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3·1운동 정신과 코로나 극복

3·1운동 정신과 코로나 극복

(코로나 시대 한국교회의 역할)

라영환, 임희국, 안명준, 이은선, 박홍규, 김요섭, 권순웅 (지은이)
들음과봄
14,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050원 -10% 2,500원
720원
14,830원 >
13,050원 -10% 2,500원
카드할인 10%
1,305원
14,245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3·1운동 정신과 코로나 극복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3·1운동 정신과 코로나 극복 (코로나 시대 한국교회의 역할)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교회 > 교회일반
· ISBN : 9791186692578
· 쪽수 : 228쪽
· 출판일 : 2020-11-28

책 소개

역사적으로 전염병이 창궐하였을 때 수많은 그리스도들은 자신의 삶을 헌신하여 그리스도의 사랑을 나타냈다. 지금 한국교회는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과 함께 세상 속에서 지탄을 받고 있다. 오늘날 한국교회가 놓치고 있는 것은 무엇인지 3·1운동의 정신을 통해 살펴본다.

목차

추천사
서문

3·1운동, 한국교회 그리고 대의명분 _ 라영환(총신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코로나19 재난을 극복하기 위한 3·1운동 정신 _임희국(장로신학대학교 명예교수)
칼빈의 관점에서 본 역병과 한국교회의 3·1운동을 통한 고난 극복 _ 안명준(평택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3·1운동과 성경적 민족주의 _ 김요섭(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역사신학 교수)
초기 한국교회의 전염병 위기에 대한 대처 _ 이은선(안양대학교 교회사 교수)
신앙의 자유와 전염병 _ 박홍규(전 침신대, 웨신대 조직신학 교수)
화성시 3·1운동 정신과 코로나 극복을 위한 기독교단체 활동 _ 권순웅(주다산교회 담임목사)

저자소개

라영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교수 | 총신대학교 총신대학교에서 조직신학을 가르치며 후학양성을 위해 힘쓰고 지속적인 연구로 학술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현재 한국기독교미술인협회 이론분과 위원장을 역임하며 기독교미술 문화의 발전과 기독교인으로서 문화적 소명을 성취해 나가도록 이끌어가고 있다. 저서로는 『모네, 일상을 기적으로』, 『반 고흐의 예술과 영성: 반 고흐 꿈을 그리다』, 『개혁주의 조직신학개론』 등이 있다.
펼치기
권순웅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남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기업체 마케팅 전문가로 연구 활동 총신신학대학원 입학 및 원우회장 대학원에서 NSM(New Spark Movement)을 시작하여 지금까지 대표로 섬김 새술교회 개척 주다산교회 개명 후 세 번 건축 미국 그레이스 신학교 선교학 박사 취득 현 총신 신학대학원 초빙교수 현 주다산교회 담임목사 대한예수교장로회 제107회기 (합동)총회장 저서 〈예수 SPARK CELL 리더십 이야기〉, 〈리더여, 스파크가 되라〉 외 다수
펼치기
임희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장로회신학대학교 명예교수. 스위스 바젤대학교 신학대학에서 블룸하르트 Chr. Blumhardt 연구로 박사학위 수여. 세계화 시대 포스트모더니즘의 흐름 속에서 한국 영남지역 개신교(장로교회) 역사 local history 연구를 그 현장에서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미시사 micro history와 구술사 oral history 연구 방법을 교회사 서술에 적용했다. 저서로는 『선비 목사 이원영』 (수정증보판, 2013), 『한국 장로교회 130년. 기다림과 서두름의 역사』(2013), 『공감, 교회 역사 공부. 아래로부터의 역사인식, 미시사, 지역교회사』(2014), 『강원도 장로교회 강원동노회 60년. 생명의 땅 새 창조를 향하여』(2014), 『경안노회 100년. 경북 북부지역 장로교회사』(2022)가 있다.
펼치기
안명준 (엮은이)    정보 더보기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를 졸업 후, 미국 리폼드신학교(Th.M.), 웨 스트민스터신학교(Th.M.)와 남아공 프리토리아대학교에서 칼 빈의 해석학에 관한 연구로 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한국복 음주의 조직신학회 회장, 조직신학연구 편집위원장, 칼빈탄생 500주년기념사업회 실행위원장, 한국개혁신학회 부회장을 역 임하였고 현재 평택대학교 피어선신학대학원의 조직신학 교수 이자 한국장로교신학회 회장으로 신학자들과 한국교회를 위한 책들을 편찬하고 있다.
펼치기
이은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역사교육학과 신학을 전공하고 총신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안양대학교에서 교회사 교수로 가르치고 있다. 안양대 인문한국플러스 사업단 단장을 맡고 있으며, 한국개혁신학회 회장으로 섬기고 있다.
펼치기
박홍규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과를 졸업했으며, 침례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목회학 석사를 취득했다. 미국 뉴올리언즈 침례신학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과정으로 공부했으며, 영국 애버딘 대학교에서 “Grace and Nature in the Theology of JohnGill(1696-1771)”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Ph.D)를 취득했다. 역서로는 윌리엄 퍼킨스 『사도신경강해』, 『주기도문강해』, 존 오웬 『성령이 도우시는 기도』, 『개혁주의 기독론』, 『죄 용서: 시편 130편 강해』, 마이클 호튼 『천국가는 순례자를 위한 조직신학』 등이 있다.
펼치기
김요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철학을 전공했으며 총신대학교에서 목회학 석사 과정을 마친 후 미국 예일대학교와 영국 에딘버러대학에서 신학석사를, 캠브리지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종교개혁사와 칼빈의 신학을 강의하고 있으며 바른 회복으로서의 교회개혁에 대한 연구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한국교회가 직면한 가장 커다란 문제 가운데 하나는 신앙의 개인주의화이다. 공동체성을 회복하여야 한다. 2, 3세기 기독교가 로마제국 내 다른 어떤 체계보다 힘을 발휘할 수 있었던 것은 강력한 공동체성 때문이었다. 이승훈이 출옥 후 오산학교와 교회를 중심으로 마을 공동체를 만든 것도 공동체성의 회복이 시대적 문제에 대한 대안임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교회의 사회봉사(Diakonie)는 교회의 본질에 속한다. 한국교회의 역사 가운데, 19세기 말부터 1960년대 중반까지는 교회가 민족의 정치적 독립, 경제적 자립, 인재양성의 학교 교육, 기독교 문화 개발 등에 힘썼고 사회발전에 기여했다.


칼빈이 역병을 통하여 우리에게 준 교훈은 창조주 하나님 앞에서 인간의 회개와 겸손을 강조했으며 역사 속에서 사는 성도들에게는 하늘의 영원한 소망을 가지고 현실 속에서 헌신과 사랑과 돌봄을 통하여 하나님의 뜻을 이루어 가는 모습을 보여준 것이다. 칼빈의 모습은 오늘날 신종 코로나19가 온 세상으로 퍼진 상황 속에서 그리스도인들이 하나님에 대한 경외심과 세상에 대한 진정한 사랑과 책임 그리고 하나님의 뜻을 따르는 지혜를 가르쳐 준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