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근현대사(아편전쟁 이후)
· ISBN : 9788996648246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13-01-11
책 소개
목차
옮긴이의 말 | 리훙장 다시 읽기 | 4
지은이 소개 | 량치차오는 누구인가? | 8
지은이의 말 |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그려라” | 12
제1장 서론 | 과연 리훙장에게 모든 책임을 물을 수 있는가?
간웅인지 호걸인지 논하기 전에 그가 처한 위치와 상황을 먼저 이해하라 | 23
비스마르크와의 만남 | 24
중국 근대사와 뗄 수 없는 중요한 인물 | 26
시대가 만든 영웅인가, 시대를 만든 영웅인가? | 29
제2장 리훙장의 위치 | 리훙장을 위한 변호
근대 중국의 권신 | 35
권신의 네 가지 유형 | 37
중국에서 전제정치가 발달한 중요한 두 가지 원인 | 42
만주족 관원 일색인 청조의 몇 안 되는 한족 중신 | 45
제3장 리훙장 등장 이전의 중국의 상황 | 난세는 영웅을 만든다
밀려드는 열강, 혼란한 정국 | 57
끝없이 이어지는 반란 | 61
태평천국의 난 진압, 군사가로서의 명성 시작 | 64
쩡궈판의 참모가 되다 | 70
제4장 군사가 리훙장 상(上) | 시대의 총아, 태평천국을 평정하다
태평천국의 위세가 절정에 달하다 | 75
상승군의 창설 | 79
쩡궈판의 상군, 안칭을 수복하다 | 81
리훙장, 회군을 조직하다 | 84
상하이 방어 성공, 지휘 통솔 능력을 인정받다 | 86
태평천국의 근거지 난징을 토벌하라 | 88
리훙장의 맞수 리슈청 | 89
상승군 지휘관 버제빈 파면 | 96
쑤저우 성 수복 | 100
장쑤 성 남부의 태평군 평정 | 104
난징 수복, 태평천국을 평정하다 | 109
제5장 군사가 리훙장 하(下) | 치밀한 군사전략으로 염군의 난을 평정하다
염군의 난 | 119
동염군을 섬멸하다 | 122
서염군을 섬멸하다 | 127
그 스승에 그 제자, 장수들을 잘 다스리는 진정한 인재 | 131
제6장 양무운동 시기의 리훙장 | 양무운동의 선구자, 진정한 중국 근대화에 실패하다
양무운동을 주도하다 | 137
강군 양성, 사라져버린 옛 꿈 | 142
리훙장의 실패 원인 | 148
제7장 청일전쟁 시기의 리훙장 | 군사가로서의 명성이 청일전쟁 패배와 함께 사라지다
리훙장의 첫 번째 실책 | 159
리훙장의 두 번째 실책 | 163
리훙장의 세 번째 실책 | 168
청일전쟁의 시작, 풍도해전과 아산전투 | 168
황해해전 패배로 제해권을 상실하다 | 171
평양전투, 청나라 해군에 이어 육군도 패하다 | 175
청일전쟁 패배 이유 | 178
리훙장의 열두 가지 책임 | 183
“일본은 중국이 아니라 리훙장 한 사람과 전쟁을 한 것이다” | 185
제8장 외교가 리훙장 상(上) | 굴욕적인 톈진조약과 마관조약을 체결하다
톈진 교안, 리훙장이 처리한 첫 번째 외교 사건 | 193
외교 처리 능력을 인정받다 | 195
청일전쟁의 도화선 톈진조약을 체결하다 | 199
마관조약 체결, 총상으로 얻은 평화 | 202
제9장 외교가 리훙장 하(下) | 리훙장의 외교 역사는 곧 실패의 역사이다
러시아, 독일, 프랑스의 힘을 빌려 일본에 항거하다 | 219
랴오둥 반도 반환의 대가, 중러밀약 | 222
리훙장의 유럽 순방, 실패로 끝난 수입 관세 인상 계획 | 227
자오저우 교안 사건 | 229
무산된 외국 차관 도입 시도 | 233
중국을 차지하기 위한 열강들의 싸움 | 235
제10장 한직에 있을 때의 리훙장 | 량광 총독 시절의 업적과 과오
황허 치수 사업에 작지만 의미 있는 공헌을 하다 | 245
범죄 현장에서 잡는 즉시 극형에 처하다 | 247
도박을 권장하면서 세금을 거두다 | 247
교활한 천주교 신자들에 맞서다 | 249
“캉유웨이 일당의 기세를 진압하라” | 249
제11장 리훙장의 말년 | 죽기 직전까지 국사를 걱정한 한 시대의 풍운아
의화단 사건, 무술변법의 반작용 | 255
당시 리훙장이 취할 수 있었던 상ㆍ중ㆍ하책 | 259
열강 11개국과 신축조약을 체결하다 | 260
러시아와 중러만주조약을 체결하다 | 264
한 시대의 풍운아 역사 속으로 사라지다 | 269
제12장 결론 | 리훙장은 어떤 인물이었나?
리훙장과 곽광 | 277
리훙장과 제갈량 | 278
리훙장과 곽자의 | 279
리훙장과 왕안석 | 280
리훙장과 진회 | 281
리훙장과 쩡궈판 | 282
리훙장과 쭤쭝탕 | 283
리훙장과 리슈청 | 284
리훙장과 장즈퉁 | 285
리훙장과 위안스카이 | 286
리훙장과 메테르니히 | 287
리훙장과 비스마르크 | 288
리훙장과 글래드스턴 | 290
리훙장과 티에르 | 292
리훙장과 이이 나오스케 | 293
리훙장과 이토 히로부미 | 295
리훙장에 대한 일화 | 296
리훙장에 대한 어느 일본인의 평론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