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카를 야스퍼스
· ISBN : 9788957333488
· 쪽수 : 558쪽
· 출판일 : 2014-02-14
책 소개
목차
제1판 머리말 제2판과 제3판 머리말에서 제4판 머리말 제7판 머리말
제1부 정신생활의 개별 사실
제3장 신체적 동반 현상 및 후속 현상 속에 나타나는정신생활의 증상(신체심리학)
1. 정신·신체적 기본 사실
a) 신체감각 b) 지속적인 신체적 동반 현상 c) 수면 d) 최면 중의 신체적 작용
2. 정신에 좌우되는 신체적 장애
a) 정신적 조건에 의한 주요 신체적 장애군 b) 신체적 장애의 유래
3. 정신질환자의 신체적 소견
a) 체중 b) 무월경 c) 내분비장애의 소견 d) 유형적인 신체병리학적 현상도(現象圖)를 얻기 위한 계통적인 생리학적 연구
제4장 의미 있는 객관적 사실
제1절 신체와 운동에서 마음의 표현(표현심리학)
a) 신체적 동반 현상과 심적 표현 b) 표현의 이해 c) 탐구 기술 d) 개관
1. 골상학
2. 몸짓 또는 표정
a) 신체적 움직임(또는 운동)의 종류 b) 몸짓 이해의 원칙 c) 정신병리학적 관찰
3. 필적
제2절 자기세계 속의 인간의 존재(세계심리학)
1. 세계 행동의 개별 소견(행동 분석)
a) 행동거지 b) 환경형성 c) 생활태도 d) 행위
2. 세계의 변화
a) 정신분열병의 세계 b) 강박 환자의 세계 c) 사고비약자의 세계
제3절 지식과 작품에서의 객관화(작품심리학)
1. 작품 창조의 개별 소견
a) 언어 b) 환자의 문학적 작품 c) 회화, 예술, 수작업
2. 세계관 속에서 정신의 총체성
a) 근본적 실현 b) 환자의 특수한 세계관 c) 환자의 세계관적 시의성(時宜性)의 관찰
제2부 정신생활의 이해 가능한 상관관계(이해심리학)
a) 이해하기와 설명하기 b) 이해와 현실의 명징성(이해하기와 해석하기) c) 합리적 및 감정이입적 이해 d) 이해의 한계와 설명의 무제한성 e) 이해와 무의식 f) 가정적(假定的) 이해 g) 이해의 종류 전반에 관하여 h) 심리학적 이해 가능성이 어떻게 이해 가능한 객관성과 이해 불능 사이의 가운데에서 움직이는가의 문제 i) 이해 정신병리학의 과제
제1장 이해 가능한 연관관계
1. 우리의 이해 능력의 원천과 이해 정신병리학의 과제
2. 내용적으로 이해 가능한 연관관계
a) 욕동과 그 정신적 발현 및 변화 b) 세계 속의 개인 c) 기본 지식의 내용, 상징
3. 이해 가능성의 기본 형태
a) 정신의 대립적 긴장과 그 움직임의 변증법 b) 순환 속의 생(生)과 이해 가능성
4. 자기성찰
a) 성찰과 무의식 b) 정신의 변증법에서 박차(拍車)로서의 자기성찰 c) 자기성찰의 구조 d) 자기성찰 효과의 일례
5. 심리학적 이해와 이해 가능성의 근본 법칙
a) 경험적 이해는 해석이다 b) 이해는 해석학적 순환으로 수행된다 c) 대립되는 것들은 동일하게 이해 가능하다 d) 이해는 결론이 나지 않는다 e) 무한한 해석 가능성 f) 이해는 규명하기와 폭로하기이다
제2장 특수한 기제에서의 이해 가능한 연관관계
a) 의식 외적 기제의 개념 b) 이해 가능한 내용과 기제 c) 일반적이며 항상 대면하고 있는, 또한 정신적 체험으로 움직임에 처한 특별한 기제 d) 정상적 및 비정상적 기제
제1절 정상적 기제
a) 체험 반응 b) 이전 체험의 후속 작용 c) 꿈의 내용 d) 암시 e) 최면
제2절 비정상적 기제
1. 병리학적 심인성 반응
a) 발병 주기와 비정기적 발작과 대비되는 반응 b) 반응의 이해 가능성의 3중 반응들이 의미를 얻게 되는 세 가지 상이한 방식 c) 반응성 상태 개관 d) 심리적 충격의 치유적 효과
2. 이전 체험의 비정상적 영향
a) 비정상적 습관 b) 복합 감정의 영향 c) 보상 d) 해체 경향과 전체성/통합 경향
3. 비정상적인 꿈
a) 신체 질병이 있을 때 나타나는 꿈 b) 정신병이 있을 때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꿈 c) 비정상적인 꿈의 내용
4. 히스테리
5. 정신병의 이해 가능한 내용
a) 망상적 사고 b) 정신분열병에서의 망상적 생각 c) 교정 불능성 d) 망상 내용의 질서
제3장 병에 대한 환자의 태도
a) 급성정신병의 발병에 대한 이해 가능한 태도 b) 급성 정신병이 종료된 후의 가공 c) 만성 상태에서의 병의 가공 d) 자신의 병에 대한 환자의 판단 e) 병에 대한 의지 f) 자신의 병에 대한 태도의 의미와 가능성에 관하여
제4장 이해 가능한 연관관계의 전체(성격학)
1. 개념 정의
a) 성격의 존재 b) 성격의 생성 c) 이해 가능한 성격과 이해 불가능한 성격
2. 성격학적 분석의 방법
a) 언어적 묘사 가능성의 의식 b) 성격학의 개념은 이해심리학의 개념이다 c) 방법으로서의 유형학
3. 성격학적 기본 분류의 시도
a) 개별적 형상 b) 이상형 c) 성격구조 일반 d) 현실적 유형
4. 정상적 인격과 비정상적 인격
I. 인간존재의 변이
a) 성격학적 기본 심적 상태의 변이 b) 정신력의 변이 c) 성찰적 성격
II. 병적 과정을 통한 인격 변화
a) 기질성 뇌의 병적 과정을 통한 중증 정신지체 b) 간질 환자의 정신지체 c) 정신분열병에 의한 정신지체
옮긴이 해제 옮긴이 후기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