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정신분석학
· ISBN : 9788991706972
· 쪽수 : 423쪽
· 출판일 : 2015-10-23
책 소개
목차
서론: 여자가 없다고 상상해봐 _ 9
1부 승화라는 여성적 행위
1. 고집의 무덤: 「안티고네」에 관하여 29
근대기의 불멸성 _ 42 ㅣ 죽음 충동: 포이어바흐에 관한 프로이트의 테제 _ 52 ㅣ 견디려는 고집스러운 욕망 _ 80
2. 나르시시즘, 비껴 접근하기 93
부분 대상 _ 95 ㅣ 나르시시즘과 승화 _ 106 ㅣ 신디 셔먼의 <무제 영화 스틸> _ 126
3. 이집트인 모세와 남북전쟁 이전 남부의 뚱뚱한 흑인 유모: 프로이트의 인종과 역사 145
블랙 바로크 _ 167 ㅣ 인종적 정체성이라는 작자 불명의 근거 _ 177
4. 울음의 발명과 행위의 반연극성 183
히스테리아 대 몰입 _ 183 ㅣ <스텔라 달라스>에서의 다양한 관객성 _ 200
2부 악과 관람자의 눈
5. (무)한한 세계의 시대에서의 악 225
죄 있음 _ 237 ㅣ 법과 처벌 _ 244 ㅣ 은총 _ 252
6. 시큼한 정의 혹은 자유주의적 시기 265
시기와 정의: 롤스 _ 274 ㅣ 아름다움과 정의: 스캐리 _ 284 ㅣ “평등 공리” _ 292
7. 시각의 버팀목: 본다는 것의 육체적 지탱물 297
8. 자프루더가 본 것 327
아마도 대타자가 _ 341 ㅣ 불안과 응시 _ 359 ㅣ 절대적으로 대타자가 _ 365
인명 찾아보기 _ 381
작품명 찾아보기 _ 391
용어 찾아보기 _ 393
옮긴이의 글 _ 411
리뷰
책속에서
“여자는 실존하지 않는다.”라는 라캉의 악명 높은 명제는 어떤 충격 가치에 그 의미를 희생해왔다. 그 명제의 악명은 그것에서 실제로 충격적인 것을 이해하려는 진지한 노력들을 가로막아 온 것이다. 실제로 충격적인 것은 그 명제가 존재를 복수적이고 부분적인 것으로서, 충동의 작은 대상들로서 정의하는 것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책에 동기를 부여하는 명령은 여자가 없다고 상상해봄으로써, 즉 이 명제가 내포하는 존재 개념의 여파가―윤리에 있어―어떠한 것인지를 상상해봄으로써 그 명제를 진지하게 취급하라는 것이었다. 정신분석의 윤리는 존재론에 대한 그 기본적인 비판으로부터, 즉 충동과 승화의 이론으로부터 나온다. 정신분석은 주체의 존재론에 대한 철학적 탐문들을 충동과 승화의 이론으로 대체하기 때문이다. 이 윤리의 관심사는 주체가 존재의 이 작은 조각들과 맺는 관계이다. 주체가 타인들이나 대타자Other와 맺는 관계가 그 일차적인 관심사가 아니다. -지은이 <서문>에서
이 책 「여자가 없다고 상상해봐」의 부제는 “윤리와 승화”, 오늘날 나를 포함한 많은 이들이 라캉에게 당도하게 해준 바로 그 이정표를 치켜들고 있다. 물론 윤리도 그렇고 승화도 그렇고 그리 신선한 개념은 아니다. 윤리는 사유의 역사 전체를 관통해온 관심사였으며 승화는 이미 다중의 생활언어가 된 지 오래다. 그렇다면 21세기를 진지하게 감당해 나가려는 지구인들에게 오늘날 새삼 윤리와 승화의 문제가 다시 부각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무엇이 정신분석적 관점에서의 윤리와 승화를 특별하게 하는가? 이 책의 제목은 이미 그 답을 내비치고 있다. 정신분석적 윤리는 승화의 문제이기도 하며 윤리가 됐든 승화가 됐든 그것은 여자에게만 허용된 길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단언은 도발적이다. 더군다나 오늘날처럼 여성 혐오가 (깽)판치고 있는 상황에서는 더욱 그렇다. 물론 그처럼 예외적으로 폭력적인 현실을 고려하지 않더라도 이러한 주장은 여전히 반사회적으로 느껴진다. 지금은 차이를 억압하지 않(아야 하)는 시대, 다문화의 시대가 아닌가. 그런데 이처럼 배타적인 관점이라니? 어떻게 지구인의 절반을 배척하겠노라 주장할 수 있단 말인가? 그렇다고 이러한 관점이 여성들의 환영을 받은 것도 아니다. “여자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라캉의 테제(에 대한 오해)는 페미니즘과 라캉 정신분석의 양립을 결정적으로 가로막은 바 있다. 자, 이러한 난국을 어떻게 헤쳐 나올 것인가? -<옮긴이의 글>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