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책/행정/조직
· ISBN : 9788994445526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14-01-27
책 소개
목차
머리말 4
1장_협동으로 하나 되는 지역, 통치가 아닌 협치 15
1. 문제 제기: 지방 지속가능성 과정의 쟁점과 제도적 틀의 설계 17
2. 연구 방법 21
3. 이 책의 차별성과 의미 27
2장_지방의제21의 목표와 수단: 지속가능발전과 거버넌스 31
1. 지구환경의 위기: 지속가능발전 개념의 등장과 확산 33
2. 지속가능발전의 원칙: 지속가능발전의 사다리 40
3. 전통적인 정부의 형태에서 거버넌스로의 변화: 협력적·참여적 관리 모델 44
4. 거버넌스적 사고와 생활양식으로의 전환: 한국의 역사적 상황과 거버넌스 46
3장_지방 지속가능발전의 역사 59
1. 리우+20과 지방의제21:
지방 지속가능성 운동의 국내외 추진 과정 61
2. ‘지방 지속가능성 과정’의 다섯 가지 유형 68
3. 한국 지방의제21 역사와 평가 76
4. 리우+20 이후 지방의제21의 새로운 위상과 역할 99
4장_지방의제21과 지속가능한 지역공동체 107
1. 지속가능한 지역공동체의 개념 정의 110
2. 지속가능한 지역공동체 구축의 기본 관점과 내용 116
3. 지속가능성 과정과 이행 평가의 준거(틀) 125
4. 지방 지속가능성과 통합적 관리체계 130
5장_지속가능한 지역공동체 추진 현황과 실천 과제 137
1. 지속가능한 지역공동체 5대 목표별 정책 현황 139
2. 참여적 거버넌스의 제도화 현황과 개선 방안 144
3. 지속가능한 지역공동체를 위한
지방의제21의 역할과 추진 전략 190
4. 지속가능한 지역공동체를 위한 민선 6기 매니페스토 개발 방안 194
6장_마치며 205
주해 211
부록 | 지방의제21 전국대회 선언문 219
참고문헌 270
찾아보기 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