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법과 생활 > 법률이야기/법조인이야기
· ISBN : 9791186502549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16-05-31
책 소개
목차
지혜와 경험과 법이 하나다 /주원준
1. 들어가며
2. 고대 법의 성격
3. 법 보다 지혜를 중시한 고대 이집트
4. 법의 고향 고대 메소포타미아
5. 시리아-필리스티아와 아나톨리아
6. 고대 근동법의 독특성과 그를 이해하기 위해서
7. 나가며
유대교의 법 전통 /윤성덕
1. 들어가며
2. 왕정 시대 법 전통
3. 제 2 성전 시대 법 전통
4. 랍비유대교 시대(기원후 70-600년)
5. 중세
6. 현대
7. 결론
범죄처벌로 인한 죽음과 절도죄 /김종도
1. 들어가는 말
2. 경전과 법전
3. 코란과 고대 근동 법: 사형과 절도를 중심으로
코란에 나타난 샤리아 규범 /임병필
1. 머리글
2. 가정생활을 위한 명령(의무)
3. 맺음말
예언자를 따라서 /박현도
1. 들어가며
2. 하디스의 의미와 분류
3. 하디스의 형식
4. 올바른 하디스를 찾아서
5. 하디스의 내용
6. 하디스 전승집
7. 나가면서: 하디스의 중요성
이슬람 국가와 법 /정상률
1. 이슬람 국가란?
2. 이슬람 정치사상가들의 이슬람 국가론
3. 이슬람 국가 사례: 사우디아라비아
4. 이슬람 국가, 이상적인 공동체인가?
저자소개
책속에서
고대 근동의 역사는 3천 년이나 되는 긴 세월 동안 비교적 광대한 곳에서 벌어진 역사이므로, 지금까지 나열한 개별 법전의 지역적, 시대적, 언어적 독특성 또한 크다는 사실이다. 우리 눈에는 이 모든 법들이 ‘고대 근동 세계의 법’으로 인식될지 모르지만, 이 법전들 사이의 상이성 또한 클 것이다. 그러므로 각 법전마다 고유한 시대적, 정치적, 신학적, 언어적 배경으로 ‘고유한 법철학’을 제시한다는 점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
유대교의 법 전통은 변화무쌍한 역사의 굽이를 돌며 이스라엘의 하나님하나님과 유대인유대인들이 어떤 방식으로 관계를 맺어야 할지를 고민한 결과라고 말할 수 있다. 왕정 시대에는 특별한 고민 없이 성전과 제사를 중심으로 한 제의적 종교 전통을 유지하였고, 나라를 운영하는 원리가 되는 법 전통과 사법 체제를 통해 통치하였다. 제 2 성전 시대가 되면 나라를 잃은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배타적인 종교와 법 전통을 운영하였으나, 너무 오랫동안 다른 나라의 지배를 받으면서 타 문화의 영향을 받기도 하였다.
이슬람 신앙 전통에서 하디스가 차지하는 권위는 확고하고 중요하다. 이를 무시한다는 것은 곧 이슬람 신앙을 파괴하는 것이다. 하디스 없이 코란코란을 올바르게 이해하기는 불가능하다. 반복, 생략, 암시가 잦기에 코란 계시는 하디스의 도움 없이 문맥을 파악하기 어렵다. 문맥 없는 코란에 문맥을 제공하기에 하디스 없는 코란은 굳게 닫혀 좀처럼 이해하기 어려운 계시서가 될 것이다. 지난 1400년 동안 무슬림무슬림이 지켜 온 유일신 신앙의 삶을 지탱해 온 것은 코란과 함께 하디스이니, 고전 중의 고전으로 평가해도 손색이 없다. 이슬람 학문의 꽃인 이슬람법이슬람법 이해는 바로 코란과 함께 하디스에서 시작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