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94154107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11-06-24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 마이클 샌델의 정치철학의 전체상
서론 - 왜 이런 대반향이 일어났을까?
part1 하버드 강의의 사상적 에센스 정의의 탐구
chapter1 세 개의 정의관 - 옳은 일 하기
chapter2 공리주의의 복리형 정의론 - 최대 행복의 원리
chapter3 자유지상주의의 자유형 정의론 - 우리는 우리 자신을 소유하는가?
chapter4 시장주의에 방치된 도덕 - 고용된 대리인
chapter5 도덕적 철학자, 칸트 - 중요한 것은 동기다
chapter6 존 롤스의 자유형 정의론 - 평등을 위한 이유
chapter7 자유주의의 부조리 - 소수집단 우대정책을 논한다
chapter8 정의론의 고전적 원천, 아리스토텔레스 - 누가 무엇에 가치를 매기는가?
chapter9 공동체주의와 충직 딜레마 - 서로 연대된다는 것
chapter10 샌델의 이상 - 정의와 공동선
part2 존 롤스의 마술을 푼다 자유주의와 정의의 한계
chapter1 롤스의 정의론 - 전후의 정치철학
chapter2 정의의 위위성을 비판한다 - 정의와 선
chapter3 형이상학 없는 정의론 - 자유주의와 정의의 우위성
chapter4 롤스가 생각하는 자아란? - 정의와 도덕 주체
chapter5 소득은 도덕적 가치와 무관한가? - 소유·적가·분배의 정의
chapter6 계약의 정체는 원리의 발견 - 계약론과 정당화
chapter7 진짜 공동체와 선이란 - 정의와 선
chapter8 연고적 자아의 우정과 성찰 - 자유주의와 정의의 한계
chapter9 공동체주의의 출발 - 도덕성과 자유주의 이상
chapter10 존 롤스 정리
part3 공화주의의 재생을 위하여 민주정에 대한 불만
3-1 절차공화국의 헌법 공화주의적 헌정사
chapter1 롤스 대 샌델 - 현대 자유주의의 공공철학
chapter2 건국 당시에는 권리 중심이 아니었다 - 권리와 중립적 국가
chapter3 중립성의 논리로 잃어버린 것 - 종교의 자유와 언론의 자유
chapter4 성적 관계와 가족 관계 - 프라이버시권과 가족법
3-2 시민의식의 정치경제 공화주의적 정치경제사
chapter5 공화주의적 산업을 찾아서 - 초기 공화국의 경제와 미덕
chapter6 공화주의적인 두 가지 운동 - 자유노동과 임금 노동
chapter7 두 개의 혁신주의 - 공동체와 자기통치
chapter8 선이 없는 경제학의 승리 - 자유주의와 케인스 혁명
chapter9 불만의 극복에서 생기는 시행착오 - 절차공화국의 고뇌와 승리
chapter10 새로운 공화주의의 비전 - 공공철학을 찾아서
chapter11 공화주의는 어떻게 다시 태어났을까?
part4 유전자공학에 의한 인간 개조 반대론 완벽함에 대한 반론
chapter1 강화의 윤리학 - 긍정론에 대한 도전
chapter2 생체공학적 운동선수 - 목적론적인 강화에 대한 비판
chapter3 자녀를 디자인하는 부모 - 사랑과 교육의 강화
chapter4 우생학의 어제와 오늘 - 자유주의 우생학 비판
chapter5 지배와 선물 - 천부 생명관을 지탱하는 미덕
chapter6 배아의 윤리 - 도덕적 보수파 비판
chapter7 다른 철학적 입장과의 관계
part5 공동체주의적 공화주의의 전개 공공철학 논집의 통찰
서장 민주사회에서 왜 도덕적 가치가 중요한가?
chapter1 공화주의적 정치평론 - 도덕이란 무엇인가?
chapter2 시장주의와 자유주의에 대한 비판 - 도덕적·정치적 논리
chapter3 논쟁의 전개 - 공동체주의, 다원주의, 공동체
종장 본래의 정의란 무엇인가? - 정의론 비판에서 새로운 정의론까지
감수자의 글-현대의 문제를 푸는 오래된 미래, 공동체주의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그러나 이에 비해 정치철학은 실천적인 의미를 갖는 것으로, 단순히 추상적인 공리공론이 아니라 현실을 바꿔나갈 수 있는 힘을 가진 학문이다. 도쿄대 야스다 강당에서 열린 강의에서 마지막에 샌델은 “이 강의가 철학은 세계를 바꿀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고 말했다. 이 말은 우리에게 큰 의미를 갖는다. 정치철학은 동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을 도발해서 보다 좋은 세계로 변혁해 나가는 학문인 것이다.
샌델의 정치철학은 지식과 함께 미덕 역시 재생시키고 있다.
샌델의 정치철학의 핵심은 선이 있는 정의다. 즉 미덕을 촉진하는 정의로 미덕이나 좋은 삶과 관계 깊은 정의다. 이것은 서양의 아리스토텔레스를 비롯한 그리스 미덕 철학의 전통에 그 원천이 있으며 동아시아의 유교적 전통과도 맥락을 같이 한다.
샌델이 《정의》를 통해 말하고자 하는 것은 도덕적 혹은 목적론적 정의론, 즉 본래의 정의론을 부활시키려는 사상적 도전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