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스웨덴 복지 모델의 이해

스웨덴 복지 모델의 이해

(복지국가 사례연구)

신광영, 진미석, 김인춘, 양재진, 군나르 올로프손, 스벤 호트, 최영준, 글렌 셰스트른드 (지은이), 고명헌 (엮은이)
아산정책연구원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9,000원 -10% 450원 7,650원 >

책 이미지

스웨덴 복지 모델의 이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스웨덴 복지 모델의 이해 (복지국가 사례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복지
· ISBN : 9791155701157
· 쪽수 : 220쪽
· 출판일 : 2015-10-05

책 소개

2012년 아산정책연구원에서 '스웨덴 복지 모델의 이해'라는 주제로 개최되었던 회의 내용을 기반으로 한 책. 선진복지의 대표국 중 하나인 스웨덴의 복지 역사와 정책을 통해 우리 사회가 지향해야 할 복지정책은 어떤 모습이 되어야 하는지 살펴본다.

목차

서문

1부/ 스웨덴 복지정책의 역사와 발전과정

김인춘
<사회적 대타협과 스웨덴 모델의 발전- 자본의 이익은 어떻게 보장되었나?>

스벤 호트
<현대 스웨덴의 사회적합의와 갈등- 스웨덴 모델의 이해>

2부/ 스웨덴 복지 모델의 특징

최영준
<스웨덴 모델은 왜 일본 모델보다 효과적이었을까?>

신광영
<스웨덴 복지 모델의 사회적 기초- 견고한가 아니면 흔들리고 있나?>

글렌 셰스트른드
<스웨덴 복지 모델의 지속 가능성과 특징- 비영리 조직 및 사회공헌을 통한 새로운 형태의 복지생산>

양재진
<현대 스웨덴 복지정책과 제3섹터의 역할>

3부/ 스웨덴 복지정책과 교육

군나르 올로프손
<스웨덴의 고등교육 확대정책과 전문인력의 재구성- 교육이 복지의 기초>

진미석
<스웨덴 교육정책과 사회복지- 복지정책이 직업세계의 변화에 미친 영향>

집필자 약력

저자소개

신광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불평등, 노동과 복지를 비교사회학적인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현 동아시아사회학회 회장이며, 한국사회학회 회장, 비판사회학회 회장, 스칸디나비아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계급과 노동운동의 사회학』, 『동아시아의 산업화와 민주화』, 『한국의 계급과 불평등』, 『한국 사회 불평등 연구』, 『스웨덴 사회민주주의』, 『성공의 덫에 빠진 대한민국』(공저), 『교육, 젠더와 사회이동』(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진미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직업능력개발원 (KRIVET) 부원장을 역임하고 있다. 1997년부터 인적자원정책본부장, 직업진로정보센터 소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국가인적자원정책위원회 전문위원 등 다수의 교육과 인적자원개발 관련 국가위원회의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거시적 관점에서 국가인적자원개발정책 연구를 수행하는 한편 평생학습의 관점에서 개인의 진로개발지원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최근 연구 분야는 대학생 핵심역량개발, 창의적 진로개발정책, 녹색성장과 인적자원개발 등에 중점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OECD, ILO, UNESCO 등 다수의 국제기구와 협업하였으며 '평생진로개발의 이론과 실제' (2005), '미래의 직업세계' (2006), '대학생핵심역량진단체제' (2013) 등 교육과 인적자원개발에 관한 다수의 논문과 저서를 발표하였다. 서울대학교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교육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펼치기
김인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연구교수이다. 주요 저술로 『자유민주주의, 사회민주주의, 시민민주주의: 스웨덴 ? 네덜란드의 경험과 한국사회』(2022), “북유럽 국가들의 민주주의와 ‘권력조사(maktutredningen)’:배경과 의의”(2020), “식민주의적 병합과 민주주의적 분리독립: 민주적 헌정주의와 1905년 노르웨이 독립”(2020) 등이 있다.
펼치기
양재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2023년 대한민국학술원상 수상. 연세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럿거스대학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행정학회 편집위원장, 한국사회보장학회장, 연세대학교 김대중도서관장 등을 역임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복지국가, 발전국가, 정부학이다. 한국정치학회 학술상(2013), 한국정치학회 인재저술상(2017), 아시아행정학회 아키라 나카무라 최우수논문상(2019) 등을 수상했다. 주요 저서로 《복지의 원리》, 《The Political Economy of the Small Welfare State in South Korea》(영국 케임브리지대학 출판부), 《복지국가의 조세와 정치》 등이 있다.
펼치기
군나르 올로프손 (엮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스웨덴 린네 대학교(Linnaeus University) 석좌교수이다. 1965년부터 1998년까지 스웨덴 룬드대학교와 덴마크 코펜하겐대학교의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주요 연구분야는 스웨덴 사회민주주의, 스웨덴 복지모델의 연금.노동정책등이다. 최근 스웨덴내 그리스 이민자들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고, 스웨덴의 고등교육체계와 핵심 전문직으로서의 스웨덴 대학교수들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스벤 호트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12년부터 2015년 2월까지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미국 버클리대학교 및 브루킹스연구소의 풀브라이트학자, 노르웨이 베르겐 대학교의 비교정치연구소 방문교수였으며, 스웨덴 예테보리 대학교, 린네 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하였다. 그는 수년간 스웨덴 사회연구원에서 학제간 연구를 다년간수행했다. 연구영역은 사회정책, 복지국가, 시민사회이다. 저서로는The Nordic Welfare State- A Basic Reader(공저)와The Coming of East and Southeast Asian Welfare State등이있다.
펼치기
최영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고려대학교 행정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영국 옥스포드 대학교 전임강사 및 영국 바스 대학교 조교수를 역임하였다. 연구 분야는 복지국가론, 비교정책론, 그리고 노령화와 연금제도 등이다. Policy and Politics, Ageing and Society,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Welfare등을 비롯한 유럽, 미국, 중국, 한국, 일본에서 사회정책에 관련된 다양한 논문을 발표하였다. 최근 논문으로는 "Revisiting the Role of Bureaucrats in Pension Policy-making: The Case of South Korea. (Government and Opposition 2014)", "Feminisation of poverty in 12 welfare states: Consolidating cross-regime vari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Welfare 2013), "Farewell to old legacies? The introduction of long-term care insurance in South Korea (Ageing and Society 2013)" 등이 있다.
펼치기
글렌 셰스트른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스웨덴 린네 대학교(Linnaeus University)의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며, 교내 국제사회과학프로그램(International Social Science Programme)의 책임자로 있다. 2001년부터 2009년까지 사회분석 및 복지개발프로그램(Social Analysis, and Welfare Development Programme)의 연구 책임자였다. 주요 연구분야는 경제사회학, 복지국가 정치경제이다. 최근 진행중인 연구로 “Agents of Knowledge in the Professional Landscape”, “Between Science and Occupation: Knowledge, Academization, and the Route from University to Labour Market”등이 있다.
펼치기
고명헌 (엮은이)    정보 더보기
아산정책연구원의 연구위원이다. 현재 여론·계량분석센터 사회정보관리연구프로그램을 담당하고 있다. 컬럼비아대학교에서 경제학 학사, 통계학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Pardee RAND Graduate School에서 정책분석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UCLA의 Neuropsychiatry Institute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재직했다. 주요 연구분야는 사회 네트워크, 복잡계 사회적 상호작용, 질병의 지리공간 모델링 등이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