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교사교육의 딜레마

교사교육의 딜레마

David F. Labaree (지은이), 유성상, 김민조, 정바울, 이정민 (옮긴이)
박영스토리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0% 0원
540원
17,4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교사교육의 딜레마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교사교육의 딜레마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91165190194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20-06-30

책 소개

교사교육기관에 대한 현실적 문제를 신랄하게 꼬집고 그 속에서 양성된 교사와 직업으로서의 교직에 대해, 혹은 산적한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상황에 놓인 개혁과제에 찬물을 끼얹는 비평서다. 교사교육의 내용과 과정, 방법, 주체의 문제를 다양한 학문분야와 비교하여 제시하고 있다.

목차

Chapter 1 교육대학, 곤경에 처하다
Chapter 2 교사교육의 낮은 지위, 언제, 어떻게 시작되었나
Chapter 3 오늘의 교사교육, 무엇이 독특한가
Chapter 4 교육 연구, 무엇이 문제인가
Chapter 5 교육 연구자, 어떻게 길러지는가
Chapter 6 교육대학 교수, 어떤 지위를 차지하고 있나
Chapter 7 교육대학, 진보주의와 사랑에 빠지다
Chapter 8 교육대학의 딜레마, 어떻게 할 것인가

저자소개

David F. Labaree (지은이)    정보 더보기
스탠퍼드대학교(Stanford University) 명예교수로 교육사, 교육사회학, 교육정책, 고등교육, 교사교육 분야에서 연구를 이어왔다. 펜실베니아대학교(University of Pennsylvania)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후 미시간주립대학교(Michigan State University)에서 18년간 교수로 일했었다. 라바리 연구에서는, 교육기관들, 예를 들어, 고등학교, 커뮤니티칼리지, 교육대학 혹은 특정 고등교육기관이 제도적 특징이 어떻게 변화, 진화해 왔는지를 역사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때 변화를 가져오는 주요 행위자들이 교육과 교육적 변화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천착하는 역사사회학적 연구를 전개해 왔다. 좀 더 큰 사회구조 속에서 교육의 목적과 기능의 맥락에서 각각의 행위자들이 어떻게 영향을 주고 또 영향받는지에 관심을 기울여 온 것이다. 이런 학술적 관심과 연구를 바탕으로, A Perfect Mess: The Unlikely Ascendancy of American Higher Education (Chicago, 2017), Someone Has to Fail: The Zero Sum Game of Public Schooling (Harvard, 2010), How to Succeed in School Without Really Learning: The Credentials Race in American Schooling (Yale, 1997), The Making of an American High School: The Credentials Market and the Central High School of Philadelphia, 1838-1939 (Yale, 1988) 등의 저서와 논문들이 있다.
펼치기
김민조 (지은이)    정보 더보기
* 학력: 이화여자대학교 초등교육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교육학 박사) * 저ㆍ역서: 초등교육행정의 이론과 실제, 북유럽의 교사와 교직, 비난받는 교사, 교사교육의 딜레마 등 * 논문: 랜덤포레스트 및 회귀분석을 활용한 한국과 핀란드 중학교 교사의 교사효능감 관련 요인 비교 분석, 초등 예비교사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의미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연구 학교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탐색, The Effect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nd Contextual Factors on Teacher Leadership in the Korean High School Context 등 * 현재: 청주교육대학교 교수
펼치기
정바울 (옮긴이)    정보 더보기
보스턴 칼리지에서 학교혁신을 주제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서울교대 교육정책 및 리더십 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관심 주제는 학교 변화와 혁신, 리더십, 교육과 테크놀로지, 교사 양성과 전문성 개발이다. 역서와 저서로는 『대학평가의 정치학』(학이시습, 2018), 『교사교육의 딜레마』(박영스토리, 2021), 『잠자는 거인을 깨워라』(에듀니티, 2020), 『코로나 시대 학교의 재탄생』(학이시습, 2020), 『로봇은 교사를 대체할 것인가』(에듀니티, 2022), 『지속가능한 리더십』(살림터, 2024) 등이 있다.
펼치기
이정민 (옮긴이)    정보 더보기
대구교육대학을 졸업하고 대구와 중국 상하이에서 6년간 초등교사로 근무하였다. 서울대학교에서 국제개발교육으로 석사를 마쳤다. 플로리다주립대학에서 국제개발교육으로 박사학위를, 교육측정과 통계로 석사학위를 땄다. 현재 미국 국제 구조 위원회(Internal Rescue Committee, IRC) 소속 교육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다. 초등교사 경력을 바탕으로 아프리카지역 나이지리아, 잠비아, 말라위, 모잠비크, 케냐 및 중동지역 레바논, 아프가니스탄 등에서 유치초등 교육 질 제고를 위한 교육과정 및 교사 역량 강화를 주제로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