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사상가/인문학자
· ISBN : 9788997046997
· 쪽수 : 420쪽
· 출판일 : 2013-07-04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서장│ 마루야마 마사오와 공공철학
- 논쟁적 구도 -
고바야시 마사야(小林正彌)
1. 공공철학의 개념
2. 전후 사상과 혁신적 공공철학
3. 공공철학의 요건
4. 마루야마 비판의 제 유형과 비방론
5. ‘국민주의자 마루야마’라는 외재적 비판
6. ‘전시(戰時)동원론자 마루야마’라는 비방
7. ‘경고자(警告者)로서 마루야마’와 에콜로지적 재정식화
8. 비방론과 호교론(護敎論)의 이항대립(二項對立)을 넘어서
│1부│ 주체적 작위
제1장 마루야마 마사오의 세 가지 주체상(主體像)
마루야마의 후쿠자와ㆍ토크빌 이해를 실마리로 삼아
우노 시게키(宇野重規)
1. 머리말
2. 초기 마루야마의 주체의 아포리아(Aporia)
3. 주체와 내셔널리즘 - 국민주체 -
4. 후쿠자와 유키치의 전회(轉回)
- 자기상대화 주체(自己相對化 主體) -
5. 마루야마의 토크빌적 계기
- 결사형성적 주체(結社形成的主體) -
6. 맺음말
제2장 마루야마 마사오의 ‘작위’론의 전개
- 재해석과 재정식화(再定式化)를 향해서 -
세키야 노보루(關谷昇)
1. 머리말
2. ‘작위’의 원형(原形)
3. 마루야마의 ‘작위’론의 성립조건
4. ‘작위’론을 둘러싼 외재적 비판의 함정
5. ‘작위’론의 구체적 발전
6. ‘소여에서 작위로’의 논리
7. 맺음말
- ‘자연’과 ‘작위’의 변증법을 향해서 -
│2부│ 파시즘과 시민사회
제3장 마루야마 마사오와 역사를 보는 눈
야마구치 야스시(山口定)
1. 머리말
2. 파시즘 연구와 마루아먀 마사오
3. 마루야마 이론에서 역사의 변동을 보는 눈과 일본 문화
4. 마루야마 이론에서 ‘시민’과 ‘시민사회’
5. 맺음말
제4장 마루야마 마사오와 렌초 데 펠리체
- 두 개의 파시즘론 -
이시다 겐(石田憲)
1. ‘계몽적’ 파시즘론의 계보
2. 마루야마와 데 펠리체의 공통성
- 마르크스주의와 자유주의를 넘어서 -
3. 두 가지 파시즘론의 상호보완 가능성
- 파시즘 해석의 풍요로움 -
4. 이질성의 배경과 양극 분해
- 전전(戰前)과 전후(戰後)의 사이 -
5. ‘계몽’에서 ‘역사’로
제5장 마루야마 마사오의 ‘시민사회’론
히라이시 나오아키(平石直昭)
1. 관심의 소재
2. 마루야마의 ‘시민사회’ 용례와 그 의미연관(意味連關) 검토
3. 마무리
│종장│ 마루야마 마사오의 사상적 발전
- 그 전체상(全體像)의 비판적 재구성 -
고바야시 마사야(小林正彌)
1. 머리말: 시기구분론의 의의
2. 초기=근대주의 시기 - 일본 파시즘 대(對) 주체적 작위 -
3. 중기=역설적 공공주의 시기
- 전후 파시즘 대(對) 시민세계 -
4. 후기=다원적 보편주의 시기
- 고층(古層) 대(對) 정신혁명 -
5. 자연적 작위의 공공철학을 향해서
- 문화와 정치의 포괄적 작위 -
특론(特論) 1
진단자(診斷者)로서 막스 베버와 마루야마 마사오
오가와 아리요시(小川有美)
특론(特論) 2
마루야마 마사오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
- 21세기 공공철학을 위하여 -
야마와키 나오시(山脇直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