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북극의 이해

북극의 이해

최우익, 라승도, 김봉철 (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지식출판원(HUINE)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500원 -5% 0원
1,500원
2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북극의 이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북극의 이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59018619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1-01-31

책 소개

북극의 정의로부터 시작하여 원주민, 영토, 경제, 국제 거버넌스, 문화와 예술 등 다양한 분야를 소개하고 있다. 또한, 제2부에서는 북극 중에서 가장 큰 영토를 차지하고 있는 러시아 북극을 심층적으로 다루고 있다.

목차

머리말 5

제I부 세계의 북극

제1장 북극이란 무엇인가 11
제2장 북극에는 누가 사는가 45
제3장 북극의 영토분쟁과 안보 69
제4장 북극의 경제학 84
제5장 북극 협력과 국제 거버넌스 115
제6장 북극의 문화와 예술 142
제7장 기후변화와 북극의 변화 163

제II부 러시아의 북극

제8장 러시아의 북극 정복과 개발의 역사 183
제9장 러시아 북극의 지리, 교통, 주요 도시 199
제10장 러시아 북극의 산업 222
제11장 러시아의 북극 원주민 240
제12장 러시아 북극의 문화예술 262
제13장 러시아의 북극 전략과 안보 정책 275
제14장 러시아 북극의 인구사회학 290

저자소개

김봉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학부 교수다. 한국외국어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법학석사 이후 영국 외무부의 국외연구장학생(Overseas Research Scholarship) 자격으로 킹스칼리지런던에서 법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한국유럽학회회장과 HUFS Jean Monnet EU Centre 공동소장이다. 한국외국어대학교 발트연구센터와 극지연구센터의 센터장 업무도 수행하고 있다. 유럽, 동남아시아, 중남미, 북극과 남극 등 다양한 지역의 통상 및 협력 등 국제 관계에 관한 법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라승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과를 졸업했고 미국 텍사스주립대 학교 슬라브어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 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HK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 다. 저서로는 『붉은 광장의 아이스링크: 문화로 보는 오늘 의 러시아』(공저, 2008), 『시네마트료시카: 영화로 보는 오 늘의 러시아』(2015), 『사바틴에서 푸시킨까지: 한국 속 러 시아 문화 150년』(공저, 2015), 『포시에트에서 아르바트 까지: 러시아 속 한국 문화 150년』(공저, 2018), 『극동의 부상과 러시아의 미래』(공저, 2019), 『북극의 이해』(공저, 2021), 『천년의 러시아: 모방과 변용의 문화』(공저, 2022) 가 있고 역서로는 『러시아 영화: 문화적 기억과 미학적 전 통』(2015)과 안드레이 타르콥스키 감독의 영화예술론 『시 간의 각인』(2021), 『한반도 분단과 통일 전망: 러시아의 시 각』(2023)이 있다.
펼치기
최우익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했고 러시아 모스크바국립대학교 사회학부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HK교수로 재직하며 러시아 사회와 문화를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2019 러시아는 어디로 가는가?』(공저), 『푸틴 4.0: 강한 러시아』(공저), 『러시아의 심장부: 중앙연방관구』(공저), 『유라시아시대 러시아의 국가경쟁력』(공저), 『북방의 등대: 러시아 북서연방관구』(공저), 『북극의 별 네네츠: 툰드라와 순록, 그리고 석유의 땅』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제1장
북극이란 무엇인가

1. 북극의 개념

북극은 지리, 기후, 생물 환경의 극한 조건이 뚜렷하다. '북극(Arctic)'이란 용어는 북두칠성으로 알려진 큰곰자리를 가리키며 그리스어로 곰을 뜻하는 아르크토스(arktos)에서 유래했다. 북극의 정의는 환경, 생물, 경제, 관할권, 사회적 기준에 따라 다양하다. 가장 일반적인 방식은 위도에 따른 구분이다. 북위 66° 33' 44"를 북극권(Arctic Circle)으로 정하고, 여름에 해가 지지 않는 백야와 겨울에 해가 뜨지 않는 극야 현상이 일어나는 남쪽 한계를 기준으로 북부 지역을 북극으로 정의한다. 그러나 북극권은 각 지역의 지리적 특성을 반영하지 않으므로 북극의 정의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 다른 북극 정의 기준으로는 기온을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 10도 등온선(Arctic 10ºC Isotherm)을 활용해 해당 기준선보다 높은 위도 지역을 북극으로 정의한다. 10도 등온선에 따라 가장 따뜻한 달(7월)의 평균 기온이 섭씨 10도(화씨 50도) 미만인 지역이 북극에 해당한다. 수목한계선을 활용하는 방법도 있다. 북극 수목한계선(Arctic Tree Line)은 툰드라와 삼림 사이의 경계를 뜻한다. 툰드라는 영구동토(Permafrost)를 특징으로 하며 이끼와 같은 지의류나 초본류, 관목 등의 식생이 분포한다. 북극 수목한계선 기준에 따라 북극 지역에 그린란드, 스발바르 등의 극지방, 시베리아, 알래스카 등 내륙지방, 캐나다 북부 래브라도 해안, 아이슬란드 북부, 북유럽 북극해 해안 일대가 포함된다.
한편, 북극이사회(Arctic Council) 실무 그룹들은 각 관심사를 반영하는 서로 다른 기준을 바탕으로 북극 정의를 개발했다. 북극 모니터링 평가 프로그램(AMAP, The Arctic Monitoring Assessment Program)은 북극 환경 모니터링을 수행할 영역으로 AMAP 경계선을 통해 북극에 대한 다양한 정의를 통합한 북극 영역을 제시했다. 북극 인간 개발 보고서에 따른 경계선(AHDR Boundary, Arctic Human Development Report Boundary)은 북극이사회의 지속 가능한 개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북극 지역의 지역 사회 단위를 기준으로 북극을 정의한다. 이 기준은 사회·경제적 데이터와 정보가 구성되는 방식에 기초하므로 국가 및 지역 단위에서 활용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