주의
■ 최수빈(서강대 강사)
Ⅰ 불사와 초월, 그리고 신선
Ⅱ 기존의 갈홍의 『포박자』에 대한 연구와 이해
Ⅲ 『포박자』에 나타난 신선과 초월로서의 불사
Ⅳ 갈홍이 제시한 신선의 초월성 1: 금욕을 통한 자기초월
Ⅴ 갈홍의 신선의 초월성 2: 세속과 전통, 관습을 넘어서는 초세간적 초월
Ⅵ 『포박자』를 통해 다시 읽는 신선, 그리고 도교
『포박자 외편』에 나타난 갈홍 은일관에 관한 연구
■ 조민환(성균관대 교수)
Ⅰ 중국문화 특징으로서의 은일
Ⅱ 후한말 시대 인식과 은일의 상관관계
Ⅲ 은일적 삶의 다양한 모습
Ⅳ 은일적 삶과 역설적 부귀관
Ⅴ 기호성으로서 자발적 은일관
Ⅵ ‘은거구지’로서의 정교적 은일
Ⅶ 유가와 도가의 묘합으로서의 갈홍의 은일관
갈홍, 도인인가? 문인인가?: 『포박자』의 문학성 탐구
■ 정재서(이화여대 중문과 교수)
Ⅰ 철학과 수사학 혹은 도인과 문인
Ⅱ 갈홍의 문학관 그리고 저작
Ⅲ 『포박자』의 문학적 특성
Ⅳ 『포박자』의 후대 문학에의 영향
Ⅴ 도인: 상상하는 인간
『참동계』의 연단법과의 비교: 갈홍은 『포박자』에서 왜 『참동계』의 연단법을 소개하지 않았나
■ 이봉호(경기대 조교수)
Ⅰ 머리말
Ⅱ 선결 문제들
Ⅲ 외부물질로 자신을 견고하게 함
Ⅳ 금단의 핵심을 세상에 보임
Ⅴ 구정지일정과 『참동계』 연단법
Ⅵ 맺음말
부록 Ⅰ
갈홍 연구사 정리 및 자료정리: 갈홍 연구의 회고와 전망
■ 나우권(고려대 강사)
Ⅰ 세계 도가도교학계의 갈홍 연구목록을 집대성하면서
Ⅱ 연구사 정리
Ⅲ 한국도가도교학계에 바라는 제언
부록 Ⅱ
갈홍 연구목록
Ⅰ 총류
Ⅱ 사상 연구
Ⅲ 방술류
Ⅳ 문학과 미학
■ 인물명 색인
· 저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