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루스키 미르 (세계 속의 러시아)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91171992874
· 쪽수 : 410쪽
· 출판일 : 2025-02-28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91171992874
· 쪽수 : 410쪽
· 출판일 : 2025-02-28
책 소개
러시아가 세계에 일구고 있는 ‘루스키 미르’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러시아는 지금 단순히 러시아어의 세계적 보급뿐 아니라 역사와 문화, 정치와 경제, 군사와 외교 등 ‘러시아적인 모든 것’의 국제적 존재감을 확대하고 있다. 바야흐로 ‘러시아 세계(루스키 미르)’를 세계에 구축하고 있다.
2014년 러시아의 크림 합병과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국제질서의 판도를 바꿨다. 미국과 러시아 진영의 줄 서기와 양측의 대립은 신냉전의 도래를 떠올리기에 충분했다.
러시아는 소련 붕괴 이후 10여 년간 국제사회에서의 존재감이 대폭 축소되기도 했지만, 2000년 푸틴 대통령 집권 1기부터, 특히 2014년 크림 합병과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거치면서 국제무대의 중요한 행위자로서 세계적 존재감과 영향력을 새롭게 발휘하기 시작했다. 오늘날 러시아는 중동과 남미 등 세계에서 힘의 균형자로서 과거의 위상을 회복하고 있을 뿐 아니라 정치적, 종교적 차원에 걸쳐 보수주의 가치의 수호자로서 심지어 유럽으로부터도 지지와 공감을 끌어내기도 한다. 특히 인류에게 ‘미래의 영토’라고 할 수 있는 북극 지역에서 최근 들어 러시아가 군사 기지와 과학 시설을 계속해 조성하고 있고 북극항로를 새롭게 개발하고 있는 것도 오늘날 러시아의 존재감이 전 세계로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책은 지금 러시아가 세계에 일구고 있는 ‘루스키 미르’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루스키 미르(러시아 세계)’는 2008년 러시아가 세계에서 러시아어 진흥을 목적으로 설립한 재단 이름이다. 그런데 러시아는 지금 단순히 러시아어의 세계적 보급뿐 아니라 역사와 문화, 정치와 경제, 군사와 외교 등 ‘러시아적인 모든 것’의 국제적 존재감을 확대하고 있다. 바야흐로 ‘러시아 세계(루스키 미르)’를 세계에 구축하고 있다. 이 책은 러시아가 세계 속에 만드는 ‘루스키 미르’를 독자에게 보여주고 있다.
러시아는 소련 붕괴 이후 10여 년간 국제사회에서의 존재감이 대폭 축소되기도 했지만, 2000년 푸틴 대통령 집권 1기부터, 특히 2014년 크림 합병과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거치면서 국제무대의 중요한 행위자로서 세계적 존재감과 영향력을 새롭게 발휘하기 시작했다. 오늘날 러시아는 중동과 남미 등 세계에서 힘의 균형자로서 과거의 위상을 회복하고 있을 뿐 아니라 정치적, 종교적 차원에 걸쳐 보수주의 가치의 수호자로서 심지어 유럽으로부터도 지지와 공감을 끌어내기도 한다. 특히 인류에게 ‘미래의 영토’라고 할 수 있는 북극 지역에서 최근 들어 러시아가 군사 기지와 과학 시설을 계속해 조성하고 있고 북극항로를 새롭게 개발하고 있는 것도 오늘날 러시아의 존재감이 전 세계로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책은 지금 러시아가 세계에 일구고 있는 ‘루스키 미르’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루스키 미르(러시아 세계)’는 2008년 러시아가 세계에서 러시아어 진흥을 목적으로 설립한 재단 이름이다. 그런데 러시아는 지금 단순히 러시아어의 세계적 보급뿐 아니라 역사와 문화, 정치와 경제, 군사와 외교 등 ‘러시아적인 모든 것’의 국제적 존재감을 확대하고 있다. 바야흐로 ‘러시아 세계(루스키 미르)’를 세계에 구축하고 있다. 이 책은 러시아가 세계 속에 만드는 ‘루스키 미르’를 독자에게 보여주고 있다.
목차
제I부 유라시아의 러시아인
탈근대적 연방주의: 러시아 - 벨라루스 국가연합의 형식과 성격 15
김선래
2010년대 러시아 국제이주 양상과 중앙아시아 노동 이주 변화 38
최우익
에스토니아 내 러시아인 디아스포라 정체성 75
김혜진
유라시아 민족 간 출생 의례 차이: 러시아인, 야쿠트인, 추바시인 101
김민수
제II부 동북아 질서와 러시아
국제질서 변화와 동북아 안보 지형 135
황성우
디지털 시대, 러시아와 동북아의 정보통신기술(ICT) 협력 177
김유정
제III부 한국의 러시아 인식
한국 국민의 러시아 인식과 루소포비아 현상: 연령대별 인식 차이 201
최우익
해방 후 북한 진주 소련군과 북한 주민의 루소포비아 237
송준서
정치적 올바름입니까, 혐오입니까?: 루소포비아를 다시 생각한다 284
이지연
제IV부 세계와 러시아어
현대 러시아어 변화 추세: 러시아어 형태론을 중심으로 317
표상용
‘전국 대학(원)생 러시아어 토론대회’: 외국어 토론대회의 현황과 과제 363
김준석 · 이새봄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