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66890406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21-09-01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프롤로그 | 생태학이라는 사고법
1부 인류의 위기와 생태학
1 생태학의 등장
‘관계’ 중심의 생태학 | 자연계 전체를 파악하기
2 닫혀버린 지구
에코 시스템의 발견 | 지구 시스템과 인류 | 자연의 역습
3 생명과 환경
생명의 기원과 물 | 질소?탄소 순환 | 기후 파괴의 공포 | 인燐과 에너지 | 먹이사슬과 자연 균형
4 문명과 자연의 조화
에너지 균형의 위기 | 인공 시스템의 효율화
2부 생태학은 무엇을 가르칠까?
5 시스템의 생태학
가장 약한 고리가 전체를 지배한다 | 채널은 많을수록 좋다 | 생태계의 피드백 시스템
6 적응의 생태학
환경이 바뀌면 나도 바뀐다 | 최적 조건의 원칙 | 파멸은 중심에서 시작한다
7 윤리의 생태학
선악은 상대적이다 | 기생 생물과 숙주 | 약자가 살아남는 법
8 생존의 생태학
경쟁의 매커니즘 | 유해 상태의 두 조건 | 자기 구역과 서열 | 크기와 대사율의 법칙 | 마이크로 환경이 빚는 큰 차이
에필로그 | 자연을 두려워하라
옮긴이의 말
리뷰
책속에서
생태학의 연구 대상은 동일 종뿐 아니라 다른 종과의 관계를 포함해 생물과 생물 사이의 관계, 나아가 더욱 폭넓게는 생물과 무생물, 말하자면 물질계 사이 또는 환경 일반(물론 여기에는 생물의 일원인 인간도 포함한다)과의 관계가 될 것이다. 한마디로 생태학은 관계의 학문이며, 생태학적 사고란 올바르게 정립한 관계에 입각한 사고라 할 수 있을 것이다. _1 생태학의 등장
지금까지 인간은 자연을 사회 시스템의 일부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어떤 사회 시스템도 얼핏 닫혀 있는 듯 보여도 자연이라는 요소를 고려하면 지구 시스템을 향해 반드시 열려 있다. 서아시아의 사막 지대에는 무수한 고대 문명의 유적이 모래 속에 파묻혀 있다. 우르, 니네베, 말리, 바빌론 등 고대 도시는 원래 사막에 지어진 것이 아니다. 일찍이 그곳은 푸른 자연으로 뒤덮여 있었다. 그곳에 인간이 도시라는 인공 환경을 만들었다. 도시의 사회 시스템 내부는 과연 입력과 출력의 균형이 맞았을까? 자연에 대해 입력보다 출력이 많았다. 그런 까닭에 녹색 자연은 수탈되기만 했고, 결과적으로 푸르름이 소멸되고 사막으로 변화되어버린 것이다. _2 닫혀버린 지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