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신체 없는 기관

신체 없는 기관

(들뢰즈와 결과들)

슬라보예 지젝 (지은이), 이성민, 김지훈, 박제철 (옮긴이)
비(도서출판b)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신체 없는 기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신체 없는 기관 (들뢰즈와 결과들)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슬라보예 지젝/슬로베니아 학파
· ISBN : 9788991706033
· 쪽수 : 410쪽
· 출판일 : 2006-06-25

책 소개

슬라보예 지젝이 들뢰즈에 대한 기존의 독해를 180도 역전시켜 새로운 해석을 제시한다. "신체 없는 기관"이라는 제목은 들뢰즈와 가타리의 공저서에 등장하는 "기관 없는 신체"라는 개념을 뒤집은 것. '잠재적인 것의 철학자', '의미-사건의 철학자'로서 들뢰즈의 면모, 헤겔과 들뢰즈의 유사성 등을 살펴본다.

목차

서론 대화가 아닌 조우

1부 들뢰즈

잠재적인 것의 실재성
생성 대 역사
"기계-되기"
언제가, 아마도 경험일원론의 세기가 될 것인가?
준-원인
스피노자를 사랑하지 않는 것이 가능한가?
칸트, 헤겔
헤겔 1: 들뢰즈 뒤에 달라붙기
헤겔 2: 인식론에서 존재론으로...그리고 되돌아가기
헤겔 3: 최소 차이
의미의 비틀림
희극적인 헤겔적 막간극 : 덤 앤 더머
들뢰즈의 오디푸스 - 되기
남근
환상
RIS

2부 결과들

1장 과학: 인지주의를 프로이드와 더불어
"자기형성"
미들, 모든 곳에 밈들
하이픈 - 윤리에 반대하여
인지적 폐쇄
"한 모금의 여유"

2장 예술: 말하는 머리들
영화 - 눈
반 - 플라톤으로서의 히치콕
응시와 절단
환사이 붕괴될 때
"나, 진리가 말하고 있다"
도덕을 넘어서

3장 정치: 문화혁명을 위한 항변
들뢰즈를 읽는 여피족
미시파시즘
네트사회?
제국에 대항한 타격들
마오쩌둥 주석의 "프롤레타리아 문화대혁명이여 영원하라!"라는 슬로건의, 혁명적 문화정치를 위한, 영구적 현실성에 대하여

옮긴이 후기
색인

저자소개

슬라보예 지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슬로베니아 류블랴나에서 태어나 류블랴나대학교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파리8대학교에서 정신분석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인문학, 사회학, 예술과 대중문화를 넘나들며 전방위적 영향력을 끼치는 이 시대 가장 주목받는 사상가로 꼽힌다. 헤겔주의 철학자이자 라캉주의 정신분석학자, 코뮤니스트이다. 현재는 영국 런던대학교 버크벡 인문학연구소 국제 소장, 미국 뉴욕대학교 독일어과 글로벌 석좌교수, 스위스 유럽대학원 철학과 교수, 슬로베니아 류블랴나대학교 철학연구소의 선임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잉여향유』, 『팬데믹 패닉』, 『매트릭스로 철학하기』, 『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상』 등이 있다.
펼치기
이성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철학자, 번역가. 서울대학교 영어교육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미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박사과정을 수학했다. 중학교 교사로 생활하다 교직을 접고 오랫동안 철학, 미학, 심리학, 인류학 등을 공부하며 관심 분야의 집필 및 번역 작업을 해왔다. 저서로는 <철학하는 날들>, <말 놓을 용기> 등이 있고, 역서로는 <동기간>, <아름다음과 정의로움에 대하여>, <디자인 철학>, <부정적인 것과 머물기> 등 다수가 있다. 현재 ‘가디서사학세미나’에서 공부하며 ‘서사학 총서’를 준비 중이다.
펼치기
김지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를 졸업하고 중앙대학교에서 영화이론 석사학위를 받았다. 1996년 영화잡지 '키노'를 통해 영화평론가로 등단한 뒤 '영화언어'와 'DVD 2.0' 등에서 비평 활동을 하고 있으며, 서울대학교와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에 출강하며 영화이론, 시각문화, 미디어 이론에 대한 연구와 번역 작업을 병행하고 있다. 같이 지은 책으로 <오즈 야스지로>, <강원도의 힘>, <김기덕, 야생 혹은 속죄양>, <로베르 브레송> 등이 있다.
펼치기
박제철 (옮긴이)    정보 더보기
영화학 박사. 싱가포르 국립대 영문과 교수. 지은 책으로는 「라캉과 한국영화」(공저), 「World Cinema and the Visual Arts」(공저)가, 옮긴 책으로는 「신체 없는 기관」(공역), 「이라크」(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그렇다면 사실상 헤겔과 들뢰즈의 차이는 어디에 있는가? 아마도 차이는 내재성과 초재성 사이가 아니라 흐름과 간극 사이에 있을 것이다. 들뢰즈의 초월적 경험론의 "궁극적 사실"은 순수생성의 끊임없는 흐름의 절대적 내재성인 반면, 헤겔의 "궁극적 사실"은 내재성(속)의 환원불가능한 파열이다. 여기서 우리는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이론에서 일반상대성으로의 이행을 환기해야 한다. 헤겔에게 현상과 그것의 초재적 근거 사이의 간극은 현상 그 자체(속)의 절대적으로 내재적인 간극의 이차적 효과인 것이다.

"초재성"은 현상의 내재성이 파열되고, 부서지고, 비일관적이라는 사실의 환영적 반영이다. 좀 더 단순화해서 말하면 초재적 사물이 우리의 손아귀를 빠져나가기 때문에 현상이 부서지는 것이, 우리가 다양한 부분적 관점들을 갖는 것이 아니다. 반대로 이 사물의 유령은 현상의 비일관성의 "물화된" 효과이다. (여하한 초재성도 그 원인이 아니며 자기가 자신의 원인인) 내재성 속의 이 간극은 들뢰즈가 수용할 수 없는 것이라면 어찌할 것인가? 거기에 헤겔의 진정한 교훈이 있다. 내재성은 이미 그 자체 비일관적이기 때문에 초재성의 유령을 발생시킨다. - 본문 123~124쪽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