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농암 유수원 연구

농암 유수원 연구

정만조, 이헌창, 김태영, 정순우, 김성우 (지은이), 재단법인 실시학사 (엮은이)
사람의무늬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500원 -5% 0원
1,500원
27,000원 >
27,000원 -10% 0원
0원
2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농암 유수원 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농암 유수원 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실학
· ISBN : 9791155500804
· 쪽수 : 605쪽
· 출판일 : 2014-09-25

책 소개

'실시학사 실학연구총서'의 여덟 번째 책으로서, 농암 유수원과 그의 문제작 『우서』를 정치·사회신분·상업·농업·교육의 다섯 분야로 나누어 심층 탐색한 결과물이다.

목차

간행사 실학연구총서를 펴내며
이 책을 내면서


농암의 생애와 정치개혁론 _정만조
1. 머리말
2. 가계(家系)와 학적 배경
3. 정치활동과 <우서>의 저술
4. 정치개혁론
5. 대역부도죄(大逆不道罪)로 복주(伏誅)
6. 맺는 말

조선시대 사회구조의 변화와 농암의 신분제 개혁론 _김성우
1. 머리말
2. 조선시대 사회구조의 변화에 대한 유수원의 인식
3. 유수원의 신분제 개혁론
4. 개혁 모델 : 동 시기의 중국
5. 수용과 변용
6. 맺음말 : 국가 주도의 개혁을 통한 중국 따라잡기

『우서(迂書)』에 나타난 농암 경제사상의 기본 구조 _이헌창
1. 머리말
2. 상업진흥론으로 집약되는 경제정책론
3. 경세론의 토대로서 학문관
4. 부의 긍정과 경제합리주의
5. 가난의 문제의식과 부국론(富國論)
6. 경제발전의 원리
7. 영리 추구의 긍정과 농본주의의 극복
8. 시장, 자본주의적 생산관계 및 도시문화의 옹호
9. 국가와 시장
10. 농암이 구상한 경제체제와 그 시대적 적합성
11. 농암과 동시대 관료 지식인 사이의 경제사상 수준차
12. 맺음말

『우서(迂書)』에 드러난 농암의 농정론 _김태영
1. 문제의 제기
2. 농업 개량론
3. 호적제(戶籍制)와 균부론(均賦論)
4. 액전법론(額田法論)
5. 영농론(營農論)
6. 맺음말

농암의 과거제 및 학교제도 개혁론 _김선경
1. 서론
2. 유수원 개혁론의 사상적 기반
3. 과거제 개혁안의 역사적 배경과 주요 원칙
4. 과거제와 학교제도 개혁론의 특성
5. 결어 : 유수원 과거제 및 학교제도 개혁안의 의미

이 책을 마치며
유수원 연보 및 사료초
성호 연구논저 목록
찾아보기

저자소개

이헌창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5년에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3년부터 경기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하다가 1993년 고려대학교 경제학과로 옮겨 지금까지 재직 중이다. 경제사학회와 한국고문서학회의 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民籍統計表의 해설과 이용방법』, 『한국경제통사』, 『조선시대 최고의 경제발전안을 제시한 박제가』, 『경제.경제학』이 있다. 편저는 『류성룡의 학술과 사상』, 『조선후기 재정과 시장: 경제체제론의 접근』 등이 있다. 이외에도 경제사, 사상사, 정치사 등의 분야에서 여러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정순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 출신.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을 졸업하고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 부설 한국학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미국 버클리 대학교 및 캐나다 UBC 대학교 방문교수를 지냈으며, 파리 7대학 강의교수를 지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관장 및 대학원장을 역임하였다. 2013년 현재 한국학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조선후기 교육사와 지성사 분야에 관한 약 40여 권의 공저서, 100여 편의 논문이 있다. 조선조 선비들의 사유 방식과 삶의 태도를 다양한 시선으로 헤아려 보고, 그 현재적 의미를 찾고자 노력하고 있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공부의 발견>(2007), <도산서원>(공저, 2001), <지식 변동의 사회사>(공저, 2003), <東亞傳統敎育與學禮學規>(공저, 2005), <서당의 사회사>(2013) 등이 있다.
펼치기
재단법인 실시학사 (기획)    정보 더보기
실학사상의 계승·발전을 위한 학술연구와 지원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2010년 설립된 공익재단법인이다. 재단은 벽사 이우성 선생이 1990년 서울 대치동에서 문을 연 ‘실시학사’가 그 모태로, 2010년 모하 이헌조 선생의 사재 출연으로 공익재단법인으로 전환되었다. 실학사상의 학술연구팀을 구성하여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그 연구 성과를 모아 ‘실시학사 실학연구총서’로 출간하고 있다. 또한 재단은 실학 관련 고전을 번역한 ‘실시학사 실학번역총서’를 속속 출간하고 있고, 실학 관련 연구자들의 업적을 현창하고 신진학자를 격려하기 위한 사업으로 ‘벽사학술상’과 ‘모하실학논문상’을 제정하여 시상하는 등 실학 사상의 전파와 교류를 위한 출판, 행사, 교육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재단은 1990년대부터 경학 관계 저술을 강독 번역해온 ‘경학연구회’와 한국한문학 고전을 강독 번역해온 ‘고전문학연구회’, 두 연구회의 공동학술연구모임 등 재단 산하 연구회의 활동을 지원함으로써 우수한 실학연구자 육성에도 힘을 기울이고 있다. 재단은 앞으로도 체계적인 접근을 통해서 실학사상이 개화기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근현대에 걸쳐서 우리나라 발전에 어떤 역할을 하였으며, 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지를 연구하게 될 것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농암은 자기가 살던 시대의 국가가 당면한 가장 큰 문제점은 국허민빈(國虛民貧)에 있다고 파악하였다. 그리고 그 원인은 사민(四民)을 분별하여 각자가 맡은 일에 전념하게 하지 못한 데 있고, 다시 그것은 사민 중의 한 부분을 이루는 사인(士人)을 특권 신분으로 두었기 때문이라 하였다. 이런 사민불분과 사인특권 문제의 원인을 거슬러 올라가면 치체정규(治體政規)로 말해지는 정치의 잘못에 이른다는 것이 그의 진단이었다
|‘농암의 생애와 정치개혁론’ 중에서


『우서』에서는 장기적이고 근본적인 정책 목표가 제시되고 있는데, 그 한 예를 들어본다. “산림을 기르고 민산(民産)을 마련하는 논설이 어찌 그리도 우활(迂闊)한가.”라는 말을 듣고서, “길어야 몇 년이면 그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인데, 어찌하여 우원하다고 하는가. 그대처럼 생각한다면 100년 동안 덕을 쌓아야 예악(禮樂)이 흥하게 될 것이라는 교훈 역시 우활하다 하여 믿지 않겠는가.”라고 응답하였다.
|『우서』에 나타난 농암 경제사상의 기본 구조’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