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마이데이터의 시대가 온다

마이데이터의 시대가 온다

김태훈, 고환경, 김현경, 손지윤, 심현섭, 오강탁, 이동범, 이성엽, 전재식, 정성구, 조영서, 조재박, 배일권, 이종림, 최재성, 장순호, 이영종 (지은이)
지식공감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마이데이터의 시대가 온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마이데이터의 시대가 온다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91156226826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2-03-05

책 소개

‘마이데이터’는 4차 산업혁명의 중심에서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의 핵심 자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 책은 마이데이터 전반에 관한 정보와 각종 분야의 활용 및 향후 트렌드를 폭넓게 짚어준다.

목차

Prologue · 2

제 1 장 마이데이터, WHAT IT IS?

제1절 4차 산업혁명과 마이데이터_11
마이데이터, 왜 주목받는가?_ 11
마이데이터의 핵심 키워드, 전송요구권_ 14
마이데이터의 5단계 발전 과정_ 18
선진국의 마이데이터, 무엇을 하고 있나?_ 25
우리의 마이데이터, 어디까지 와 있나?_ 32

제2절 대한민국의 마이데이터가 나아갈 길_39
마이데이터 발전을 위한 종합정책, 어떻게 진행되나?_ 39
개인정보 전송요구권 도입: 마이데이터의 시작_ 51
마이데이터 전 산업 확산을 위한 필수 관문 - 데이터 표준화 _ 54
마이데이터의 마중물, 마이데이터 지원 사업 _ 64

제3절 우리의 마이데이터 사업이 나아갈 길_71
마이데이터 선도, 금융 분야 마이데이터 _ 71
정부 4.0시대의 공공 분야 마이데이터 _ 86
의료 분야의 마이데이터 생태계 구축 _ 97
디지털 경제 활성화를 위한 통신 분야 마이데이터 _ 112

제 2장 마이데이터, WHERE ARE TO GO?

제1절 마이데이터 법제도 기반 마련_127
마이데이터 제도화를 위한 고려사항_ 127
개인정보 이동권 도입, 선진국 사례와 우리가 나아갈 길_ 136
금융 플랫폼 규제와 마이데이터_ 165
마이데이터, 전 산업 확장을 위한 법제도 고려사항_ 177
「데이터기본법」상 마이데이터 관련 이슈_ 187

제2절 마이데이터 산업 활성화_199
개인정보 비즈니스 및 마이데이터 생태계 촉진을 위한 과제 _ 199
민간 주도 성장을 위한 마이데이터 발전 방향_ 210
마이데이터 사업자 제공 서비스의 미래_ 219
마이데이터 산업 간 융합 방안_ 227
분야별 마이데이터 연결 및 보안_ 236

제3절 마이데이터 도약을 위한 과제_251

금융마이데이터의 주요 이슈와 앞으로의 과제_ 251
ESG시대 공공 마이데이터 가치_ 263
마이데이터의 성공조건과 마이데이터의 미래_ 276

참고 문헌_ 285

저자소개

이동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지니언스 대표이사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회장 어울림정보기술 연구소장
펼치기
김태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뱅크샐러드 대표 한국핀테크산업협회 부회장 공공데이터전략위원회 위원
펼치기
김현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교수이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학사, 석사를 그리고 고려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사)개인정보보호법학회 회장, 법제처 법령해석심의위원,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 통신분쟁조정위원,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 정책위원 등을 역임했다. 지금은 국가인권위원회 정보인권전문위원, 국가데이터분쟁조정위원, 동반성장위원회 동반성장지수실무위원, 대통령 소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법제도·거버넌스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인공지능과 법』(공저, 2019), 『데이터법』(공저, 2022), 『POST-GDPR: 개인정보보호 규범의 새로운 지평』(공저, 2025)을 집필했으며, 데이터·미디어, 정보통신, 인터넷 관련하여 80여 편 이상의 논문을 학술지에 게재했다.
펼치기
손지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네이버 정책총괄이사 LG 유플러스 상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파방송관리과장
펼치기
심현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신용정보원 빅데이터센터장 신용정보원 경영전략본부장 은행연합회 신용정보부장, 여신제도부장
펼치기
오강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디지털정부본부장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글로벌협력본부장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겸임교수
펼치기
이성엽 (엮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수 고려대 법학과, 서울대 행정대학원, 미네소타대학교 로스쿨을 거쳐 서울대 법학박사를 취득했으며 하버드 로스쿨 방문학자를 거쳤다. 제35회 행정고시에 합격 후 정보통신부 서기관, 김·장 법률사무소 변호사를 거쳐 고려대 교수로 재직 중이며, 기술법정책센터장과 데이터AI법연구센터 공동대표를 겸하고 있다. 행정규제법 및 ICT법과 정책을 연구하고 있으며, 사) 한국데이터법정책학회 회장, 사) 한국공법학회 부회장, 국무총리 정보통신전략위원회 위원, 4차산업혁명위 데이터특위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전재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하나금융그룹 ㈜핀크 최고기술책임자 특허심판원 전문심리위원 SK텔레콤(주), SK플래닛(주)
펼치기
조영서 (지은이)    정보 더보기
KB금융지주 디지털플랫폼총괄(전무) KB국민은행 DT전략본부장(전무) 금융위원회 금융발전심의회 위원
펼치기
조재박 (지은이)    정보 더보기
KPMG 디지털 본부장 금융위원회 금융발전심의회 위원 Accenture, ADL, 휴맥스
펼치기
배일권 (지은이)    정보 더보기
4차산업혁명위원회 데이터기획관 행정안전부 기획재정담당관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정책과장
펼치기
이종림 (지은이)    정보 더보기
4차산업혁명위원회 마이데이터팀장 금융위원회 은행과, 산업금융과 금융위원회 전자금융팀
펼치기
최재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4차산업혁명위원회 전문관 정보관리기술사 금융보안원, 중소기업은행
펼치기
장순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4차산업혁명위원회 전문관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데이터산업본부 국가지식재산네트워크 IP-보호분과
펼치기
이영종 (지은이)    정보 더보기
4차산업혁명위원회 전문관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디지털경제사회연구본부 한국핀테크지원센터,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등 평가위원
펼치기

책속에서

진입장벽 해소를 통한 신규시장 창출 역시 기대되는 부분이다. 데이터 이동권의 확대는 신규 사업자들의 시장 진입장벽을 낮춤으로써 소비자의 데이터 부족으로 인한 시장진입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사업자 외에 다양한 신규 공급자의 시장참여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의 데이터 유통 구조에서 플랫폼 사업자, 대기업은 고객 유치를 많이 할수록 쌓이는 정보량이 방대해진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를 활용하여 보다 차별화된 상품을 제공하여 다시 고객의 유치를 확보함으로써 승자 독식(winner-take-all)의 시장구조를 심화시킬 우려가 있었다.


개인정보 이동권은 정보제공자와 정보수령자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최소한 귀찮게라도 한다. 왜 개인정보처리자는 개인정보 이동권에 복속해야 하는가의 문제는 근본적인 문제라 이 글에서 깊이 다루기는 부적절하지만, 적어도 “개인정보처리자가 보유한 개인정보는 해당 개인정보주체의 정보이기 때문에”와 같은 단순한 답은 아니다. 아직 개인정보의 소유권(data ownership)에 대한 논의는 진행 중이며 우리나라에서 법적으로 인정받는 권리가 아니다. 나아가, 개인정보 이동권의 대상인 개인정보는 개인정보주체가 개인정보처리자에게 은혜적으로 제공한 것이 아니며 대개의 경우에는 개인정보처리자가 제공하는 편익에 대한 대가관계로 제공된 것이다. 따라서, 사견으로는 개인정보 이동권을 개인정보주체의 당연한 기본권으로 정보제공자와 정보수령자에 강제하는 것보다는, 개인정보주체와 정보제공자 및 정보수령자와의 계약관계에서 인정되는 권리로 유도하고, 정부는 해당 계약내용을 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