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여성학/젠더 > 여성학이론
· ISBN : 9791155310649
· 쪽수 : 439쪽
· 출판일 : 2015-05-22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서문
1장 여성의 남성성에 관한 서론 ― 남자 없는 남성성
2장 도착된 현재주의 ― 안드로진, 트리바드, 여자남편, 그밖의 20세기 이전 젠더들
3장 ‘부적응자들의 작가’ ― 존 래드클리프 홀과 도착 담론
4장 레즈비언의 남성성 ― 스톤 부치도 마음이 울적해진다
5장 트랜스젠더 부치 ― 부치/FTM 경계 전쟁과 남성성 연속체
6장 부치처럼 보이다 ― 영화 속 부치들에 관한 간략한 안내
7장 드랙킹 ― 남성성과 수행
8장 성난 황소(다이크) ― 새로운 남성성들
옮긴이의 말
그림 차례
주
참고 자료
참고 영화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여성들에게 반대 성별화(contrary gendering), 곧 남성화가 갖는 의미와 형태에서 커다란 변화가 있기는 했지만, 나는 하나의 용어로서 ‘여성의 남성성’이 여전히 매우 유용하며 심지어 장래에는 ‘레즈비언’이라는 용어보다 더 쓸모 있다는 점이 증명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나는 이 책을 계기로 여성들에게 남성성에 관한 논의의 장이 열려 남성적인 소녀와 여자들이 자기의 남성성을 낙인으로 간직하는 게 아니라 자부심과 힘의 원천으로 삼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오토바이를 탄 다이크(dyke)들이 모여든 광경부터 드랙킹(drag king)의 충격적인 퍼포먼스에 이르기까지 이미 레즈비언이 주체가 된 여성의 남성성 역생산(counterproduction)은 확실히 여자의 남성성을 거스르는 문화의 명령을 겨냥하고 있다. 결국에는 이 책이 남성성을 남자들에게만 특권적으로 부여하는 현실을 겨냥한 문화적 습격의 한 부분에 그치게 되기를 기대한다.
나는 여성의 남성성은 남성이라는 사실의 모방이 절대 아니며, 실제로 우리에게 남성성이 어떻게 남성성으로 구성되는지를 언뜻 보여준다고 주장한다. 다시 말해 여성의 남성성들은 지배적 남성성에서 거부된 자투리 조각들로 구성된다. 그래야만 남성의 남성성이 진짜로 보이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우리가 영웅적 남성성이라고 이해하는 것은 남자와 여자 둘 다의 육체를 거쳐, 두 육체를 가로질러 만들어진 산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