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인간 진화의 심리학

인간 진화의 심리학

P. D. 우스펜스키 (지은이), 정명진 (옮긴이)
부글북스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개 23,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인간 진화의 심리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인간 진화의 심리학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88992307642
· 쪽수 : 242쪽
· 출판일 : 2012-01-30

책 소개

저자 우스펜스키의 영적 스승 구르지예프의 가르침의 핵심인 ‘제4의 길’을 대중들에게 쉽게 전하기 위해 강연 내용을 책으로 묶었다. 구르지예프의 가르침은 한마디로 자기 자신을 알면 자신을 진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구르지예프의 가르침과 수련 방법은 지금도 ‘구르지예프 무브먼트’ 등의 이름으로 전세계에서 널리 실천되고 있다.

목차

<책을 내면서>

제1강 심리학이란 무엇인가?
오랫동안 잊혔던 학문, 심리학/ 심리학이 썼던 다양한 가면들/ 인간의 가능한 진화/ 인간은 완성품이 아니다/ 인간의 성숙은 공평하다/ 인간은 기계다/ 당신 안에 너무나 많은 당신/ 의식의 한계는 고작 2분/ 인간의 삶은 수면상태다/ 인간의 자신의 의식을 지배할 수 있는가?/ 자기공부/ 인간기계의 쓸모없는 기계들

제2강 의식이란 무엇인가?
언제나 수면상태다/ 어떻게 깨어날 수 있는가?/ 인간은 자기 자신에 무지하다/ 인간의 삶은 거짓말의 연속이다/ 정수(精髓)와 인격/ 인간 기계의 4가지 기능/ 기계적인 삶을 멀리하라/ 동일시와 ‘타인의 시선에 대한 고려’

제3강 인간이란 기계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인간이 스스로 하는 동작은 없다/ 인간기계의 오작동/ 현재에서 벗어나고픈 욕망/ 동시에 추구해야 할 3가지 공부 방식/ 기억이란 무엇인가?

제4강 인간의 마음은 어떻게 움직이는가?
정신의 기능들에 대한 관찰/ 신체 기능의 서로 다른 속도/ 긍정적 파트와 부정적 파트/ 원래부터 부정적인 파트는 없다/ 영원한 사랑은 보통사람들의 능력 밖이다/ 동일시를 경계하라/ 부정적인 감정을 버려야지, 왜 쾌락을 버리나?/ 부정적인 감정 대부분은 날조다/ 영원한 것은 없다/ 그래도 마음을 다스리는 것이 가장 쉽다

제5강 성숙은 어떻게 이루는가?
인간의 ‘존재’ 같은 것은 없다/ 지식과 존재/ 이해력은 무엇인가?/ 이해는 언제나 하나다/ 당신의 이해력만큼만 세상이 보인다/ 주의력과 자기기억/ 이분법적 사고

특별강연
옮긴이의 글

저자소개

P. D. 우스펜스키 (지은이)    정보 더보기
1878년에 모스크바에서 태어나 유년기에 공립학교에 공부를 했고, 1906년에 모스크바 일간 신문인 The Morning의 편집 업무를 보았고, 1913년 가을35 세때 초자연적인 것을 찾아 동방으로 여정을 했으나 제 1차 세계대전 때문으로 모스크바로 돌아온 후, 구르지예프를 만났다. 우스펜스키는 1915년에 페테르부르크에서 구르지예프를 만난 후, 그의 곁은 떠나기 전 8년 동안 그가 창안한 이론적 체계와 기법을 사사하였다. 1924년에 독립적으로 구르지예프의 이론 체계를 영국과 미국에서 25년 동안 가르쳤다. 1909년에 그의 첫번째 책인 《The Fourth Dimension》을 출간한 후로 《Tertium Organum》, 《A New Model of the Universe》, 《Strange Life of Ivan Osokin》등을 집필하였다. 러시아 혁명후에 이스탄불을 거쳐 영국에서 구르지예프의 가르침을 강의하면서 《In Search of the Miraculous》를 저술하였다. 이 책은 우스펜스키 사후에 그의 부인이 구르지예프의 허락을 받아 출간하였다.
펼치기
정명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를 졸업한 뒤 중앙일보 기자로 사회부, 국제부, LA 중앙일보, 문화부 등을 거치며 20년 근무했다. 현재는 출판기획자와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옮긴 책으로는 <칼 융 레드 북>(칼 구스타프 융) <흡수하는 정신>(마리아 몬테소리) <부채, 첫 5000년의 역사>(데이비드 그레이버), <나는 왜 내가 낯설까>(티모시 윌슨) <당신의 고정관념을 깨뜨릴 심리실험 45가지>(더글라스 무크), <상식은 어쩌다 포퓰리즘이 되었는가>(소피아 로젠펠드), <타임: 사진으로 보는 ‘타임’의 역사와 격동의 현대사>(노베르토 앤젤레티)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너 자신을 알라.’ 이 말은 옛날의 심리학 학파들의 제일의 원칙이자 제일의 요구사항이었다. 지금 우리도 이 말을 잘 기억하고 있다. 하지만 그 말의 의미를 잊어버린 지는 오래다. 우리는 ‘자신을 안다’는 것이 우리의 특징들과 욕망, 취향, 능력, 의도를 아는 것을 의미한다고 생각한다. 그렇지 않다. 그것은 우리 자신을 하나의 기계로 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자신이라는 기계의 구조를 알고, 그 기계의 부품들을 알고, 부품마다 서로 다른 기능들을 알고, 그 기계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 등을 알아야 한다는 뜻이다. 우리는 현실 속에선 어떠한 기계를 대하든 그것을 공부하지 않고는 잘 알지 못한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우리 자신에 대해서도 똑같이 말할 수 있다. 우리는 자신을 하나의 기계로 공부해야 한다. 그 공부 수단은 ‘자기관찰’이다. 그 외에 다른 방법은 없다. 또 당신을 위해 그 공부를 대신해 줄 사람도 없다. 여기까지 이해한다면 당신은 더 이상 기계가 아닐 수도 있다.”
“인간의 기원과 과거의 인간의 진화에 관한 현대적 관점들에 대한 의견부터 밝히면, 나는 조금도 주저하지 않고 그런 관점들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해야 한다. 우리는 인간의 기원에 대해 아는 바가 전혀 없다는 점을 깨달아야 한다. 또한 인간의 육체적 또는 정신적 진화를 뒷받침할 증거도 전혀 없다.
반대로, 만일 우리가 역사 속의 ‘인류’를 본다면, 즉 1만년 또는 1만5천년 동안의 인간을 돌아본다면 우리는 보다 고등한 유형의 인간이 존재한 흔적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유형의 인간이 존재했다는 것은 고대의 유물과 기념물로도 충분히 뒷받침된다. 그 유물과 기념물들은 현재의 인간으로서는 복제하거나 모방할 수 없는 것들이 아닌가.
과거의 인간의 진화를 부정하면서, 우리는 또한 미래의 인간의 ‘기계적인’ 진화의 가능성까지 부정해야 한다. 즉 유전과 자연선택의 법칙에 따라 저절로 일어나는 진화는 없고, 인간이 자신에게 가능한 진화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또 의식적으로 노력을 기울여야만 진화가 가능하다는 말이다.”
“기본적인 사상은 이렇다. 우리가 알고 있는 인간은 ‘하나의 완성된 존재’가 아니다. 또 자연은 인간을 일정 단계까지만 발달시키고 그 다음에는 인간에게 맡겨버린다. 이 단계에 이르면 인간은 자신의 노력과 아이디어로 더 발전하든가, 아니면 그냥 그대로 살다가 태어날 때의 모습으로 죽든가, 그것도 아니면 퇴보하다가 발달의 능력을 잃어버리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인간의 진화는 ‘그냥 내버려두면 성장하지 않은 상태로 늘 그대로 남거나 제 스스로는 성장하지 못하는’ 내면의 어떤 자질들과 특징들이 성장하는 것을 의미할 것이다.”
“인간은 자발적으로 움직이거나 생각하거나 말을 하지 못한다. 인간은 눈에 보이지 않는 끈에 의해 여기저기 당겨지고 있는 꼭두각시에 지나지 않는다. 만일 어떤 사람이 이런 진리를 이해한다면, 그 사람은 자기 자신에 대해 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을 것이며 또한 많은 것들을 자신에게 이로운 쪽으로 바꿔놓기 시작할 것이다. 그러나 그처럼 철저한 ‘기계성’을 깨닫지 못하거나 이해를 못하고 그것을 사실로 받아들이길 바라지 않는다면, 그 사람은 자기 자신에 대해 더 이상 배우지 못할 것이며 많은 것들을 자신에게 이로운 쪽으로 바꿔놓지 못할 것이다.”
“아주 먼 행성에 과학자가 존재한다고 상상해 보자. 이 과학자가 지구로부터 조화(造花)를 한 묶음 받았다. 그런데 이 과학자는 진짜 꽃에 대해 아는 것이 아무것도 없다. 그런 경우 이 과학자가 그 조화에 대한 정의를 내리기가 매우 어려워질 것이다. 조화의 모양과 색깔, 그리고 재료 즉 철사와 솜과 색지 등에 대해 설명하는 것도 무척 힘들 것이다. 아마 그 조화를 무엇으로 분류할 것인지를 놓고도 고민을 많이 하게 될 것이다.
심리학도 인간과의 관계에 있어서 이와 매우 비슷한 입장에 서 있다. 심리학은 진정한 인간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가운데 인공적인 인간을 연구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