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열 가지 향기의 시

열 가지 향기의 시

공광규, 김영탁, 동시영, 박해림, 윤범모, 윤효, 이경, 임연태, 홍사성 (지은이)
인북스
1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9,000원 -10% 2,500원
500원
11,000원 >
9,000원 -10% 2,500원
카드할인 10%
900원
10,6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열 가지 향기의 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열 가지 향기의 시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88989449836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1-10-04

책 소개

중견 시인 10인이 모여 결성한 시 동인 등등시사의 세 번째 시선집. 공광규, 김영탁, 김추인, 동시영, 박해림, 윤범모, 윤효, 이경, 임연태, 홍사성 등, 시적 지향이나 경향과 상관없이 서로의 시 쓰기를 존중하며 우정을 나누는 이들 시인의 다양하고 개성이 강한 시 세계를 감상할 수 있다.

목차

펴내는 말_5
공광규
아름다운 책 · 15 / 걸림돌 · 16 / 운장암 · 17 / 햇살의 말씀 · 18 / 제부도에서 · 20 / 우현 환상곡 · 21 / 압록 저녁 · 22 / 형상기억합금 · 23 / 낙타의 일생 · 24 / 몸관악기 · 26 / 그만 내려놓으시오 · 27 / 욕심 · 28 / 적당한 거리 · 29 / 뿌리의 힘 · 30/ 겨울에 한 해가 바뀌는 이유 · 31
김영탁
반대 · 35 / 가을, 한다 · 36 / 참 잘했어요 · 38 / 냅다 · 39 / 신세계 · 40 / 왼손을 위한 협주곡 · 42 / 굴참나무 · 44 / 밤의 고드름 · 45 / 목도리 봉별기逢別記 · 46 / 불리할 게 없는 · 48 / 떨림 · 50 / 늙은 이발사 · 52 / 8안중근9 · 54 / 완두콩 · 57 / 이승훈 멸치 · 58
김추인
뻐꾸기 새끼를 꺼내다 · 63 / 지독한 연애 · 64 / 나의 사내여, 시여 · 66 / 오래된 밑그림 1 · 67 / 프렌치키스의 암호 · 68 / 바위 · 70 / 배 · 72 / 이소離巢 · 73 / 토우들의 춤 · 74 / 초대 손님들 · 76 / 청령포에서 듣다 · 78 / 서호西湖 가는 길 · 80 / 형태 공명 이론에 대한 보고서 · 82 / 신의 화필 · 84 / 저기가 기우뚱하다 · 85
동시영
노동에 빠져야 삶을 건지는 사람들 · 89 / 독백과 방백 사이 · 90 / 말의 하늘에 오로라가 뜬다 · 92 / 다가의 노래 · 93 / 감자를 깎다가 우주를 깎다 · 96 / 산노루 · 97 / 오늘 흘린 시간 · 98 / 한마디 말처럼 · 100 / 집 나갈 집도 없다 · 102 / 일상의 아리아 · 103 / 태초를 낳는 아낙 · 104 / 습관이 발자국이다 · 105 / 비밀의 향기 · 106 / 지금만큼 못 넘을 산 · 107 / 쌀쌀한 날씨로 쌀을 씻는다 · 108
박해림
자국 · 113 / K 시인 · 114 / 한 푼 구두 · 116 / 절규 · 118 / 슬픔의 버릇 · 119 / 벌새 · 120 / 안부 · 122 / 그늘 · 123 / 발꿈치의 말 · 124 / 미완의 변명 · 126 / 라일락 할매 · 128 / 이즈음 알게 된 것들 · 130 / 적막 · 132 / 초판본 부근 · 133 / 진법 · 134
윤범모
유자농원에서 · 139 / 백척간두 · 140 / 교통신호등 · 141 / 동거인 · 142 / 집사람 · 143 / 바람 미술관 · 144 / 高手-물레 버리기 · 145 / 고수-佛母 · 146 / 좋은 날 · 147 / 몸 가벼이 흘러가는 저 강물을 보아라 · 148 / 지붕 위의 소 · 150 / 한우의 메시지 · 152 / 코로나바이러스에게 · 156 / 파도야, 미안하다 · 159 / 눈물 오아시스 · 160
윤효
박용래朴龍來 1 · 165 / 박용래朴龍來 2 · 166 / 박용래朴龍來 3 · 167 / 김종삼金宗三 1 · 168 / 김종삼金宗三 2 · 169 / 김종삼金宗三 3 · 170 / 일초 평전一超評傳 · 171 / 소설가 이상문 · 172 / 참말 · 173 / 김학표 선생님 · 174 / 남강 이승훈南岡李昇薰 · 175 / 함석헌 1 · 176 / 함석헌 2 · 177 / 함석헌 3 · 178 / 함석헌 4 · 179
이경
흑백 · 183 / 직소直訴 · 184 / 야매野梅 · 185 / 절벽의 키스 · 186 / 샹그릴라 · 187 / 야생 · 188 / 번식기 · 190 / 프르제발스키를 복제한 이유 · 192 / 글 읽는 소리 · 194 / 가이아 · 195 / 요리사 · 196 / 그림 속 그림자 읽기 · 197 / 사과를 줍는 여자 · 198 / 크고 무거운 책 · 200 / 뻘 · 201
임연태
사바세계 1 · 205 / 사바세계 2 · 206 / 사바세계 3 · 208 / 사바세계 4 · 210 / 사바세계 5 · 211 / 사바세계 6 · 212 / 사바세계 7 · 213 / 사바세계 8 · 214 / 사바세계 9 · 215 / 사바세계 10 · 216 / 사바세계 11 · 217 / 사바세계 12 · 218 / 사바세계 13 · 219 / 사바세계 14 · 220 / 사바세계 15 · 222
홍사성
한 핏줄 · 225 / 허수아비 · 226 / 용서 · 227 / 감옥에서 하룻밤 · 228 / 신두腎頭 · 229 / 역할극 · 230 / 팔상전 바람벽에 기대어 · 231 / 풍경風磬 · 232 / 범종梵鐘 · 233 / 만다라 축제 · 234 / 마등령을 넘으며 · 235 / 나는 뻔뻔하게 살기로 했다 · 236 / 철물점 풍경 · 237 / 세상살이 · 238 / 나무아미타불 · 239

저자소개

공광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여린 풀과 벌레와 곤충을 밟지 않으려고 맨발로 산행하는 일상을 소중히 여기며 시를 쓰고 있습니다. 1960년 서울 돈암동에서 태어나 충청남도 청양에서 자랐습니다.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단국대학교 대학원 문예창작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1986년 《동서문학》 신인문학상에 당선된 이후 신라문학대상, 윤동주상 문학대상, 동국문학상, 현대불교문학상, 김만중문학상, 고양행주문학상, 디카시작품상, 신석정문학상, 녹색문학상, 단국문학상, 한용운문학상을 받았습니다. 자연 친화적이고 호방한 시 〈담장을 허물다〉는 2013년 시인과 평론가들이 뽑은 가장 좋은 시로 선정되었습니다. 그의 시 <별국>, <얼굴 반찬>, <소주병>, <별 닦는 나무>가 중고등 교과에 실려 있으며, <별국>은 2019년 호주 캔버라대학교 부총장 국제 시 작품상(University of Canberra Vice Chancellor's International Poetry Prize) 후보에 오르기도 했습니다. 시집으로 《담장을 허물다》, 《서사시 금강산》, 《서사시 동해》 등과 산문집 《맑은 슬픔》이 있으며, 어린이를 위한 책으로 《성철 스님은 내 친구》, 《마음 동자》, 《윤동주》, 《구름》, 《흰 눈》, 《하늘 그릇》, 《담장을 허물다》, 《할머니의 지청구》, 《엄마 사슴》, 《청양장》, 《별국》 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박해림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4년 부산에서 태어나 1996년 《시와시학》, 1999년 《월간문학》, 2001년 서울신문과 부산일보에서 각각 시, 동시, 시조로 등단하여 『슬픔의 버릇』 『오래 골목』 『그대 빈집이었으면 좋겠네』 『바닥경전』 『고요 혹은, 떨림』 『실밥을 뜯으며』 등의 시집을 냈다. 아울러 『간 큰 똥』 등의 동시집, 『골목 단상』 등의 시조집과 시평론집 『한국 서정시의 깊이와 지평』 등을 냈다. 존재와 사물의 이면에 깊은 관심을 쏟으면서 다채로운 문학 활동을 펼쳐가고 있다.
펼치기
윤범모 (지은이)    정보 더보기
o 제20/21대 국립현대미술관 관장 o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좌교수 o 가천대학교 예술대 교수 o 사우스 플로리다 대학교 연구교수 o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초대회장 o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o 광주 비엔날레 창립 집행위원 (대통령 표창) o 광주 비엔날레 특별전 책임큐레이터 o 호암갤러리(삼성그룹 리움 전신) 개관 팀장 저서 『미술현장과 전시』 『현대미술관장의 수첩』 『시인과 화가』 『한국미술론』 『한국 근대미술: 시대정신과 정체성의 탐구』 『미술과 함께, 사회와 함께』 시집 『파도야, 미안하다』 외 다수
펼치기
동시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3년 『다층』으로 등단. 시집 『수평선은 물에 젖지 않는다』 등 10권. 산문집 『여행에서 문화를 만나다』 『문학에서 여행을 만나다』 등. 시론집 『현대시의 기호학』 『한국문학과 기호학』 『노천명 시와 기호학』 등. 시와시학상, 한국불교문학상대상, 동국문학상, 월탄문학상, 영랑문학상 평론 대상 등 수상.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창작지원금 수혜.
펼치기
김영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 예천에서 태어나 1998년 《시안》으로 등단했다. 시집 『새소리에 몸이 절로 먼 산 보고 인사하네』 『냉장고 여자』와 산문집 『시식남녀』가 있다.
펼치기
윤효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6년 충남 논산 출생. 본명은 창식昶植. 1984년 『현대문학』으로 등단. 시집 『물결』, 『얼음새꽃』, 『햇살방석』, 『참말』, 『배꼽』. 시선집 『언어경제학서설』. 편운문학상 우수상, 영랑시문학상 우수상, 풀꽃문학상, 동국문학상, 충남시협상, 유심작품상 등 수상. 〈작은詩앗·채송화〉 동인.
펼치기
홍사성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51년 강원도 강릉에서 태어나 2007년 《시와시학》으로 등단하여 시집 『내년에 사는 法』 『고마운 아침』 『터널을 지나며』 『샹그릴라를 찾아서』를 냈다. 바짝 마를수록 맑은 울음을 우는 목어의 시 정신과 따뜻한 언어로 삶의 애환을 그려가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용서

홍사성

나룻배 한 척
고요 수면 가르며 지나가네
호수, 출렁이다 이내 잔잔해지네

나비 한 마리
옆 동네 꽃밭으로 날아가네
황국, 흔들리다 다시 조용해지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