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실학
· ISBN : 9791155500804
· 쪽수 : 605쪽
· 출판일 : 2014-09-25
책 소개
목차
간행사 실학연구총서를 펴내며
이 책을 내면서
농암의 생애와 정치개혁론 _정만조
1. 머리말
2. 가계(家系)와 학적 배경
3. 정치활동과 <우서>의 저술
4. 정치개혁론
5. 대역부도죄(大逆不道罪)로 복주(伏誅)
6. 맺는 말
조선시대 사회구조의 변화와 농암의 신분제 개혁론 _김성우
1. 머리말
2. 조선시대 사회구조의 변화에 대한 유수원의 인식
3. 유수원의 신분제 개혁론
4. 개혁 모델 : 동 시기의 중국
5. 수용과 변용
6. 맺음말 : 국가 주도의 개혁을 통한 중국 따라잡기
『우서(迂書)』에 나타난 농암 경제사상의 기본 구조 _이헌창
1. 머리말
2. 상업진흥론으로 집약되는 경제정책론
3. 경세론의 토대로서 학문관
4. 부의 긍정과 경제합리주의
5. 가난의 문제의식과 부국론(富國論)
6. 경제발전의 원리
7. 영리 추구의 긍정과 농본주의의 극복
8. 시장, 자본주의적 생산관계 및 도시문화의 옹호
9. 국가와 시장
10. 농암이 구상한 경제체제와 그 시대적 적합성
11. 농암과 동시대 관료 지식인 사이의 경제사상 수준차
12. 맺음말
『우서(迂書)』에 드러난 농암의 농정론 _김태영
1. 문제의 제기
2. 농업 개량론
3. 호적제(戶籍制)와 균부론(均賦論)
4. 액전법론(額田法論)
5. 영농론(營農論)
6. 맺음말
농암의 과거제 및 학교제도 개혁론 _김선경
1. 서론
2. 유수원 개혁론의 사상적 기반
3. 과거제 개혁안의 역사적 배경과 주요 원칙
4. 과거제와 학교제도 개혁론의 특성
5. 결어 : 유수원 과거제 및 학교제도 개혁안의 의미
이 책을 마치며
유수원 연보 및 사료초
성호 연구논저 목록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농암은 자기가 살던 시대의 국가가 당면한 가장 큰 문제점은 국허민빈(國虛民貧)에 있다고 파악하였다. 그리고 그 원인은 사민(四民)을 분별하여 각자가 맡은 일에 전념하게 하지 못한 데 있고, 다시 그것은 사민 중의 한 부분을 이루는 사인(士人)을 특권 신분으로 두었기 때문이라 하였다. 이런 사민불분과 사인특권 문제의 원인을 거슬러 올라가면 치체정규(治體政規)로 말해지는 정치의 잘못에 이른다는 것이 그의 진단이었다
|‘농암의 생애와 정치개혁론’ 중에서
『우서』에서는 장기적이고 근본적인 정책 목표가 제시되고 있는데, 그 한 예를 들어본다. “산림을 기르고 민산(民産)을 마련하는 논설이 어찌 그리도 우활(迂闊)한가.”라는 말을 듣고서, “길어야 몇 년이면 그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인데, 어찌하여 우원하다고 하는가. 그대처럼 생각한다면 100년 동안 덕을 쌓아야 예악(禮樂)이 흥하게 될 것이라는 교훈 역시 우활하다 하여 믿지 않겠는가.”라고 응답하였다.
|『우서』에 나타난 농암 경제사상의 기본 구조’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