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가렛 마틴 무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선교사, 극작가, 교사. 1919년 1월 4일 용정 출생, 스탠리 H. 마틴 박사와 마가렛 R. 마틴의 둘째 딸. 나중에 가족은 한국 서울로 이사했고 마가렛은 서울 외국인 학교에서 고등학교를 마쳤다. 그녀는 뉴잉글랜드 음악원에서 바이올린을 공부했고, 애즈베리 대학에서 영문학 학사 학위를, 켄터키 대학에서 연극 예술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마가렛보다 먼저 부모님, 다섯 명의 형제 자매, 그리고 사랑하는 남편 제임스 H. 무어 목사가 세상을 떠났다(1967). 그녀는 다섯 아들 데이빗(조앤), 빌(샤론), 론(이본), 앨런(캐시), 케빈을 남겼다. 1948년, 제임스 목사와 그녀는 연합감리교회 세계선교위원회에 의해 한국 선교사로 파송되었다. 마가렛은 한국감리교 여성선교회, 청소년 비행 재활과 함께 일했고, 이화여자대학교와 한국의 3개 신학교에서 기독교 드라마를 가르쳤다. 그녀는 극단 가교의 다리(The Bridge)를 연출했다. 그녀의 ‘평화의 왕자 그리스도의 삶’에 대한 그림자극은 한국의 모든 교도소와 한국 및 동남아시아 전역의 수백 개의 교회에서 공연되었다. 마가렛은 셰익스피어 희곡을 한국어로 번역한 팀을 이끌었고, 국립극장에서 그녀가 제작한 당신이 원하는 대로(As You Like It)는 올해의 최우수 연극 부문에서 한국의 토니상과 동등한 상을 받았으며, 최우수 연출가를 수상한 최초의 여성이자 최초의 외국인이었다. 그녀는 1984년 선교 현장에서 은퇴했으며, 아버지의 삶을 담은 책 Martin of Manchuria: A Torch in the Storm을 2015년에 출간했다.
펼치기
마은지 (옮긴이)
정보 더보기
숭실대학교 사학과 박사(서양사)
숭실대학교 기독교학과 박사수료(기독교 역사학 및 문화학)
Visiting Lecturer, Politic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University of Kent, UK
현재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
주요 저서로 『내한선교사 킨슬러 가족의 한국에서의 삶』, 『킨슬러 선교사의 사진 자료집-성경구락부 활동』, 『Cultural Metamorphosis of Korea and Hungary at the Turn of the Twentieth Century』(공저), 『프랑스를 만든 나날, 역사와 기억 2』(공저), 『전쟁과 프랑스 사회의 변동』(공저), 『민족주의의 재발견: 바레스의 민족주의』, 『프랑스 민족주의: 1789 이후의 계급과 민족』(공역)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냉전과 태평양 횡단 기독교 네트워크-전후 전쟁고아와 미국선교사」, 「한국의 성경구락부 형성과정에서 권세열의 역할」, 「한국전쟁과 성경구락부 운동」, 「킨슬러(Francis Kinsler), 평양을 담다-평양선교 기록(1928~1941): 프랜시스 킨슬러 가족 컬렉션의 선정과 구축」, 「옥호열 선교사의 한국의 기억-기록 고찰」, 「한말 기독교의 성경번역과 성경 민족주의에 관한 고찰」 등이 있다.
펼치기
성신형 (옮긴이)
정보 더보기
숭실대학교 베어드학부대학 부교수,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선임연구원이다. 『윌리엄 베어드』 프로파일 번역에 함께 참여(2016)했으며, 『함일돈』 선교사의 자서전을 번역하였고(2017), 에니 베어드 선교사의 『개화기조선 선교사의 삶』을 번역(2019)하였다. 그 외에도 한국기독교윤리 관련 논문을 다수 발표하였다.
펼치기
권요한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조교수, 권세열(Francis Kinsler) 선교사의 손자, 런던대학교 로열할러웨이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서울여대에서 영미문학과 영어를 가르치고 있다.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2017년 『권세열 그리고 조선의 풍경』에 참여했고, 선교사 역사, 문서와 사진연구에 관심을 갖고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