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견심見心, 호는 석견루石見樓이다. 인조仁祖의 친동생 능원대군綾原大君의 5대손이며, 도사都事를 지낸 후근厚瑾의 아들이다. 시조 시인으로 유명한 경평군慶平君 이세보李世輔가 그의 증손이다. 종실의 후손으로 관직에 진출하여 진보 현감, 김포 군수, 고성 군수, 청풍 부사, 곡성 현감 등을 역임하였다. 평소 시인으로 자부하여 시단詩壇의 황금기인 정조와 순조 대에 개성 있는 시인으로 명성이 높았다. 87세까지 시 창작을 멈추지 않고 당대의 주요 인사들과 교유하였으므로 당시 시단의 동향을 알 고자 할 때 빼놓을 수 없는 핵심 인물이다. 사후에 이조 판서에 증직되었고, 시집으로 ??석견루시초??가 전한다.
펼치기
조창록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7년 2월 대구에서 태어났으며, 성균관대학교 한문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풍석 서유구에 대한 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교사,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을 거쳐 인문학연구원에 재직 중이다. 공저로《풍석 서유구 연구(상)》, 공역서로 《한국의 차 문화 천년 1~7》 등이 있다.
펼치기
김채식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7년 충북 진천에서 태어났다. 성균관대학교 한문교육과를 졸업하고, 한림대학교 부설 태동고전연구소에서 한문을 수학했다.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에서 문학석사와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거점번역연구팀에서 2010년부터 2020년까지 번역을 수행하였고, 현재 경운초당에서 초서를 가르치고 있다. 박사학위논문은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 연구〉이고, 번역서로 《무명자집 5․6․13․14》, 《환재집 1․2》, 《풍고집 2》가 있으며, 공역서로 《김광국의 석농화원》, 《석견루시초》 등이 있다.
펼치기
이상아 (옮긴이)
정보 더보기
민족문화추진회(현 한국고전번역원) 부설 국역연수원 상임연구부 졸업
성균관대학교 한문고전번역 석사과정 졸업(문학석사)
성균관대학교 한문고전번역 박사과정 졸업(문학박사)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수석연구원(현)
논문 및 역서
논문 <茶山 丁若鏞의 ≪家禮酌儀≫ 譯註> <茶山 丁若鏞의 ≪祭禮考定≫ 譯註>
역서 ≪無名子集7, 8,15,16≫
공역 ≪記言1≫ ≪日省錄≫(영조,정조) ≪校勘學槪論≫ ≪注釋學槪論 1, 2≫ ≪사고전서이해의 첫걸음≫ ≪譯註 禮記正義≫ ≪譯註 禮記集說大全≫ 등
펼치기
안대회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문과대학 학장을 맡고 있다.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장과 한국한문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2015년에 제34회 두계학술상을 받았고, 2016년에 제16회 지훈상 국학 부문을 수상했으며, 2023년에는 SKKU-Fellowship 교수로 선정되었다. 2024년에는 제38회 인촌상 인문·사회 부문을 수상하였다. 정밀하면서도 깊이 있는 사유를 바탕으로 옛글을 고증하고 해석해 왔으며, 담백하고 정갈한 문체로 선인들의 글과 삶을 풀어내 왔다.
지은 책으로 『한국시화사』, 『조선의 명문장가들』, 『담바고 문화사』, 『궁극의 시학』, 『천년 벗과의 대화』, 『벽광나치오』, 『조선을 사로잡은 꾼들』, 『정조의 비밀편지』, 『선비답게 산다는 것』, 『18세기 한국한시사 연구』 등 다수가 있고, 옮긴 책으로 『채근담』, 『만오만필』(공역), 『해동화식전』, 『한국 산문선』(공역), 『완역 정본 택리지』(공역), 『소화시평』, 『내 생애 첫 번째 시』, 『추재기이』, 『북학의』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