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63221197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3-12-20
책 소개
목차
서문 문해력, 세상을 살아갈 능력과 지혜 6
1부 문해력 위기 시대의 현실과 대안
1장 우리나라 청소년의 문해력 현황 13
한희정 국민대학교 교양대학 부교수
2장 뉴스 활용 방안 43
김성재 원광대학교 행정언론학부 초빙교수
3장 시사 칼럼 활용 방안: 세상을 해석하는 방법 75
이완수 동서대학교 미디어콘텐츠대학 교수
4장 웹 콘텐츠 활용 방안: 디지털 네이티브를 위한 교육 107
강진숙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5장 교과서 활용 방안: 문해력 중심의 교과서 개발 및 혁신 필요 137
윤세민 경인여자대학교 영상방송학과 교수
2부 문해력 증진을 위한 미디어 활용: 해외사례
1장 미국 비판적 사고 능력 키우기가 핵심 171
이정훈 대진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2장 영국 사회적 약자 고려한 공공 캠페인 201
오광일 캑터스 커뮤니케이션즈 코리아(에디티지) 이사
3장 독일 디지털 미디어 활용도 높이기 227
신종락 제주대학교 독일학과 교수
4장 일본 독서습관 형성을 위한 프로그램 추진 257
백원근 책과사회연구소 대표
5장 중국 사상 선전 도구로서의 리터러시 교육 287
조정원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교수
참고문헌 312
저자소개 326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심심한 사과’의 오독으로 인해 잘못 이해하고 있는 단어들이 인터넷에서 소개되면서 문해력 저조가 어느 정도인지 가늠할 수 있었다. ‘금일(今日, 오늘)’을 금요일로 알거나, ‘명일(明日, 내일)’의 뜻을 미래로 아는 경우, ‘고지식(융통성이 없고 앞뒤가 꽉 막힌 사람을 지칭함)’을 높은(高) 지식으로, ‘무운(武運, 전쟁에서 이기는 운)’을 운이 없는 것으로 이해한다. 그 외에도 ‘떡을 친다’를 한가지 뜻(성관계의 속된 표현)만 알고 ‘양이나 정도가 충분함’이란 뜻을 알지 못해서 문맥을 이해 하지 못하는 경우도 알려졌다.
교사와 학생의 좋은 수업에 관한 인식 연구에 의하면 코로나 시기를 겪고 나서 문해력 교육과 독서교육의 중요성은 특히 강조되었다. 이는 코로나 시기 동안 비대면 수업이 지속되면서 학생들의 기초학력이 떨어지고 학습 격차가 심해진 점, 그리고 읽기 학습에 큰 손실이 있었던 상황에서 기인한다. 특히 초등학생들에게 기초 문해력 습득은 매우 중요한데 그 시기에 기초 문해력을 습득하지 못하면 평생을 통해 읽기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사실 청소년 시기에 갑자기 문해력이 부족해지는 것은 아니다. 기초 문해력은 초등학교 입학 전 아동기부터 격차가 벌어지기 시작해서 성장할수록 격차가 더욱 커지는데, 청소년 시기에 문해력이 부족하다는 것은 아동기 이래 문해력이 부족한 상태에서 필요한 지도를 받지 못하고 청소년 시기에 이르렀다는 것이고, 이는 청년기가 되어도 특별히 노력하지 않는다면, 평생 기초 문해력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산다는 것을 말한다. 주지하다시피 디지털 세대라고 기초 문해력이 중요하지 않은 것이 아니다. 디지털의 문자 정보를 읽고 이해하는 데 역시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