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씨책] 니체와 소피스트](/img_thumb2/9791130469515.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현대철학 일반
· ISBN : 9791130469515
· 쪽수 : 244쪽
· 출판일 : 2015-12-02
책 소개
목차
서론 ·······················xi
제Ⅰ부
소피스트의 양식: 반전 ···············3
니체에게서 몰락의 양면적 가치 ···········5
니체의 근대 인정 ·················8
약자의 강함: 아리스토텔레스의 소피스트 비판 ····26
소피스트의 이중 논증 ···············27
안틸로코스의 술책 ················33
소피스트학 대 철학 ················36
테러 없는 담론 ··················41
제Ⅱ부
유럽의 허무주의에 대한 니체의 텍스트 ·······47
변증법적 독해의 문제 ···············52
스피노자와 헤겔 ·················57
니체의 소피스트적 담론 ··············59
충동 논리: 입장들의 반전, 힘들의 반전 ·······66
반동적 허무주의와 능동적 허무주의 ·········69
허무주의의 가장 극단적 형식(반전): 단독성의 논리 ··76
제Ⅲ부
학문의 논리적 영역: 진리의 기본 신념, 의심, 그리고 의심의 파토스 ····················83
플라톤주의의 귀환 ················93
폴리트로피아: 문어의 책략 ············95
의견의 파토스 ··················112
거짓말쟁이 패러독스: 나는 거짓말을 한다 ·····114
의견과 알레테이아 ················125
제Ⅳ부
반전과 거짓말쟁이 역설: 역설적인 에너지의 분배 ··135
메카네: 관점의 전도 ··············137
니체의 관점: 병과 건강 ·············142
이 전도에 도달하기 위한 수단은 존재하는가? ····147
반전은 ‘일어난다’ ················151
담론의 자기 연관성 ···············155
러셀의 사이비 해결: 유형론 ···········163
제Ⅴ부
개연성의 문제 ··················177
소피스트로서 소크라테스(아리스토파네스, 플라톤) ·178
좋은 수사학과 나쁜 수사학 ············184
개연성의 논리와 전위의 예술 ···········190
포함: 수사학자 집합의 부분으로서 철학자 ·····197
본질의 논리(변증법) 대 단독성의 논리 ·······199
해설 ······················207
지은이에 대해 ··················214
옮긴이에 대해 ··················218
책속에서
고르기아스, 피타고라스, 프로디코스는 어떤 주제이건 간에 상관없이 하나의 명제와 그것의 반대명제를 어떻게 공개적으로 주장할 수 있는지를 가르쳤던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들은 이것 또는 저것은 이런 또는 저런 이유에서 비난할 만한 것이라고 주장할 것을 가르쳤고, 이어서 동시에 같은 사안을 이런 또는 저런 이유에서 그 반대로 칭찬할 만한 것이라고 주장할 것을 가르쳤습니다. 이러한 담론이 이중 논증(dissoi logoi)입니다. 이 담론은 평행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반대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입니다. 이 담론은 언제나 이중적입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논리적 공간과 시간을 탐구하는 것이 우리의 과제입니다. 반전(Retorsion)은 유명한 어법(Figur)입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 1402a 2권의 끝 부분을 참조하십시오. 반전은 연설가에게서 찾을 수 있고 특히 코락스(Korax)의 특정한 기예(techne)에 속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