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정신병리학 총론 3

정신병리학 총론 3

카를 야스퍼스 (지은이), 송지영, 김린, 송하석, 홍성광, 이재황, 윤순식, 양태규, 홍성기 (옮긴이), 정신병리문헌연구회 (감수)
아카넷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정신병리학 총론 3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정신병리학 총론 3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카를 야스퍼스
· ISBN : 9788957333495
· 쪽수 : 372쪽
· 출판일 : 2014-02-14

책 소개

초판이 출간된 지 100년이 넘어감에도 여전히 정신의학의 기본 문헌이자 이정표가 되는 저작으로 가치를 인정받는 고전이다. 책은 정신과(科) 영역의 무수한 현상과 증상을 특정 학설에 치우치거나 집착하지 않고 현상학적으로 기술·정의·분류하고 있다.

목차

제1판 머리말 제2판과 제3판 머리말에서 제4판 머리말 제7판 머리말

제3부 정신생활의 인과 관련(설명심리학)
a) 단순한 인과관계와 그 난제 b) 메커니즘과 유기체 c) 내인과 외인 d) 의식 외 사건으로서의 인과 사건 e) 인과인식을 절대시하는 것에 반대 f) 인과인식에 대한 개관

제1장 환경과 신체가 정신생활에 미치는 작용
1. 환경의 영향
a) 시각, 계절, 날씨, 기후 b) 피로와 쇠약

2. 독성물질

3. 신체질환
a) 내과 질환 b) 내분비질환 c) 증상성 정신병 d) 죽음

4. 뇌의 병적 과정
a) 기질성 뇌질환 b) 일반 증상과 특이 증상 c) 국소론(局所論)의 역사 d) 국소성 문제에 중요한 여러 사실 e) 국소론의 기본 문제 f) 정신적인 것의 국소성에 대한 의심

제2장 유전(遺傳)
1. 과거의 기본 관념 및 계통학과 통계학에 의한 그 해명
a) 유전성의 기초 사실 b) 계보학적 견해 c) 통계학 d) 동형 유전과 이형 유전 e) 정신병의 첫 출현 내지 새로운 출현의 원인에 대한 문제

2. 생물학적 유전학에 의한 새로운 자극/추진
a) 변이 통계학 b) 인자형과 현상형 c) 멘델의 법칙 d) 유전질은 세포 속에 존재한다 e) 돌연변이 f) 비판적 제한(한계) g) 중요 기본 개념의 요약

3. 정신병리학에 대한 유전학의 적용
a) 중요한 기본 개념 b) 방법상의 어려움 c) 정신병의 유전에 대한 연구 d) 정신현상의 유전에 대한 연구 e) 유전권의 사고 f) 쌍생아 연구 g) 배아 손상의 문제 h) 지금까지의 부정적인 성과에도 유전학을 정신병리학에 적용시키는 의미

4. 잠정적 성격을 지닌 경험적 통계학으로의 귀환

제3장 설명적 이론의 의미와 가치에 대하여
1. 설명적 이론의 특징
a) 이론의 본질 b) 정신병리학에서의 이론적 기본 관념들

2. 정신병리학에서 이론 구성의 범례
a) 베르니케 b) 프로이트 c) 구성적·발생적 정신병리학 d) 앞서 언급된 여러 이론의 비교

3. 이론적 일반 사고의 비판
a) 모범으로서의 자연과학 이론 b) 이론적 사고의 정신 c) 이론의 근본적 오류 d) 정신병리학에서 이론적 관념의 불가피성 e) 이론에 대한 방법적 태도

제4부 정신생활 전체의 파악
a) 과제 b) 세 가지 과제의 분지 c) 과제의 해결을 시도하면서 달성되는 것과 그렇지 못한 것 d) 전체를 위한 열광과 오류 e) 본래적 인간존재의 미해결된 영역으로 가는 도정으로서의
인간의 인식 f) 이념에 의해 인도된 연구 g) 유형학의 방법 h) 정신도(精神圖)

제1장 병 증상의 종합(질병분류학)
1. 질병 단위라는 이념에 따른 연구

2. 정신병의 전체 영역에서의 기본적 구별
I. 상태의 구별

II. 본질적 구별
a) 작업 결함과 인격 장애 b) 신경증과 정신병 c) 기질적 뇌질환과 내인성 정신병 d) 정서질환과 정신질환

3. 증후군
a) 임상 양상과 증후군 b) 증후군이 만들어지는 관점 c) 증후군의 현실적 의미 d) 정신분열병성 증후군에 관한 카를 슈나이더의 학설

개별적 증후군의 서술
a) 기질성 증후군 b) 의식 변화의 증후군 c) 이상(異常) 정동상태의 증후군 d) 망상적 상태의 증후군

4. 질병의 분류(진단 도식)
a) 진단 도식의 필요조건 b) 진단 도식의 윤곽 c) 도식의 설명 d) 진단 도식의 도움을 받은 통계적 연구

옮긴이 해제 옮긴이 후기 찾아보기

저자소개

칼 야스퍼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야스퍼스는 ‘실존철학’이라는 용어를 최초로 사용하고 ‘실존철학’을 제목으로 하는 책을 최초로 쓴 독일의 철학자이다. 실존철학은 물론 심리학, 정신의학, 정치철학, 세계철학사 등에 대한 열정적인 연구를 기반으로 여러 저작을 남겼다. 그가 28세에 쓴 『정신병리학 총론』은 아직까지도 정신병리학계의 주요 저서로 평가되고 있다. 의학을 먼저 전공하고 심리학, 철학으로 연구 영역을 확장해 온 독특한 이력은 그가 철학을 하기 위해 일부러 선택한 과정이었다. 야스퍼스 스스로 의학과 자연과학을 섭렵한 자신에게서는 철학이 살아 숨 쉴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이러한 이력 덕분에 야스퍼스는 과학자들에게는 철학자로 여겨지고 철학자들에게는 과학자로 여겨지는 곤란함을 겪었다. 야스퍼스가 보기에 철학자들은 실재를 너무 도외시했고 과학자들은 사유를 충분히 하지 않았다. 야스퍼스 평생의 화두는 독단에 빠지지 않는 참다운 철학이었다. 야스퍼스는 나치 시절에 부인 게르트루트가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강제로 휴직을 해야 했을 때 한 마지막 강의에서 “우리의 강의는 중단되지만 철학함의 자세는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것입니다”라고 말해 그치지 않는 박수를 받았다고 한다. 이러한 야스퍼스의 태도는 나치 통치가 종식된 후 독일에서 대중적 인기를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스위스 바젤로 이주하게 된 이유에서도 엿볼 수 있다. 대중들이 자신을 좋아하면서도 자신의 사상에 동참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실망한 야스퍼스에게 대중의 인기는 “우정 어린 마음에서 비롯되었다 해도 참답지 못한 것이어서 유해한” 것이었다. 야스퍼스는 나치 시절을 지나 살아남았다는 것 자체가 죄책이며 인간은 누구나 어떻게 통치되는지에 대해 책임을 가지고 있다는 주장을 펼쳤다. 바젤에서 야스퍼스는 헛된 명성에서 벗어나 인기와는 무관한 자기 자신의 고유한 삶을 살았다. 태어날 때부터 건강이 좋지 않았고 평생토록 죽음의 문턱을 넘나들며 살았던 야스퍼스는 그 덕분에 오히려 삶이란 얼마나 아름다운지를 알았다고 한다. 야스퍼스는 어디에서나 소박함을 유지하기를 바란다는 내용의 유언장을 남기고 세상을 떠났다. 그러고는 생전에 매입해 두었던 조국 독일을 바라볼 수 있는 묘역에 묻혔다. 야스퍼스는 평생 스스로 ‘다르게는 될 수 없는 자기 자신의 존재’라 묘사했던 그 자기 자신으로 살았다. 주요 저서로 『정신병리학 총론』(1913), 『세계관의 심리학』(1919), 『현대의 정신적 상황』(1931), 『철학 I II III』(1932), 『이성과 실존』(1935), 『실존철학』(1938), 『죄책론』(1946), 『진리에 관하여』(1947), 『철학적 신앙』(1948), 『역사의 기원과 목표』(1949), 『원자탄과 인류의 미래』(1958), 『계시에 직면한 철학적 신앙』(1962)이 있다.
펼치기
이재황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독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안나 제거스의 망명기 문학과 그 미학적 기초」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성신여대 연구교수 및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한남대 인문과학연구소 선임 연구원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아주대 특임교수로 재직중이다. 옮긴 책으로 카프카의 『실종자』 『소송』 『성』 『아버지에게 드리는 편지』, 카를 야스퍼스의 『정신병리학 총론』(전4권, 공역), 안나 제거스의 『통과비자』 등이 있다.
펼치기
홍성광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문대 독문과 및 대학원을 졸업하고, ‘토마스 만의 장편소설 《마의 산》의 형이상학적 성격’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저서로는 《독일 명작 기행》 《글 읽기와 길 잃기》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루카치의 《영혼과 형식》, 쇼펜하우어의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쇼펜하우어의 행복론과 인생론》,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도덕의 계보학》, 토마스 만의 정치 에세이 《예술과 정치》, 《마의 산》(상·하) 《부덴브로크 가의 사람들》(상·하), 괴테의 《이탈리아 기행》 《젊은 베르터의 고뇌》, 실러의 《도적들》 《간계와 사랑·빌헬름 텔》, 헤세의 《잠 못 이루는 밤》 《데미안》 《수레바퀴 밑에》 《싯다르타》, 카프카의 《성》 《소송》 《변신》, 하인리히 뵐의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레마르크의 《서부전선 이상 없다》, 페터 한트케의 《어느 작가의 오후》, 야스퍼스의 《정신병리학총론》(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윤순식 (옮긴이)    정보 더보기
부산에서 태어나 서울대 인문 대학 독문과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공군사관학교에서 독일어 전임 교수를 역임했고, 독일 마르부르크 대학에서 수학했다. 박사 후 연수(Post - doc) 과정으로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에서 현대 독문학을 연구했고, 오랫동안 서울대학교에서 강의했으며, 한양대학교 연구 교수, 덕성여자대학교 교양학부 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홍익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전 한국토마스만학회 회장이다. 제18회 한독문학번역상(제11회 시몬느번역상)을 받았고, 대중을 위한 공개 강연도 자주 하고 있다.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15079 「병과 문학」, 「문학과 정치」, 「문학과 음악」, 「근대 독일 문학 작품에 나타난 자본주의 경제」 등 30여 편의 논문을 위시하여, 저서에는 『‘마법의 산’ 읽기』, 『아이러니』, 『토마스 만』, 『전설의 스토리텔러 토마스 만』, 『토마스 만의 생각을 읽자』, 『헤르만 헤세의 생각을 읽자』, 『프란츠 카프카의 생각을 읽자』, 『이해와 소통 글쓰기』, 『괴테 사전』, 『최강 독일어』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내가 아는 나는 누구인가』(공역), 『교양』(공역), 『정신병리학 총론』(공역, 전 4권), 『역사의 지배자』, 『작약등(芍藥燈)』, 『아이 사랑도 기술이다』, 『마의 산』(전 3권), 『변신』, 『괴테, 토마스 만, 니체의 명언들』, 『로스할데』, 『나르치스와 골드문트』, 『토니오 크뢰거』, 『베네치아에서의 죽음』, 『독일 전설』(공역, 전 2권), 『사기꾼 펠릭스 크룰의 고백』,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송하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불어과를 졸업한 후 미국으로 건너가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에서 비트겐슈타인에 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고, 1994년 클레어몬트대학교 철학과 대학원에서 진리론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아주대학교 다산학부대학 교수로 철학과 논리학을 가르치고 있다. 논리학을 비롯해서 언어철학, 심리철학, 과학철학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여 여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지은 책으로는 『리더를 위한 논리훈련』과 『철학의 숲, 길을 묻다』, 『철학의 숲, 길을 열다』(공저)가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에이어의 『언어, 논리, 진리』와 야스퍼스의 『정신병리학총론 1~4』, 윌리엄 닐과 마르타 닐의 『논리학의 역사 1, 2』(공역)가 있다.
펼치기
송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신경정신과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여 1986년 이후 현재 경희대학교 의과대학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정신신체의학회 회장, 한국정신병리-진단분류학회 회장, 동대문구치매지원센터장, 경희의료원 메디컬아카데미 소장을 맡고 있다.
펼치기
김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이며, 고려대 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을 역임했다. 저서 및 역서로는 『노인정신의학』(교과서, chapter 저자), 『신경정신의학』(교과서, chapter 공저자), 『Textbook of Geriatric Medicine International』(chapter 저자), 『임상실제에서의 신경심리학』(공역), 『의학보수교육』(공역), 『정신병리학 총론Von Karl Jaspers의 Allgemeine psychopathologie』(공역), 『감정의 힘』(역서) 등이 있다.
펼치기
정신병리문헌연구회 (감수)    정보 더보기
이 모임은 2001년에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 양병환 교수가 주축이 되어 정신병리학에 관심이 있는 정신과 의사, 심리학자, 철학자들이 모여 결성된 공부모임이다. 이번에 한국어로 번역된 야스퍼스의 『정신병리학 총론』은 2006년부터 동 연구회에서 윤독해오던 것으로서 연구회 회원인 양병환 교수(한양대학교), 전양환 교수(가톨릭 의대), 이강욱 교수(강원대학교), 허윤석 박사(분당 지상정신과), 윤종철 박사(경기도 노인전문 용인병원), 박선철 박사(용인 정신병원)가 번역 사업에 참여하여 내용을 감수하고 수정 작업을 도왔다. 매월 한 차례 세미나를 개최하여 정신병리학의 고전적 문헌에 대한 연구와 관련 고전 번역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한국정신병리-진단분류학회의 산하 학술모임으로서 정신병리학 기초 개념의 정리와 문헌 탐구를 계속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