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유럽사 > 프랑스사
· ISBN : 9791156122944
· 쪽수 : 572쪽
· 출판일 : 2025-05-19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1부 혁명과 제국의 서사시
1장 1789년 7월: 바스티유 습격, 혁명의 깃발을 올리다!
2장 1792년 8월: 왕정의 몰락, 혁명의 일탈인가 도약인가
3장 1794년 7월: 테르미도르 9일 정변과 로베스피에르의 실각
4장 1799년 11월: 브뤼메르 18일 정변과 나폴레옹의 등장
5장 1815년 6월: 워털루 전투, 나폴레옹제국의 황혼 서사시
2부 낭만주의의 물결, 혁명과 반동의 세월
6장 1830년 2월: 빅토르 위고의 〈에르나니〉, 낭만주의의 승리
7장 1830년 7월: ‘영광의 3일’, 혁명이 부활하다
8장 1848년 2월: 2월혁명과 두 개의 공화국
9장 1851년 12월: 루이 나폴레옹의 쿠데타, 역사의 희비극
3부 공화국 프랑스의 진통, ‘벨 에포크’를 향하여
10장 1871년 3월: 파리코뮌 봉기, 코뮌 신화의 탄생
11장 1874년 4월: 〈인상, 해돋이〉, 클로드 모네와 인상파 예술의 탄생
12장 1894년 9월: 드레퓌스 사건, 프랑스의 분열과 통합
13장 1905년 12월: 정교분리법과 그 현대적 유산
4부 극단의 시대, 전쟁과 평화
14장 1914년 8월: 제1차 세계대전의 시작_346
15장 1936년 5월: 인민전선, 사회주의적 공화주의의 정치 실험
16장 1940년 6월: 드골과 ‘자유 프랑스’, 레지스탕스 역사를 열다
17장 1942년 7월: 벨디브 사건, 독일강점기 프랑스 최악의 대독 협력
5부 의혹의 시대, 새천년의 명암
18장 1954년 5월: 디엔비엔푸의 함락과 프랑스 식민제국의 해체
19장 1954년 11월: 알제리 전쟁, 식민통치의 기억과 화해의 수사학
20장 1968년 5월: ‘68운동’ 50년 후의 평가와 유산
21장 1981년 5월: 미테랑의 대선 승리와 프랑스의 사회주의 정치
22장 2015년 1월: 《샤를리 엡도》 사건과 프랑스 내 소수자들
주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바스티유의 정복자들”은 대부분 장인, 노동자, 가난뱅이 등 서민이었다. 이들은 “계급적 연대”의 토대 위에 유산자인 선거인들의 지휘 아래 합심, 협력했다. 뿐만 아니라, 전국 각지에서 자생적으로 결성된 민병대가 서로 연대함으로써 바스티유 함락은 “진정으로 국민적 반란의 절정”이 되었다. 1790년 7월 14일 바스티유 함락 1주년에 파리에서 거행된 연맹제가 그 증거다.
7월 14일 함락될 당시 바스티유의 수감자가 7명에 불과했고, 그나마 루이 15세 암살 미수로 30년째 수감 중인 타베르니를 제외하면 가족의 요청으로 수용된 정신병자 2명과 위폐범 4명이 전부였다는 사실, 7월 14일 바로 그날 바스티유로 시민들이 몰려간 것은 자신들을 지키는 데 필요했던 탄환과 화약을 구하기 위함이었고, 시내를 굽어보는 망루의 대포들이 두려웠기 때문이라는 사실도 그 상징성을 훼손하지 못하는 듯하다.
1792년 8월 10일, 프랑스 국회(정확히는 입법의회)는 왕권의 중단을 공식적으로 선언했다. 1791년 헌법으로 프랑스는 공식적으로 입헌군주제 국가가 되었고, 루이 16세는 집행권력의 수장이 되었지만, 이러한 국회의 선언으로 루이 16세는 불가침이라고 규정된 프랑스인의 세습 대표직을 박탈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