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일편단시

일편단시(一片短詩)

나태주, 반칠환, 서정춘, 윤효, 함민복 (지은이)
&(앤드)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800원
16,200원 >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2개 14,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2,000원 -10% 600원 10,200원 >

책 이미지

일편단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일편단시(一片短詩)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91166831799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21-11-25

책 소개

나태주, 반칠환, 서정춘, 윤효, 함민복. 한국 시단에서 탁월한 이미지스트로 자리매김을 하며 각자 개성 있는 서정의 세계를 탁월한 문체의 시로 꽃피워 냈던 다섯 명의 시인이‘한 조각 짧은 시’모음집을 펴냈다.

목차

서문
나태주 편_ 안부: 오래 보고 싶었다
제비꽃
앉은뱅이꽃
가로등
잠들기 전 기도
풀꽃 1
풀꽃 2
풀꽃 3
두 여자
좋은 날
좋다
그리움 1
이 가을에
그리움 2
사는 법
11월
행복
꽃그늘
생명
여행
묘비명
산책
오늘의 꽃
무인도
안부


연애
동행
이 봄날에
여행의 끝

반칠환 편_ 사랑: 시리지 않다
새해 첫 기적

노랑제비꽃
웃음의 힘
두근거려 보니 알겠다
새 2
호두과자
박꽃
무인도
생명, 그 아름다운 천형
호수의 손금
갈치조림을 먹으며
야심
때 1
문蚊 의사
사마귀
세계관
기적 1
가뭄
수평선
사랑
바퀴를 보면 세우고 싶다
딱따구리
목격
사라진 길앞잡이
상여놀이
한 걸음
까치집
하늘을 가진 손


서정춘 편_ 수평선 보며: 나는 하늘 아래 밑줄만 그읏고 살았다
죽편竹篇 1

단풍놀이
하모니카
첫 사랑
전설
미소전微笑展
첫 꽃

고추잠자리
새벽

구름
휴休
난蘭
대나무 2
꽁초꽃
소리 1
소리 2
낙차落差
자를 빌려 쓰다
달팽이와 놀다
하류下流
고요살이 1번지
달 귤 서귀포
30년 전
봄, 파르티잔
기념일
허시虛詩
수평선 보며

윤효 편_ 홍시: 빨갛게 남아 있었다
자존自尊
원추리
한국정신사
우리나라 꽃들은
아, 바다
굴뚝새
함박눈
완생完生
홍시
따뜻한 얼음
빙어축제
생명선
가족
부끄러움
세차
시인
흙꽃
그리움 8
어떤 개인 날
유정천리
봄 편지
울어라 새여
남행
아름다운 학교 1
아름다운 학교 14
내가 졌다
김영태 선생님
죽비
응시


함민복 편_ 그리움: 지워지지 않는다
달력
가을
상현上絃달
농촌 노총각
마흔 번째 봄
그리움
매미 2
곡선
다리의 사랑 4

그릇
마음은행
다리의 사랑 9
그늘 학습
나를 위로하며

40대
유리
목련나무
숨꽃
성선설
저 달장아찌 누가 박아 놓았나
광화문 촛불바다
연못
그림자
대전엑스포
반성
밴댕이
갈대
꽃봇대

발문

저자소개

나태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5년 충청남도 서천군 시초면 초현리 111번지 그의 외가에서 출생하여 공주사범학교와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을 졸업하고 오랫동안 초등학교 교사로 재직했다. 2007년 공주 장기 초등학교 교장을 끝으로 43년간의 교직 생활을 마친 뒤, 공주문화원장을 거쳐 현재는 공주풀꽃문학관을 운영하고 있다. 1971년 [서울신문(현, 대한매일)] 신춘문예 시 「대숲 아래서」가 당선되어 문단에 데뷔, 등단 이후 끊임없는 왕성한 창작 활동으로 수천 편에 이르는 시 작품을 발표해왔으며, 쉽고 간결한 시어로 소박하고 따뜻한 자연의 감성을 담아 많은 독자의 사랑을 받아왔다.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시로 「풀꽃」이 선정될 만큼 사랑받는 대표적인 국민 시인이다. 흙의문학상, 충남문화상, 현대불교문학상, 박용래문학상, 시와시학상, 향토문학상, 편운문학상, 황조근정훈장, 한국시인협회상, 정지용문학상, 공초문학상, 유심작품상, 김삿갓문학상 등 많은 상을 수상하였다. 1973년에는 첫 시집 『대숲 아래서』 펴냈고, 이후 1981년 산문집 『대숲에 어리는 별빛』, 1988년 선시집 『빈손의 노래』, 1999년 시화집 『사랑하는 마음 내게 있어도』, 2001년 이성선, 송수권과의 3인 시집 『별 아래 잠든 시인』, 2004년 동화집 『외톨이』, 2006년 『나태주 시선집』, 『울지 마라 아내여』, 『지상에서의 며칠』를 비롯하여 『누님의 가을』, 『막동리 소묘』, 『산촌엽서』, 『눈부신 속살』, 『그 길에 네가 먼저 있었다』, 『아직도 너를 사랑해서 슬프다』, 『마음이 살짝 기운다』, 『어리신 어머니』, 『풀꽃과 놀다』, 『혼자서도 꽃인 너에게』, 『좋다고 하니까 나도 좋다』 등 다양한 분야의 많은 문학작품을 출간하였다. 1972년 「새여울시동인회」 동인, 1995년엔 「금강시마을」 회원, 1993년부터 1994년까지 충남문인협회 회장, 2002년부터 2003년까지 공주문인협회 회장, 2001년부터 2002년까지 공주녹색연합 대표 등을 역임하였으며, 공주문화원 원장, 계간 「불교문예」 편집주간, 격월간 시잡지 「시를 사랑하는 사람들」 공동주간, 지역문학인회 공동좌장, 한국시인협회 심의위원장(부회장)을 지냈다. 주로 집에서 글을 쓰고 초청해 주는 곳이 있으면 찾아가 문학 강연을 하고 있다. 청소년기의 꿈은 첫째가 시인이 되는 것, 둘째가 예쁜 여자와 결혼해서 사는 것, 셋째가 공주에서 사는 것이었는데 오늘에 이르러 그 꿈을 모두 이루었다고 말하는 사람이다. 지금은 공주에서 살면서 공주풀꽃문학관을 건립, 운영하고 있으며 풀꽃문학상과 해외풀꽃문학상을 제정해 시행하고 있고, 현재 공주문화원장과 충남문화원연합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풀꽃문학관에서, 서점에서, 도서관에서, 전국 방방곡곡 사람들을 만나러 다니는 게 요즘의 일상이다. 가깝고 조그마한, 손 뻗으면 충분히 닿을 수 있는 시인으로 기억되고 싶다.
펼치기
서정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1년 전남 순천에서 태어나 1968년 <신아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했다. 시집으로 <죽편> <봄, 파르티잔> <귀> <물방울은 즐겁다> <이슬에 사무치다> <하류>와 시선집 <캘린더 호수>, 등단 50주년 기념집 <서정춘이라는 시인>이 있다. 제3회 박용래문학상, 제1회 순천문학상, 제5회 유심작품상, 제6회 최계락문학상, 제5회 백자예술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함민복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북 충주에서 태어나 서울예술대학 문예창작과 재학 중 『아동문학평론』과 『세계의 문학』으로 등단했습니다. 지금은 강화도에 머물며 계속해서 시를 쓰고 있습니다. 그동안 동시집 『바닷물 에고, 짜다』 『노래는 최선을 다해 곡선이다』 『날아라, 교실』(공저), 시집 『우울씨의 일일』 『자본주의의 약속』 『모든 경계에는 꽃이 핀다』 『말랑말랑한 힘』 『눈물을 자르는 눈꺼풀처럼』, 산문집 『눈물은 왜 짠가』 『섬이 쓰고 바다가 그려주다』 등을 썼습니다. 권태응문학상,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김수영문학상, 박용래문학상, 애지문학상, 윤동주문학대상 등을 받기도 했습니다.
펼치기
반칠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4년 충북 청주에서 태어나 청남초등학교와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했다. 1992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시 부문으로 등단했으며, 2002년에 서라벌 문학상, 2004년 자랑스런 청남인상을 수상했다. 시집으로 『뜰채로 죽은 별을 건지는 사랑』 『웃음의 힘』 『전쟁광 보호구역』, 시선집으로 『누나야』 『새해 첫기적』, 사화집으로 『일편단시 일편단심』, 시 해설집으로 『내게 가장 가까운 신, 당신』 『꽃술 지렛대』 『뉘도 모를 한때』, 인터뷰집으로 『책, 세상을 훔치다』 등이 있다. 2003년부터 《동아일보》 ‘이 아침에 만나는 시’를 비롯, 현재 《서울경제신문》 ‘수요일에 만나는 시’에 이르기까지 20여 년째 명시 배달부로 활동하고 있다. 이 시집의 시 「노랑제비꽃」이 중학교 교과서에 수록되었고, 「새해 첫기적」이 2012년 ‘광화문 겨울 글판 문안(교보빌딩)’에 선정되었다. 현재는 시와 산문을 쓰며, 생태 숲해설가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윤효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6년 충남 논산 출생. 본명은 창식昶植 1984년 《현대문학》 등단 시집 『물결』 『얼음새꽃』 『햇살방석』 『참말』 『배꼽』 『시월詩月』 시선집 『언어경제학서설』 편운문학상, 영랑시문학상, 풀꽃문학상, 동국문학상, 충남시협상, 유심작품상 등 수상 〈작은詩앗·채송화〉 동인
펼치기

책속에서

아직도 너를
사랑해서 슬프다.
-나태주, <이 가을에>


봄이 꽃나무를 열어젖힌 게 아니라
두근거리는 가슴이 봄을 열어젖혔구나
봄바람 불고 또 불어도
삭정이 가슴에서 꽃을 꺼낼 수 없는 건
두근거림이 없기 때문
-반칠환, <두근거려 보니 알겠다>


서귀포의 밤입니다

여기저기

귤 나뭇가지에

보름달이 노랗게 알을 슬어 놓았습니다

거룩한 밤 여기에도 있습니다
-서정춘, <달 귤 서귀포>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683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