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DSM-5-TR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

DSM-5-TR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5판 수정판)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지은이), 권준수, 김붕년, 김재진, 신민섭, 신일선, 오강섭, 원승희, 이상익, 이승환, 이헌정, 정영철, 조현상, 김민아 (옮긴이)
학지사
7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79,000원 -0% 0원
0원
79,000원 >
74,900원 -5% 4,000원
카드할인 10%
7,490원
71,41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DSM-5-TR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DSM-5-TR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5판 수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임상의학 > 신경정신과
· ISBN : 9788999729966
· 쪽수 : 1256쪽
· 출판일 : 2023-10-20

책 소개

개정된 DSM-5-TR은 기존 70개 이상 질환에 대한 진단기준 수정 사항을 포괄적으로 업데이트하면서 정신질환 진단에 있어서 명확함을 더했다. 특히 가장 광범위하게 개정을 가진 본문의 경우 유병률, 위험 및 예후 인자 등이 최신 정보로 탈바꿈했다.

목차

DSM-5-TR 의장
DSM-5 조직위원회와 실무단
DSM-5-TR 한글판 번역자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5판 수정판의 한글판을 출간하며
DSM-5-TR 서문
DSM-5 서문
DSM-5-TR 분류

I편 DSM-5 기본 요소
서문
편람의 활용
DSM-5의 법의학적 적용을 할 때 주의할 점

II편 진단기준과 부호
신경발달장애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
양극성 및 관련 장애
우울장애
불안장애
강박 및 관련 장애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
해리장애
신체증상 및 관련 장애
급식 및 섭식 장애
배설장애
수면-각성장애
성기능부전
젠더 불쾌감
파괴적, 충동조절, 그리고 품행 장애
물질관련 및 중독 장애
신경인지장애
성격장애
변태성욕장애
기타 정신질환 및 추가적 부호
치료약물로 유발된 운동장애 및 치료약물의 기타 부작용
임상적 관심의 초점이 될 수 있는 기타 상태

III편 새로 개발된 평가척도와 모델
평가척도
문화와 정신과적 진단
성격장애에 대한 대안적 DSM-5 모델
추가 연구가 필요한 진단

부록
DSM-5-TR 진단과 ICD-10-CM 부호의 알파벳순 목록
DSM-5-TR 진단과 ICD-10-CM 부호의 숫자순 목록
DSM-5 고문단과 기타 공헌자

찾아보기

저자소개

오강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불안장애 국내 최고 권위자. 고려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컬럼비아 의과대학에서 사회불안장애 분야 세계적 석학인 마이클 리보위츠 교수의 지도하에 박사후 연구과정을 지내면서 불안장애에 대한 임상연구의 기초를 닦았다. 미국 연수 후 동료 정신과 의사들과 ‘불안장애 연구회’를 조직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대한불안의학회가 설립되어 창립회원으로, 학회 초대 총무이사로 활동하였다. 이후 대한불안의학회 이사장, 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차기이사장으로 활동 중이다. 매년 ‘불안선별의 날’ 행사 등을 통해 불안장애를 알려왔다. 또한 이시형 박사가 1982년 시작한 ‘대인공포증 클리닉’을 이어받아 현재까지 운영 중이다. 불안장애에 대한 인식 수준이 매우 낮았던 1990년대부터 일찍이 불안장애에 관심을 두고 120여 편의 논문을 쓰는 등 관련 연구를 해왔으며, 특히 한국형 불안장애 연구의 선구자로 사회불안장애, 공황장애의 집단치료모델을 만들었고, 최근에는 사회불안장애 인지편향 수정치료를 완성하기 위해 연구 중이다. 《불안한 마음 괜찮은 걸까?》에는 불안으로 힘든 이들을 위해 불안은 무엇인지, 왜 불안한지,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지 등 불안에 대한 이해와 함께 극복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담겨 있다.
펼치기
권준수 (옮긴이)    정보 더보기
‘가장 과학적인 방법으로 뇌와 마음을 보듬는 정신의학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교수로 재직 중이며, 서울대학교 뇌인지과학과 교수를 겸임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하버드대학교 의과대학 방문교수로 있을 때 뇌 영상술을 이용한 정신질환의 기전을 연구했고, 이후 35년간 연구자이자 치료자로서 과학적 탐구를 통한 뇌와 마음의 관계를 분석하는 학문적 성과를 만들어가고 있다. 조현병과 강박증 분야의 국내 최고 권위자이자 세계적인 뇌영상학 전문가다. 정실질환의 조기 발견과 치료를 위해 힘쓰는 한편 잘못된 사회적 인식과 편견을 바로잡는 데 앞장서고 있다. 특히 대한조현병학회 이사장으로 활동하면서 ‘정신분열병’에 대한 사회적 낙인을 줄이기 위해 ‘조현병’으로 병명을 변경하는 일에 주도적 역할을 했다. 조현병과 강박증 등에 대한 370여 편의 논문을 국제 학술지에 발표했으며, 아산의학상(임상부문), 대한의학회 분쉬의학상, 에밀폰베링 의학대상, GSK학술상 등을 수상했다. 지은 책으로는 『나는 왜 나를 피곤하게 하는가』, 『강박증의 통합적 이해』(공저), 『쉽게 따라하는 강박증 인지행동치료』(공저), 『퇴근길 인문학 수업: 관계』(공저)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편람』, 『만족』 등이 있다.
펼치기
신민섭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소비자아동학과 학사 및 심리학과 석사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박사 서울대학병원 신경정신과 임상심리전문가 과정 수료 (전) 하버드의대 소아정신과 방문교수 (전) 한국임상심리학회·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한국자폐학회·한국심리치료학회 회장 (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교수 (전)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정신과 교수 임상심리전문가, 정신건강임상심리사 1급, 인지행동치료전문가
펼치기
김붕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소아청소년정신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발달뇌과학을 바탕으로 정서 및 행동 문제를 겪고 있는 수많은 아이들과 부모들에게 탁월한 솔루션을 제시함으로써 ADHD, 자폐 스펙트럼 등 발달장애 분야의 국내 최고 권위자로 손꼽히고 있다. 소아청소년정신의학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학회인 국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부회장을 비롯해 발달장애 거점병원 중앙지원단장과 행동발달증진센터장을 맡고 있다. 임상과 연구를 오가며 소아청소년 정신보건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보건복지부장관상, 교육인적자원부장관상 등을 수상하기도 했다. tvN 〈유퀴즈 온 더 블럭〉, EBS 〈부모 클래스〉 등의 방송 프로그램과 유튜브, 강연 등을 통해 마음이 따뜻하고 진정한 행복을 마음껏 누릴 수 있는 건강한 아이로 키우고자 하는 부모들에게 적극적인 응원과 지지를 보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10대 놀라운 뇌 불안한 뇌 아픈 뇌』, 『4~7세 조절하는 뇌 흔들리고 회복하는 뇌』, 『나보다 똑똑하게 키우고 싶어요』, 『천 번을 흔들리며 아이는 어른이 됩니다』 등이 있다.
펼치기
이헌정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이자 국내 최고의 수면전문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수면센터장이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로 진료하고 있다. 수면이 정신건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는 것과, 특히 감정을 다스리는 데 강력한 치유의 힘을 가지고 있음을 알게 된 후 정신의학 중에서도 수면의학과 우울-조울증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으며,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에서 방문학자로 수면의학과 조울증을 연구했다. 일주기 생체리듬의 불균형으로 인한 불면부터 우울, 조울증 등의 문제를 가진 환자들을 매일 만나며 몸 안의 생체시계의 비밀을 알아야 수면제를 끊고 잠과 감정을 조절하는 근원적인 생체리듬을 회복할 수 있다고 조언하고 있다. 대한수면의학회 이사장, 고려대학교 시간생물학연구소 소장, 세계조울병학회 한국지회 회장, 국제학술지 《Chronobiology in Medicine》의 편집위원장을 맡고 있다. <조선일보> 연재 칼럼 “이헌정 교수의 숙면의 기술”을 통해 수면 문제로 고민하는 많은 이들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한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수면에 대한 과학적 이해와 수면 장애 치료법을 소개하고 수면제가 필요없는 최고의 수면 습관을 위한 다양한 팁과 조언을 전한다.
펼치기
이승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에서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UCLA Neuropsychiatric Institute에서 교환교수로 있었으며, 현재 인제대학교 일산 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이자 임상감정인지기능연구소의 소장이다. 국제 학술지인 『Brain Topography, Scientific Report』의 editorial board로 있으며, 국내 SCIE 학술지인 『Clinical Psychiatry and Neuroscience』에서 부편집위원장을 역임하고 있다. 또한 대한불안의학회, 대한조현병학회 그리고 대한정신약물학회 등에서 활동하고 있다. 뇌파, fMRI, 유전자 등을 이용하여 조현병, 우울증, 외상후 스트레스장애를 포함한 정신질환의 감별진단 및 치료 등에 대한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그동안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컴퍼니 비웨이브를 창업하여 대표이사로 일하고 있다.
펼치기
김재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7년 서울의대를 졸업하고 1991년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가 되었다. 2002년 연세의대 교수가 되어, 현재까지 연세의대 강남세브란스병원에 재직하고 있으며, 정신건강의학과 과장, 홍보실장, 진료부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전문 진료분야는 대인공포증, 불안증, 우울증 등이다. 최첨단 뇌기능매핑 기술과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인간의 사회기능과 정신질환의 병태생리를 규명하는 연구로 200여 편의 논문을 유명 국제학술지에 발표하였다. 가상현실치료 기술 개발에도 매진하여 사회공포증 및 공황장애 환자들을 위한 가상현실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해 임상에 활용하여 좋은 치료성과를 얻고 있다. 현재는 정신질환 자가조절을 위한 최첨단의 디지털치료제 개발 및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다. 전문 연구 분야와 관련하여 여러 학회에서 활동해왔으며, 특히 대한조현병학회 이사장과 대한뇌기능매핑학회 이사장을 역임하였다. 현재는 대한디지털치료학회 회장으로 활동 중이다.
펼치기
김재진의 다른 책 >
이상익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신의학 전공으로 의학석사·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수련의, 신경정신과 전공의를 하고 정신과 전문의가 되었다. 이후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과 임상 및 연구 전임의를 마치고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로 취임하여 현재까지 근무 중이다. 중간에 Harvard Medical School에서 research fellow(molecular neuroscience)로 연수하였고, 한국융연구원 수련과정을 수료하고 융학파 분석가가 되었다. 한국분석심리학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펼치기
신일선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펼치기
정영철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펼치기
조현상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펼치기
김민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펼치기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