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대학 고전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2

대학 고전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2

윤승준, 김정녀, 김주언, 김주환, 김혜림, 박경남, 박홍준, 송재혁, 임선숙, 정명교, 홍성기, 현영빈 (지은이)
역락
2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0% 0원
810원
26,19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대학 고전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대학 고전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2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고전문학론
· ISBN : 9791173961878
· 쪽수 : 592쪽
· 출판일 : 2025-08-25

책 소개

이번에 펴내는 두 번째 책은 고전읽기 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오늘날, 한국 대학의 교육 현장을 되돌아보면서 우리의 미래를 짊어질 젊은이들이 어떤 교육을 받아야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하였다. 고전이란 무엇이며, 읽는다는 것은 어떤 것인지를 진지하게 되묻고자 했다.

목차

고전은 어떻게 살아 존재하는가?∙정명교
고전에 대한 막연한 통념
고전은 변화함으로써 고전이다.

소설 읽기 교육의 정체성-책 속의 ‘길’을 중심으로∙김주언
1. 서론
2. 길 없는 길 가기로서의 소설 읽기
3. 읽기 과정에서 일어나는 해석학적 사건들
4. 결론
교양교육으로서의 고전읽기 교육-한국 대학의 현황과 과제를 중심으로∙윤승준
1. 대학과 교양교육
2. 한국 대학의 고전읽기 교육 현황
3. 고전읽기 교육의 세 가지 문제
4. 고전읽기 교육의 성과와 과제
5. 맺음말

교양과목으로서 동양사상의 의미와 교육방법∙홍성기

우리의 정치사상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고전을 통한 한국 정치사상 교육 방안에 대한 시론∙송재혁 김혜림

Ⅰ. 서론: 한국 정치사상 교육의 현황과 고전 발굴의 필요성
Ⅱ. 한국 정치학의 대표 고전으로서 정도전의 세 저작
Ⅲ. 현황과 과제: 정도전에게 투영되었던 20세기
Ⅳ. 고전을 통한 한국 정치사상 강의의 시험적 구성
Ⅴ. 결론: 고전과 한국 정치학 교육, 그 방향성에 대한 제언

융복합 코티칭 고전 교육 개발 및 운영 사례 연구
: D대학 ‘고전으로 세상읽기: 현대’를 중심으로∙김주환

Ⅰ. 서론
Ⅱ. 열린 해석과 융합적 고전 교육을 위한 코티칭 고전 수업
Ⅲ. 커리큘럼과 수업 방식에 대한 고민
Ⅳ. 학생들의 평가
Ⅴ. 결론을 대신하여

대학 고전읽기 교과의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 통합교육 방안 고찰 임선숙
1. 서론
2. 읽기 교과의 통합교육 구성을 위한 이론 고찰
3. <명저읽기> 통합교육의 실제
4. 결론

로크 기호학의 재발견-고대 신탁에서 진단 의학까지∙박홍준
Ⅰ. 서론
Ⅱ. 진단의 예술: 기호 해석을 통한 의학적 추론
Ⅲ. 단어의 임의성: 플라톤부터 현대 미국정치까지
Ⅳ. 물질과 비물질의 세계에 떠오르는 기호
Ⅴ. 결론

칸트의 사회 계약 이론을 통해서 본 근원적 계약의 이념성∙박경남
Ⅰ. 서론
Ⅱ. 칸트의 사회 계약 이론
Ⅲ. 칸트의 사회 계약 이론에 대한 윌리엄스의 비판
Ⅳ. 비판에 대한 답변
V. 결론

프로도의 하인에서 “마스터 샘와이즈”로:
��반지의 제왕�� 속 샘의 정신분석학적 성장 서사∙현영빈

Ⅰ. 샘의 시작과 ��반지의 제왕��의 끝
Ⅱ. 애도와 우울, 미성숙과 성숙: 샘의 상실과 심리성적 성장
Ⅲ. 구강기와 항문기: 하플링, 유아, 샘
Ⅳ. 쉴롭과 스팅, 남근적 기호를 통한 승리와 성장
Ⅴ. 성장의 완료와 서사의 종결

<유화기연>에 나타난 남성성의 균열과 여성의 성의식∙김정녀
Ⅰ. 서론
Ⅱ. 미완인未完人 남성이 드러낸 여성의 성性과 욕망
Ⅲ. 좌절된 여성의 욕망과 탈규범적 대응
Ⅳ. <유화기연>에 나타난 성 담론의 의미

저자소개

김정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자유교양대학 조교수. 고전산문 중 몽유록소설을 주로 연구하였다. 최근에는 역사와 기억서사의 관련 양상, 하위주체의 문학적 형상화에 관심을 두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조선후기 몽유록의 구도와 전개≫, ≪몽유록-꿈속 이야기로 되살아난 기억들≫(번역서), ≪서사문학의 시대와 그 여정: 17세기 소설사≫(공저), ≪한국 고전문학 작품론≫(공저), ≪한국 고소설 강의≫(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홍성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아주대학교 명예교수. 1980년에 서울대 독문과를 졸업하고, 동서비교철학과 불교철학을 전공하여 1987년 뮌헨대학에서 철학석사, 1993년 자르브뤽켄대학에서 철학박사를 취득했다. 2017-18년에 한국교양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통합학으로서 교양과 세부학으로서 전공이 학부교육의 두 축이 되어야 하며, 이때 교양조직은 교육-연구 조직이 되어야 한다는 신념을 갖고 있다. 2018년부터 교양의 국제화를 추진하여, 그 결과로 국제포럼과 창파강좌를 조직하였다.
펼치기
윤승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자유교양대학 교수. 문학을 통해 인간을 이해하고 사회를 바라보는 눈을 키웠다. 책을 읽고 글을 쓰고 이야기를 나누는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조금씩 변화해 가는 모습을 지켜보는 것을 보람으로 여기고 있다. 국내외 대학의 교양교육 현황과 정책, 역사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한국의 고등교육 정책과 교양교육의 역사」, 「1980년대 대학 교양교육 실태에 대한 성찰」, 「고전교육, 교양필수 교과목 운영 사례: 단국대학교 <명저읽기>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펼치기
김주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자유교양대학 교수. 『한국 비극소설론』, 『김훈을 읽는다』,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공저), 『서양의 고전을 읽는다』(공저) 등을 썼다.
펼치기
김주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아대학교 융합대학 조교수. 미국 조지아주립대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동아대학교 융합대학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연구분야는 사회이론 및 사회사상, 문화분석이고 비판사회이론과 규범적 사회이론의 통합적 시각 속에서 통치의 변화와 비판의 문제를 종합적으로 접근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임선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자유교양대학 조교수. 현대소설을 전공했으며 대학 의사소통 교육, 가족담론, 근대매체 등의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는 「학습이론을 통한 대학 글쓰기의 과정과 교육방법 고찰」, 「1970년대 여성소설과 가족주의 양상」, 「근대 인쇄 매체에 나타난 신여성의 소문과 치유적 글쓰기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송재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연구교수.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 정치외교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공 분야는 한국 및 동양 정치사상으로, 그동안 조선 초기 국가 건설의 내용을 당대의 정치가들이 활용한 서적들을 통해 밝히는 연구를 수행해 왔다. 최근에는 조선 초기의 정치지성사 연구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저서로는 『세종의 고백, 임금 노릇 제대로 하기 힘들었습니다』, 주요 논문으로는 <정도전의 국가론: ≪조선경국전≫과 원 제국의 유산>, <정도전은 왜 인용한 자료를 밝히지 않았나?: 창업군주를 위한 통치론의 저술과 원 제국의 유산>, <세종, 역사를 고치다: 세종 20년 신개의 상소와 무인정변의 재구성> 등이 있다.
펼치기
박경남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연구소 연구교수 및 카이스트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겸직교수. 서강대학교 철학과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로욜라 유니버시티 시카고(Loyola University Chicago)에서 칸트의 물질 개념에 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경북대학교 철학과 BK21 계약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 단국대, 카이스트, 서강대에서 강의하고 있다. 그 밖에 로욜라 유니버시티 시카고, 가톨릭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경북대학교에서 강의했다. 주요 논문으로 “칸트의 사회 계약 이론을 통해서 본 근원적 계약의 이념성”(2024), “인격에 대한 칸트의 관점과 인공지능”(2023), “윤리 역사에 대한 칸트의 예언: 『학부들의 다툼』 제2절을 중심으로”(2023) 등이 있다.
펼치기
김혜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광주과학기술원 인문사회과학부 대우교수.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광주과학기술원 인문사회과학부 대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그 외에 홍익대학교 외래교수, 성신여자대학교 윤리교육과, 서울여자대학교 국제학연계전공 및 숭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강사로서 청와대 대통령 비서실 정무기획비서관실과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실 비서관으로 재직한 바 있다. 소관 기관으로는 군사법원, 감사원 등을 담당했으며 세부 전공은 비교정치로, 군사안보와 국제관계, 지역학, 정책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박홍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연구소 연구교수. 단국대학교에서 음악인류학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기호학과 심리철학을 토대로, 실용주의적 관점에서 비언어적 소통 체계가 인간 사회에서 어떻게 작동・활용되는지를 탐구한다. 미국과 한국의 대학에서 핵심 교양 과목을 강의하며 학생들과 활발히 소통해 왔으며, 최근 발표 논문은 “Praxeology in the Mosh Pit: Event Promotion and Global Networks in the Indonesian-Korean Metal Scene, 2017-2025,” “Labeling the Uncarved Sound: Derridean, Wittgensteinian, and Zhuangzi’s Perspectives on “Korean Music”,” “Absent Origins: Semiotic Insights into Musical Creativity and Thought’s Non- Locality.” 「로크 기호학의 재발견—고대 신탁에서 진단 의학까지」 등이 있다.
펼치기
정명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 대전 출생. 서울대 불어불문학과 졸업 및 동 대학원 박사. 충남대 불문과 교수(1984. 12-2000.08)를 거쳐, 연세대학교 국문과 교수(2000.09-2023.08)로 봉직하였음. 1979년 동아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문학평론가로 활동함. 계간 『문학과사회』 편집동인(1988- 2004). 동인문학상 종신 심사위원. 삼성호암상 위원, 1993년 「크레티엥 드 트르와 소설의 구성적 원리」로 서울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음. 『문학, 존재의 변증법』(1985)에서 『한국 근대시의 묘상 연구』(2023)에 이르기까지, 한국문학, 한국문화, 디지털 문명, 프랑스 중세 문학 등에 관한 수다한 저서가 있음.
펼치기
현영빈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연구소 연구교수. 연세대학교 영문과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미네소타 대학교에서 아시아계 미국 희곡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단국대에서 <명저읽기> 수업을 가르치며 관심분야를 동시대 문학에서 고전으로까지 확장, 현재는 비극의 주제가 고대 그리스로부터 현대 미국까지 변주되어 온 양상과 그 역사를 추적하는 시대적 연구에 관심을 갖고 있다. 최근 논문으로 “Labor of Love: Alienation, Race, and Family in Julia Cho’s Aubergine”, “Dual Compliance and the Model Minority Myth: Capitalist Labor and Sexuality in Chay Yew’s Wonderland and Julia Cho’s Durango” 등이 있으며, 『청춘, 고전에 길을 묻다』 4, 5권에도 저자로 참여하였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