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88971992159
· 쪽수 : 570쪽
· 출판일 : 2005-06-17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_ 식민지 시대와 포스트식민지 시대의 언어 지배 : 미우라 노부타카
서론_ 모어, 국민어, 국가어
1. 모어, 국민어, 국가어 - 언어생태학을 위한 중력 모델 : 루이-장 칼베
2. 언어와 민족은 분리할 수 있다는, 언어 제국주의를 지탱하는 언어 이론 : 다나카 가쓰히코
1부_ 언어 제국주의의 유형
1. 일본의 언어 제국주의 - 아이누, 류큐에서 타이완까지 : 오구마 에이지
2. 제국 일본의 언어 편제 - 식민지 시기의 조선.'만주국'.'대동아공영권' : 야스다 도시아키
3. 일본어의 근대화를 둘러싸고 - 대일본제국의 공용어와 가타카나의 기능 : 파스칼 그리올레
4. 영어 제국주의의 어제와 오늘 : 로버트 필립슨
5. 공화국의 언어동화정책과 프랑코포니 : 미우라 노부타카
6. 프랑스어는 '프랑스인'을 창출하는가
- 식민지 제국에 있어서의 알리앙스 프랑세즈의 언어 보급 전략 : 니시야마 노리유키
2부_ 소수 언어의 저항
1. 생태언어학과 언어 정책 - 크레올권의 경우 : 장 베르나베
2. 크레올, 크레올화, 크레올성 : 쓰네카와 구니오
3. 아랍어화에 직면한 베르베르어 - 마그레브 지역을 중심으로 : 살렘 샤케르
4. 구 프랑스령 아프리카에서 아프리카 제 언어는 어떻게 '복권'될 수 있나?
- 세네갈의 사례에서 : 스나노 유키토시
5. 여러 국가에 흩어져 사는 민족적 소수 집단에 대한 언어 정책
- 로마니어의 경우 : 마르셀 쿠르티아드
6. 이누이트인들과 근대성의 선택 - 신어 창조라는 무기 : 미셸 테리앵
7. 카탈루냐어와 한국어 - 동일한 투쟁 : 앙드레 파브르
8. 소수 언어 부흥 운동의 일본과 유럽 비교 : 하라 가요시
3부_ 언어와 권력
1. 언어 헤게모니 - '자발적 동의'를 조직하는 권력 : 가스야 게이스케
2. 언어권 : 최근 인권 문서들의 문제점과 논점들 : 토베 스쿠트나브 - 캉가스
3. 유럽 지역어 및 소수 언어 헌장에 대한 몇 가지 고찰
- 언어 정치의 실천 과제 : 살렘 샤케르
4. 인터넷 시대의 아시아 언어 : 니시가키 도루
5. '고쿠고'와 언어적 공공성 : 이연숙
6. 제국주의와 한국어 문제
- 제국주의와 민족주의가 한국 언어학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 김하수
7. 김시종의 시와 일본어의 '미래' : 우카이 사토시
에필로그_ 언어 제국주의론의 사정 : 가스야 게이스케
편집후기
언어 제국주의 관련 책 안내
집필자 및 옮긴이 소개
옮긴이 후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가장 '낙관적이면서도 현실적인' 언어학자들조차도 이제 100년 후에는 현재의 구술 언어들의 절반이 사라지거나 설사 사라지지는 않더라도 더는 아이들에게 가르치지 않을 거라고 생각한다. 비관적이지만 현실적인 견해들은 2100년에는 아마 현재의 구술 언어들의 약 10%만이 위협받지 않고 살아남을 거라고 예측한다.
나머지 90%의 언어들은 '사멸'(dead)하거나 '사형을 기다리는'(on the death row, 이는 많은 사람들이 반대하는 부정적 표현이다) 처지가 될지도 모른다. 다른 한편, 언어들은 '재생'되거나 '재사용'될 수도 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카우르나어(Kaurna)가 그 예로, 이에 대해 쓴 로브 애머리의 책을 참고할 수 있다(지금 그 언어를 쓰는 사람들은, 마지막 화자가 1920년대 말에 죽었더라도 그 언어는 죽지 않았고 다만 잠자고 있을 뿐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그런 예가 발생한 경우는 드물고, 새로운 언어들이 생겨나는 경우도 아주 적다. - 본문 398~399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