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카를 야스퍼스
· ISBN : 9788957333501
· 쪽수 : 508쪽
· 출판일 : 2014-02-14
책 소개
목차
제1판 머리말 제2판과 제3판 머리말에서 제4판 머리말 제7판 머리말
제4부 정신생활 전체의 파악
제2장 인간의 종적 특성 형성(형상학)
a) 형상(形相)의 이념 b) 성, 체질, 종족 c) 형상학의 방법 d) 소견들의 수용
1. 성
생물학적·심리학적 언급
a) 성(性)이라는 근원현상 b) 성차(性差)의 생물학적 요인 c) 신체 및 심리상의 성차 d) 성욕 e) 성과 성적 이상에 대한 연구의 역사
성과 연관된 정신이상과 정신질환
a) 남녀 간에 상이한 정신질환의 빈도 b) 성의 연령적 단계와 생식 과정 c) 성욕 장애 d) 거세의 영향
2. 체질
a) 체질의 개념과 이념 b) 체질론의 역사 c) 인격과 정신병 d) 크레치머의 체질론 e) 크레치머의 체질 연구 비판 f) 콘라트에 의한 정신의학적 체질론의 새로운 형성 g) 체질론의 긍정적 가치에 대하여
3. 인종
제3장 인생의 경력(전기법)
a) 전기 자료 b) 전기에 의한 생의 파악 c) 생과 전기의 한계 d) 생의 이념에 의한 연구
1. 전기법의 여러 방법
a) 자료 수집, 정리, 서술 b) 사례 보고와 전기법 c) 현재적인 것으로부터의 출발 d) 생의 통일성 이념 e) 전기의 기본 범주 f) 정신과학적 전기법에 대한 언급 g) 정신병리학에서 거둔 전기적 업적 h) 병력 기재의 기술(技術)
2. 생물학적 사상(事象)으로서의 생(生)
a) 연령 b) 전형적 경과 계열
3. 생활사로서의 생(生)
a) 생활사의 기본 범주 b) 몇 가지 특수한 문제들 c) 정신병리학적 근본 문제: 인격의 발전인가 병적 과정인가?
제5부 사회와 역사에서 이상(異常) 정신
a) 유전과 전승 b) 공동사회 c) 사회적 병력에서 역사적 자료의 가공에 이르기까지 정신병리학의 확장 d) 사회학적·역사학적 인식의 의미 e) 방법
1. ‘병드는 것’에 대한 사회적 상황의 의의
a) 문명 환경의 인과적 영향 b) 개별 인간의 유형적 상황 c) 안녕(安寧)의 시대, 혁명, 전쟁의 시대 d) 재해신경증 e) 작업 f) 교육
2. 인구, 직업, 도시와 시골, 다른 집단에 대한 검사
3. 비사회적 태도와 반사회적 태도
a) 비사회적 태도 b) 반사회적 태도(범죄심리학)
4. 정신(영혼)의 정신병리학
a) 경험적 검사: 병적(病蹟).명상 수업 b) 일반적 문제 c) 정신병질과 종교
5. 역사적 관점
a) 문화와 역사적 상황을 통한 정신질환의 내용 규정 b) 히스테리의 역사 c) 집단심리학 d) 태곳적 정신상태 e) 다양한 문화권에서 나타나는 정신병리학적인 것 f) 현대 세계와 변질의 문제
제6부 인간존재의 전체
1. 정신병리학에 대한 회고
a) 필자의 정신병리학 구상에 대한 이의 b) 인간에 대한 우리 지식의 종합을 향한 요구 및 정신병리학상(像) c) 전체성에 대한 회고 및 전체에 대한 의문 d) 구체적 수수께끼에 대한 회고
2. 인간의 본질에 대한 질문
a) 철학적 근본 태도 b) 인간의 상(像) c) 포괄자, 우리 자신의 철학적 스케치 d) 인간의 불완전성 e) 이제까지 논술한 것의 요약
3. 정신의학과 철학
a) 과학의 본령 b) 정신병리학에서 과학의 방식들 c) 정신병리학에서의 철학 d) 철학적 근본 입장 e) 철학적 혼란 f) 인식의 옷을 입은 세계관 g) 실존철학과 정신병리학 h) 질병 상태의 형이상학적 해석
4. 건강과 질병의 개념
a) 질병 개념의 의문성 b) 가치 개념과 평균 개념 c) 신체의학에서의 질병 개념 d) 정신의학의 질병 개념
5. 임상의 의미
a) 어떻게 인식과 임상이 서로 속하는가 b) 모든 실무의 상호 의존성 c) 외적인 실제(법적 조처와 판단)와 내적인 실제(정신치료) d) 일반 의학적 치료 단계와의 연계 e) 인간에게 나타나는 저항의 종류, 정신치료를 위한 환자의 결심 f) 정신치료의 목표와 한계 g) 의사의 인격적 역할 h) 정신과 의사의 태도 유형 i) 심리학적 분위기의 유해성 j) 정신치료의 공적인 조직
부록
1. 환자의 검사에 대하여
2. 치료의 문제에 대하여
3. 예후
4. 과학으로서 정신병리학의 역사
옮긴이 해제 옮긴이 후기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