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실학
· ISBN : 9788979869255
· 쪽수 : 508쪽
· 출판일 : 2012-06-25
책 소개
목차
간행사 실학연구총서를 펴내며
다산 경세론의 인문학적 기반 - 송재소 -
1. 머리말
2. 인문학의 개념
3. 다산 경세론(經世論)의 이론적 배경
4. 다산 경세론의 이론적 근거
5. 다산 경세론의 실천적 근거
6. 다산 경세론의 대요(大要)-지인(知人)과 안민(安民)
7. 맺음말
경학적 맥락에서 본 다산의 정치론 - 이봉규 -
1. 머리말
2. 연구사 쟁점
3. 다산의 시대인식
4. 다산 정치론의 기본 구조
5. 다산 정치론의 동아시아적 맥락
6. 맺음말
다산의 정전제론 - 김태영 -
1. 머리말
2. 사환 시기 다산의 토지론
3. 다산의 정전제(井田制) 이론
4. 정전제의 시행
5. 정전제를 기초로 하는 부공제·9직론
6. 다산 정전제론의 역사적 의미
7. 맺음말
다산의 전부개혁론 - 안병직 -
1. 머리말
2. 전부론(田賦論)
3. 전세(田稅)
4. 부공(賦貢)
5. 환곡(還穀)
6. 맺음말
유배 이후 다산의 이용후생학 - 조성을 -
1. 머리말
2. 기술발전론
3. 상공업발전론
4. 자원개발론·광업발전론
5. 맺음말
이 책을 마치며
연보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다산의 경세학은 「지금 고치지 않으면 반드시 나라가 망하고 난 후에야 그칠 것」이라는 절박한 위기의식에서 나온 것이다. 임병양란을 거친 후 이러한 위기의식을 가진 학자는 다산 이외에도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위기의식을 바탕으로 다산만큼 철저한 국가 개조론을 제시한 사람은 없었다. ---「다산 경세론의 인문학적 기반」 중에서
다산은 당시 동아시아 사회변동에 대한 조선의 정치적 역할을 존왕의 범주에서 해명하던 중화론적 입장에서 벗어나 왕정을 독자적으로 수립하여 실현하는 행왕의 층위에서 이해한다. 이것은 사상 또는 이념의 측면에서 조선이 더 이상 중국으로부터 수용할 필요가 없을 만큼 성숙을 이루었다는 다산의 학문적 판단과 중국 등 주변 국가로부터 수용해야 할 급선무가 기예에 있다는 경세적 문제의식에 기반해 있다. 다산의 저작 전체에 산견되는 정치론과 일표이서로 응축되는 왕정의 체제는 존왕적 틀에서 당시 조선의 정치적 정체성을 재정립하려던 견해들이 점점 비현실적인 것으로 인지되고 비판되어 가는 상황에 대한 응답의 의미가 있다. 그 응답은 왕정의 체제를 독자적으로 수립하여 구현하는 정치를 실현함으로써 내부적으로 조선사회의 제 문제를 해소할 뿐 아니라 조선이 유교의 이념을 독자적으로 실현하는 새로운 왕자로서의 정치적 독립성을 자신의 정체성으로 전면에 가지게 하는 방향이었다. ---「경학적 맥락에서 본 다산의 정치론」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