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조선상고사감

조선상고사감

(한국고대사를 비춰 보는 거울)

안재홍 (지은이), 김인희 (엮은이)
  |  
우리역사연구재단
2014-03-01
  |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31,500원 -10% 0원 1,750원 29,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조선상고사감

책 정보

· 제목 : 조선상고사감 (한국고대사를 비춰 보는 거울)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한국고대사 일반
· ISBN : 9791185614007
· 쪽수 : 704쪽

책 소개

우리 고대사에 널리 쓰였던 우리 말들의 원형과 그 속에 깃들인 고대사의 실상을 70종이 넘는 한국과 중국의 사서 및 고문헌들을 정밀히 분석하여 밝혀낸 항일투사이자 언론인 안재홍선생의 역저를 발간 67년만에 현대어로 풀어낸 책이다.

목차

<우리국학총서(國學叢書)>를 펴내며 _11
권두에 씀 _13
일러두기 _18

1장. 기자조선에 대한 고찰
- 기자조선의 존재에 대하여 _27

1. 조선은 ‘기’의 나라 _28
2. 언어민속을 통해 본 ‘기’ _30
3. 관직, 인물, 지명 등에 나타난 ‘기’ _32
1) 고문헌상의 ‘기’와 관련된 어휘 _32
2) 기산(箕山), 질산(質山), 후산(侯山) 등이 통용된 예 _33
3) ‘기’는 대인 또는 수장이라는 뜻 _35
4) 대인국(大人國)과 대인지시(大人之市)의 실상 _36
5) 차차웅(次次雄)과 자충(慈充)의 뜻 _39
6) 신라 문헌에 등장하는 ‘지(智)’와 공(公)의 의미 _41
7) 고구려, 백제의 관직명에 등장하는 수많은 ‘기’와 ‘치’ _44
4. ‘기’를 중심으로 본 사회발전사 요약 _49
- ‘기’로 표시되는 단계 과정 _49
5. 귀족, 재상으로서의 ‘기’ _52
1) 신라, 가야, 마한, 백제와 관련된 여러 문헌 _52
2) 마한의 신지(臣智) _58
6. 대공국(大公國)의 병립시대 _61
1) 구태(仇台), 근지(近支), 한기(韓岐), 신지(臣智)의 열국시대 _61
2) 크치조선(朝鮮)과 기자조선 _62
3) 큰지국(國)과 군자국(君子國) _64
4) 한기국(國)과 한후(韓侯), 한성(漢城) _67
5) 신지국(臣智國)과 진한(辰韓), 진국(辰國) _69
7. 고대 문헌상의 군공(群公), 제후 _71
- 고구려와 신라의 군공과 제후 _71
8. 대공조선(大公朝鮮)의 진상 _75
1) 크치조선의 문화 정비 - 기자조선과 뒤섞인 과정 _ 75
2) 크치의 활동과 지위의 상승 _ 78
- 부여, 고구려, 백제, 마한, 신라, 가야 등의 실례 _ 78
3) 한(韓)씨의 종족상의 의미 _ 82
9. 크치조선의 국가 상황 _ 84
- 주나라 말에서 한나라 초까지의 대공(大公)조선 _ 84
10. 부기(附記) - 대체로 같은 법속(法俗) _ 88

2장. 아사달과 백악, 평양, 부여에 대하여
- 원생지(原生地)를 중심으로 발전된 고대 사회 _ 91
1. 백악, 평양, 부여와 아사달의 상호 관계 _ 92
1) 아사달의 뜻과 백악과의 관계 _ 94
2) 아사달의 다른 이름 평양성 _ 98
2. 복지(腹地)와 잉양(孕壤)으로서의 백악과 _ 100
아사달의 관계 _ 100
1) ‘?아(백악)’와 관련된 문헌 자료와 원래 의미 _ 100
2) 아사달과 관련된 여러 문헌과 참모습 _ 110
3. 하늘과 땅, 인간과 신이 합일된 고대 문화 _ 115
1) 태양, 태악(太岳), 두뇌 및 자생신(?生神) _ 115
2) ‘?’, ‘?’, ‘?’와 원생지 _ 118
4. 종족이 탄생하고 모여서 국가를 이룬 인류 문화 _ 122
1) 부여는 종족이란 뜻 _ 122
2) 모계시대 이후의 사회 단계 _ 123
5. 인류 문화사에 나타나는 하나의 전형 _ 126
1) 두산(頭山)과 복지(腹地)는 연관적 존재 _ 126
2) 아시리아(Assyria)와의 비교 _ 127
6. 결론 _ 129
7. 부기(附記) - 단(檀)과 단(壇), 두 글자의 구분 _ 131

3장. 고구려 건국 상황에 대한 고찰 _ 135
1. 오부(五部) 조직의 문화적 의미 _ 135
2. 곤연, 웅심산, 우발수 등의 의미와 위치 _137
3. 새로운 신황(神皇)인 동명제(東明帝) _141
- 그 밖의 인명과 지명의 뜻과 배경 _141
4. 오부(五部)의 의미와 고구려 국명의 기원 _149
5. 건국 과정 및 국가 발전 상황 _152
1) ‘?어’로 일관된 네 개의 도읍과 3경 _153
2) 부여 문화의 집성자 _154
3) 단군이란 명칭의 계승자 _156
4) 부여국과 단군 호칭의 존속 _157
5) 구려국(句麗國)의 유래 및 고구려의 발흥 _157
6) 부족연합의 편린과 그 여파 _159
7) 제가(諸加)회의를 통하여 결정하는 법속 _161
8) 농목사회의 문화 요소 _164

4장. 고구려 관직에 대한 고찰 _167
1. 고구려사와 그 관직에 대한 고찰 _168
2. 여러 문헌에 나타난 관직 _168
1) 부여공(夫餘公)인 패자(沛者: ?치)는 국사를 총괄하는 높은 관직 _169
2) 최고의 대공(大公)인 고추가 _174
3) 태대경(太大卿)과 대경(大卿)은 ‘신크치’와 ‘크치’ _176
4) 상경(上卿), 상서(尙書)로서의 우치 _177
5) 진무(鎭撫)도독인 살치(어사대부) _179
6) 교화를 담당한 조의두대형(?衣頭大兄) _183
3. 오관(五官)의 주요 업무 _185
4. 오관과 정부 구성 _187
5. 오관 이하의 여러 관직 _188
6. 결론 - 기, 지, 치로 표현된 십이관등(十二官等) _190

5장. 신라 건국 상황에 대한 고찰
- 육훼평에 대한 논의를 겸하여 _192
1. 신라의 기원과 의미 _193
1) 《삼국지》 편자가 전하는 내용 _197
2. 신라의 건국 상황 _ 198
1) 혁거세왕과 고대 사회의 신정(神政) _ 199
2) 해척아기와 성모시대 _ 201
3) 촌락정치에서 도시연합국가로 _ 204
4) 혁거세와 천지인(天地人) 삼황(三皇) _ 207
5) 소벌공과 서술신모 _ 211
6) 계림과 그 의미 _ 216
7) 육부연합의 형태 _ 218
8) 육부연합과 종교적 요소 _ 221
3. 결론 - 진방(震方) 역사의 전체적인 체계 _ 223

6장. 신라 관직에 대한 고찰
- 관직을 통해 본 사회사의 한 측면 _ 228
1. 신라의 전반적인 국가 상황 _ 228
- ‘?의뉘’로부터 ‘닛검’의 출현까지 _ 228
2. 독자적 특징을 보인 신라의 관직명과 관직 _ 232
1) 이벌찬과 승부대경(乘府大卿) _ 232
2) 이척간과 승정장관(承政長官) _ 234
3) 호위무사의 우두머리인 잡찬(?飡) _ 241
4) 농경을 관리한 파진찬 _ 242
5) 이부(吏部)의 우두머리인 대아찬 _ 244
6) 예부(禮部)의 우두머리 일길찬 _ 245
7) 대사자(大使者)의 역할을 한 살찬 _ 247
8) 제후를 통치하는 급벌찬 _ 248
9) 지(智) 또는 지(支)로 표현된 하급 관리 명칭 _ 249
3. 결론 _ 250

7장. 삼한국(三韓國)과 그 법속에 대한 고찰 _ 252
1. 한(韓)과 그에 대한 총체적인 설명 _ 253
2. 삼한 습속의 전체적인 모습 _ 255
3. 세 명의 간(干)이 공동으로 통치하는 법속 _ 262
4. 마한, 진한, 변한의 명칭의 의미와 기원 _ 267
1) 삼한(三韓)과 오가(五加)의 의미 _267
2) 종주국인 마한 _274
3) 진한의 의미 _278
4) 가라열국은 변한 _281
5) 변한과 불례(不例), 구야(拘邪) _284
5. 삼한의 상호 관계 _287
6. 삼한 관련 기록의 새로운 해석 _295
7. 마한 진왕을 우대하여 부르는 법속 _300
8. 삼한국과 사회 형태 _304
9. 삼한을 통해 본 진역(震域)의 고대 제도 _307
10. 부기 - 아시리아와 비교 _312

8장. 육가라국(六加羅國)에 대한 고찰 _316
1. 가라의 어원 _316
2. 가라의 건국과 전후 상황 - 금관국의 참모습 _320
3. 여섯 가라의 위치와 지리적 특징 _322
1) 큰지한이 다스리는 나라 _322
2) 아시량(阿尸良)과 아라가라(阿羅加羅) _323
3) 대가야의 발흥 _325
4) 성산(星山)가야 _325
5) 곡지(谷地)가라 _326
6) 고성반도의 소가라(小加羅) _327
4. 가라연맹의 흥망에 대한 개관 _328
5. 대가라의 국가 상황 개관 _329
1) 읍차국(邑借國)의 발전 순서 _329
2) 정견모주와 법우화상 _330
3) 국제혼 기록 _331
6. 가라인의 해외 이동 _332
7. 가야금과 악사 우륵 _334
8. 결론 - 남쪽으로 이동과 그 흥망의 자취 _336

9장. 부여조선에 대한 고찰
- 부여조선의 역사적 규명 _ 338
1. 부여의 역사적 위치 _ 339
2. 부여국과 고숙신성(古肅愼城) _ 342
1) 부여국과 종족 분파 _ 346
2) 숙신과 조선이란 단어의 의미 검토 _ 349
3. 부여조선과 관련 문헌 _ 351
4. 단군조선과 관련 문헌 _ 356
1) 단군은 천왕이다 _ 356
2) 단군은 신왕(神王)이며 명왕(明王) _ 360
5. 단군조선의 사회사적 의미 _ 363
6. 큰 임금으로서의 왕검과 관련 문헌 _ 368
7. 부여국의 사회 형태 - 관직 제도를 중심으로 _ 376
8. 위구태, 해부루와 단군이라는 호칭 _ 388
9. 기자가 단군을 대신하였다는 설에 대한 논증 _ 396
10. 결론 - 단군의 다양한 모습 _ 400

10장. ?, ?, ?어 원칙과 순환 공식 _ 408
1. ‘뷔’의 철학적 이치와 태백(太白)의 진정한 도(道) _ 409
2. 일리만상(一理萬相)의 원칙 _ 412
1) 신앙과 관련된 어휘상의 공식 _ 412
2) 국명, 종족명에 나타난 공식 _ 414
3) 산악, 하천 어휘에 나타나는 공식 _ 419
4) 관직명에 나타난 원칙 _ 423
5) 옛 지명에 나타난 원칙 _ 424
6) 기타 문헌에 나타난 원칙 _ 432

11장. 고구려와 평양에 대한 고찰 _ 436
1. 고구려와 평양의 관련성 _ 438
2. 졸본부여는 첫 번째 평양 _ 440
3. 비류부와 위나평양(尉那平壤) _445
1) 비류부는 중앙부이다 _446
2) 강가의 수도인 위나평양(尉那平壤) _449
4. 위나평양에 대한 여러 가지 설 _454
5. 위나평양과 환도성 _459
1) 환도의 의미와 천도 이유 _461
2) 진수(陳壽)의 <위지>의 허구성 _463
6. 위나평양과 관련 문헌 자료 _468
7. 평양과 동황성(東黃城), 황성(皇城) _475
8. 환도, 평양, 황성(皇城)으로 이름이 변한 이유 _483
9. 고국원왕과 하평양(下平壤) _489
10. 장수왕의 서경평양 _500
11. 결론 - 고구려 천도 약사 _508
12. 부기 _513

12장. 백제사에 대한 총체적 고찰 _515
1. 서론 _515
2. 백제의 의미와 건국 _516
1) 백제도 부여국 _517
2) 백제는 백악군(白岳君) _519
3) 백잔국(百殘國)과 과잔국(科殘國) _520
4) 백제평양(百濟平壤)과 변한 _523
5) 부아악과 백제산 _526
6) 온조명왕(溫祚明王)과 위례성 _529
7) 위례성과 어라하(於羅瑕) _532
3. 백제 왕실의 혈통 _535
1) 백제왕실은 동명왕의 후손 _535
2) 소서노 왕후와 연타발왕 _538
4. 역대 수도 및 오방성 _542
1) 위례성과 고사부리 _547
2) 웅진 사비와 오방성(五方城) _552
5. 주류성과 우금암산성(禹金巖山城) _ 568
1) 주류성과 변산성(邊山城) _ 568
2) 우금암(禹金巖)과 우금바위 _ 570
6. 백강, 웅진강, 기벌포 _ 572
1) 탄현과 백제와 신라의 중요한 길 _ 575
2) 백강과 기벌포 _ 578
3) 웅진 입구와 백강 입구 _ 582
7. 거발성과 계화현(界火縣) _ 590
8. 백강구 전쟁에 대한 평가 _ 593
9. 담로(?魯)와 담모라담모(聃牟羅聃牟) _ 598
10. 제도와 법속 _ 601
11. 요서와 진평(晋平)에 백제가 있었다는 근거 _ 605

13장. 조선의 고대 지리문화에 대한 고찰 _ 614
1. 지명 기원의 문화적 가치 _ 615
2. 성(城), 현(峴), 산(山), 암(巖)이 호용된 예 _ 619
3. 산(山), 수(水), 월(月), 평(平) 등이 호용된 예 _ 624
4. 양(楊), 안(安), 벽(碧), 백(白), 풍(豊), 술(述) 등이 _ 630
호용된 예 _ 630
5. 장(長), 상(上), 왕(王), 대(大), 고(高)가 호용된 예 _ 642
6. 부루(夫婁), 불(不), 비류(沸流), 비(比), 비(非) 등이 _ 647
호용된 예 _ 647
7. 아사달(阿斯達) 이래의 지명문화 _ 658
8. 지명이 변한 이유 _ 665

역자 후기 _ 678
《조선상고사감》에 자주 인용된 문헌들 _ 688
민세연보 _ 689
찾아보기 _ 691

저자소개

안재홍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립운동가, 국학자, 민족사학자, 언론인, 정치인. 본관은 순흥(順興). 호는 민세(民世). 1891년 경기도 평택에서 출생하였고, 1907년 서울 황성기독청년회 중학부에 입학하였으며, 1910년 일본 동경의 청산학원에 입학하였다. 1913년 상해, 북경 등 중국을 여행하였고, 신규식 선생 주도하의 독립혁명단체인 동제사(同濟社)에 가입하였으며, 1914년 일본 조도전(早稻田)대학 정경학부를 졸업하였다. 1917년 민족종교이자 당시 독립지사들의 구심점이었던 나철 선생의 대종교(大倧敎)에 입교(入敎)하였으며, 1919년 11월 비밀항일결사인 청년외교단 활동으로 일경에 검거되었다. 이후 1943년까지 독립운동으로 9차례 투옥되며, 도합 7년 3개월의 옥고를 치르었다. 1924년 <조선일보> 주필 겸 이사로 입사하였고, 이후 발행인, 편집인, 사장 등을 역임하였다. 1927년 신간회 총무로 선임 1930년 백두산에 오르고 <백두산등척기>를 <조선일보>에 연재하였으며, 여순 감옥에 수감 중이던 단재 신채호의 한국사론을 <조선일보>에 연재시켰다. 또한 1934년 단군 유적지인 구월산을 답사한 후 <구월산등람지>를 <조선일보>에 연재하였다. 위당 정인보와 함께 다산 정약용의 《여유당전서》를 4년 여에 걸쳐 교열·간행하였다. 1946년 1월 상해임시정부 주도하의 ‘비상국민회의’ 주비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1947년 2월 미군정 민정장관에 취임하였다. 1950년 5월 제2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고, 같은 해 9월 인민군에 의해 납북되어 1965년 평양에서 별세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선생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1989년 대한민국건국공로훈장 대통령장을 수여하였다. 저서로는 《백두산등척기》(1931), 《조선상고사감》(1947~1948), 《신민족주의와 신민주주의》(1945), 《한민족의 기본진로》(1949), 《민세안재홍선집》(1981) 등이 있다.
펼치기
김인희 (엮은이)    정보 더보기
동북아역사재단 한중관계사연구소 소장 『또 하나의 전쟁, 문화전쟁』(청아출판사, 2021), 『중국 애국주의 홍위병, 분노청년』(푸른역사, 2021), 『치우, 오래된 역사병』(푸른역사, 2017), 『1,300년 디아스포라, 고구려유민』(푸른역사, 2010), 『소호씨 이야기-산둥 다원커우 동이족의 탐색과 발견』(물레, 2009) 등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