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마르크스를 읽자

마르크스를 읽자

미카엘 뢰비, 엠마뉘엘 르노, 제라르 뒤메닐 (지은이), 김덕민, 배세진, 황재민 (옮긴이)
나름북스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마르크스를 읽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마르크스를 읽자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마르크스주의 > 마르크스주의 일반
· ISBN : 9791186036570
· 쪽수 : 456쪽
· 출판일 : 2020-09-17

책 소개

정치, 철학, 경제 세 영역을 중심으로 마르크스 원전의 핵심 부분을 발췌하고, 전문가 3인이 해설하는 마르크스 입문서다. 미카엘 뢰비, 에마뉘엘 르노, 제라르 뒤메닐 등 프랑스를 대표하는 세계적인 마르크스주의 연구자들이 마르크스 원전을 토대로 그의 사상을 소개한다.

목차

서문 _ 8
원전 약어 _ 14

제1부 정치

Ⅰ. 헤겔 좌파에서 공산주의로 _ 22
목재 절도에 관한 법률(1842)
헤겔 국법론 비판(1843)
헤겔 법철학 비판 서문(1844)
「프러시아 왕과 사회 개혁」에 대한 비판적 평주(1844)

Ⅱ. 프롤레타리아 혁명 _ 53
독일 이데올로기(1846)
공산주의자 선언(1848)
공산주의자동맹에 보내는 1850년 3월의 회람문

Ⅲ. 1848년 혁명에 대한 분석 _ 85
프랑스에서의 계급투쟁(1848-1850)
루이 보나파르트의 브뤼메르 18일(1852)
인민일보 창간 4주년 기념 축하회 연설(1856)

Ⅳ. 인터내셔널, 국가 그리고 러시아 코뮌 _ 109
국제노동자연합의 발기문과 임시 규약(1864)
『자본』 1권 7편, “본원적 축적”(1867)
프랑스 내전(1871)
고타강령 비판(1875)
독일 사회민주당 지도자들에게 보내는 회람문(1879)
베라 자술리치에게 보내는 편지(와 이 편지의 몇몇 초안)(1881)

제2부 철학

I. 종교·정치·철학 비판 _ 173
『독불연보』

비판철학
인민의 아편
정치 비판에서 인권 비판으로
철학의 실현과 지양

II. 소외된 노동과 실천철학 _ 213
『경제학-철학 수고』와 「포이어바흐에 관한 테제」

소외된 노동
완성된 자연주의로서 인간주의
관념론, 유물론, 실천

III. 이데올로기 비판과 철학으로부터의 탈피 _ 258
『독일 이데올로기』

유물론적 역사관
이데올로기의 불모성
철학으로부터의 탈피에서 정치경제학 비판으로

제3부 경제

Ⅰ. 계획과 방법 _ 314
역사의 과정
이론의 궤적들: 사고의 구체
『자본』: 그 저작과 개념

Ⅱ. 상품, 화폐, 자본 _ 347
상품, 가치, 화폐, 그리고 가격
잉여가치 또는 초과 가치, 그리고 그 분할과 확장
자본의 유통
대부자본과 현대자본주의 제도

Ⅲ. 경쟁, 기술, 분배, 금융 _ 395
자본주의적 경쟁
축적, 기술 변화와 분배의 경향들
위기
금융 메커니즘들

옮긴이 후기 _ 444
더 읽을거리 _ 453

저자소개

제라르 뒤메닐 (지은이)    정보 더보기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 주임연구원을 역임하였다. 도미니크 레비와 함께 《신자유주의 위기》, 《거대한 분기》 등의 저서를 집필하였으며 이외에 여러 학자들과 저술 활동을 펼쳤다. 마르크스 경제학에 기초한 여러 논문을 발표하였다. 뒤메닐과 레비의 홈페이지 www.cepremap.fr/membres/dlevy
펼치기
미카엘 뢰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브라질 출신의 프랑스 사회학자, 철학자, 맑스주의 이론가. 해방 신학, 비판 이론, 생태사회주의, 트로츠키주의의 지적 전통에서 활동해온 세계적인 석학이다.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CNRS)의 명예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사회주의와 종교 간의 대화, 특히 라틴아메리카의 해방신학과 맑스주의를 탐색해왔으며, 생태사회주의라는 개념의 초기 이론가 중 한 명으로 꼽힌다. 주요 저서로는 『The War of Gods: Religion and Politics in Latin America』(1996), 『Walter Benjamin: A Marxist Reading』(2001) 등이 있다.
펼치기
미카엘 뢰비의 다른 책 >
엠마뉘엘 르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파리낭테르대학교 철학과 교수. 프랑스의 저명한 마르크스주의 철학자로, 마르크스주의 학술지 『악튀엘 마르크스(Actuel Marx)』의 편집 주간을 맡은 바 있다. 최근엔 마르크스주의 전통과 실용주의 전통의 수렴 조건을 탐색하기도 했다. 주요 저서로 『사회적 고통(Souffrances sociales)』, 『인정, 갈등, 지배(Reconnaissance, conflit, domination)』 등이 있고, 국역서로는 『마르크스의 용어들』, 『마르크스주의 100단어』가 있다.
펼치기
김덕민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상국립대학교 경제학부 조교수. 제라르 뒤메닐과 도미니크 레비의 《거대한 분기》, 《신자유주의의 위기》, 《현대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을 번역하였고 《마르크스를 읽자》, 《대안마르크스주의》, 《아담의 오류》 등을 번역하였다. 대표 논문으로 〈The Stochastic Model of Technical Change and Profit Rates: Korean Economy〉(Review of Radical Political Economics, 2023)가 있다.
펼치기
김덕민의 다른 책 >
배세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정치철학자, 문화연구자. 프랑스 파리-시테대학교에서 <푸코-마르크스주의와 화폐: 노동-가치, 물신숭배, 권력관계 그리고 주체화>라는 논문으로 정치철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금붕어의 철학》을 썼으며, 루이 알튀세르의 《무엇을 할 것인가?》, 《검은 소》, 《역사에 관한 글들》(공역), 에티엔 발리바르의 《마르크스의 철학》, 《역사유물론 연구》, 《개념의 정념들》, 루이 알튀세르와 에티엔 발리바르 등의 《“자본”을 읽자》(공역), 제라르 뒤메닐·에마뉘엘 르노·미카엘 뢰비의 《마르크스주의 100단어》와 《마르크스를 읽자》(공역), 자크 비데의 《마르크스의 생명정치학》과 《마르크스와 함께 푸코를》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펼치기
황재민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대 철학과 박사수료. 푸코-알튀세르의 주체화 양식 연구로 박사논문 준비 중. 역서로 『루소 강의』, 『마르크스를 읽자』(공역), 『푸코, 권력의 탄생』(근간), 『재생산에 대하여』(근간) 등.
펼치기

책속에서

우리는 바로 이러한 맥락에서 마르크스가 제안했던 해결책, 즉 “진정한 민주주의”의 의미를 사고해야 한다. 마르크스의 논의에서 이 해결책은 부르주아적이고 공화주의적인 민주주의에 관한 것이 아니라, 정치 국가의 소외된 형태와 “사유화된” 시민사회의 형태 모두에 대한 동시적인 지양(depassement)을 함의하는 근본적이고 급진적인 변혁에 관한 것이다. 민주주의라는 개념은 인민─데모스(demos)─의 주권과 관련될 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 보편적인 것과 개별적인 것 사이를 분리하는 이러한 분리의 존재를 폐지하는 것과 관련된다.


이는 『공산주의자 선언』을 집필했던 150여 년 전보다 “세계화”의 시대인 오늘날 훨씬 더 현실에 부합하는 분석인 것이다. 정말이지 자본은 21세기 초인 오늘날처럼 세계 전체에 대한 그토록 완벽하고 절대적이고 온전하고 보편적이며 무제한적인 권력을 성공적으로 행사했던 적이 없다. 과거에 자본은 현재와 같이 자신의 규칙, 정치, 도그마, 이해관계를 세계 전체의 모든 민족에 강제할 수 있었던 적이 없었다. 결국, 어떠한 시기에서도, 인간 삶의 모든 영역─사회적 관계, 문화, 예술, 정치, 섹슈얼리티, 건강, 교육, 스포츠, 오락─이 오늘날만큼 자본에 예속된 적이 없었으며 “이기적 타산이라는 얼음처럼 차가운 물” 속에 이토록 깊이 빠져 버린 적이 없었다.


『자본』의 저자는 협동조합에 반대하지는 않았지만, 그가 난외 주석에서 강조하듯, “협동조합은 이 협동조합이 독립적이라는 조건에서만, 그리고 이것이 정부에 의해서도 부르주아지에 의해서도 보호[간섭]받지 않는 노동자들의 창조물이라는 조건에서만 가치를 지닌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