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북한학의 새로운 시각

북한학의 새로운 시각

(열 가지 질문과 대답)

신석호, 이승열, 김보미, 김소영, 박천조, 원세일, 김성주, 이제훈, 박유현, 도지인 (지은이)
역사인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22,5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250원
20,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북한학의 새로운 시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북한학의 새로운 시각 (열 가지 질문과 대답)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북한학 일반
· ISBN : 9791186828090
· 쪽수 : 418쪽
· 출판일 : 2018-03-09

책 소개

2017년을 시작하면서 북한 정치 경제 군사안보 등 제반 분야에 대한 심층 연구를 통해 북한 체제의 과거와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전망하는 유의미한 분석들을 제시하려는 목적으로 기획되었다. 한국과 미국에 새 정부가 출범한 2017년 국내외 정세 변화 흐름에 맞춰 북한에 대한 정책적 함의도 제시하겠다는 목적도 세웠다.

목차

책을 펴내며

제1부 현안에 대한 질문들
1. 사회주의 국가의 경제위기와 대응: 북한과 쿠바 사례 비교_신석호
2. 김정은 시대 북한 권력엘리트 변화의 정치적 함의-‘엘리트의 정책선택’을 중심으로-_이승열
3. 김정은 정권의 핵무력 고도화의 원인과 한계: 북한의 수직적 핵확산과 정권안보_김보미
4. 경제위기 이후 북한 협동농장의 자금・자재 조달 실태_김소영
5. 개성공단을 통해 본 남북 협력공간에서의 노사관계 협의구조 연구_박천조

제2부 역사에 대한 질문들
1. 1970년대 북한 수령제의 공식적 구조와 현실적 구조_원세일
2. 북한군 ‘당위원회’의 발전과정과 정치적 역할_김성주
3. 남과 북: 두 개의 주권국가와 통일지향 특수관계의 길항_이제훈
4. 북한의 민주개혁과 탈식민적 조세제도의 형성, 1945~1949_박유현
5. 사회주의 동맹국간의 이데올로기의 몰락: 미국의 위협에 대한 북한과 중국의 갈등, 1965~1966_도지인

저자소개

신석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_ 동아일보 디지털뉴스팀장 겸 동아닷컴 미디어콘텐츠본부장 _ 동아일보 부설 화정평화재단·21세기평화연구소 연구위원 _ 북한학 박사(경제.IT 전공) 북한과 남북관계, 한반도 안보 문제를 탐구하는 24년차 기자. 신문기자로는 처음으로 북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0년 금강산을 시작으로 2008년 개성공단까지 모두 아홉 차례 북한 현지를 방문해 취재했다. 일곱 차례 평양을 방문하며 백두산과 묘향산, 남포 등 북한 이곳저곳을 탐방했다. 동아일보의 종합편성TV인 채널A 개국멤버인 신방겸영 기자이다. 1970년 서울에서 태어나 1993년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1996년 동 대학원 석사과정(국제정치 전공)을 수료했다. 1995년 동아일보에 입사해 사회부 신동아팀 경제부 경영전략실 정치부, 채널A 정치부 차장, 동아일보 워싱턴 특파원(2013~2015), 국제부 차장과 부장 등을 거쳤다. 2002년 북한 공부를 시작해 2004년 경남대 북한대학원에서 ‘북한의 경제개혁에 관한 연구: 7·1경제관리 개선조치와 종합시장을 중심으로’라는 논문으로 석사학위를, 2008년 북한대학원대학교에서 ‘북한과 쿠바의 경제위기와 개혁’이라는 논문으로 북한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2007년과 2015년 쿠바 현지에 다녀왔다.
펼치기
이승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회입법조사처 외교안보팀 입법조사관으로 재직하고 있다. 북한대학원대학교에서 북한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이화여대 통일학연구원 객원연구위원, 스웨덴 ISDP(Institute for Security and Development Policy) 객원연구원을 역임했다. 북한 후계체제 연구를 시작으로 체제변화에 대한 연구로 나아가도 있다. 주요 논문은 “Changes in North Korea’s Military and Security Policies and Implications of the Kim Jong Un Era”, “Political Transition in North Korea in the Kim Jong-un Era: Elites’ Policy Choices” 외 다수의 국회입법조사처 보고서가 있다.
펼치기
김보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시간대 정치학과 졸업 뉴욕대 정치학 석사 북한대학원대 북한학 박사 현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연구위원서강대 공공정책대학원 대우교수합동참모본부 정책자문위원통일부 정책용역평가 심사위원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KINAC) 비상임 이사 통일연구원 프로젝트연구위원 / 중앙대 강사 역임 [주요논저] “김정은 시기 북한의 국방력 발전 계획: 억제력의 강화 과정을 중심으로” (INSS 연구보고서) “냉전의 종식과 핵보유국의 태동: 중러가 북한의 핵프로그램에 미친 영향(1980-1994)” (세계정치) “북한 사이버위협의 특징과 대응방안: 김정은 시대를 중심으로” (INSS 연구보고서) “북한은 파키스탄의 길을 가고 있는가: 북한과 파키스탄의 전술핵무기 역할과 핵지휘통제 비교” (국방연구) “북한의 핵개발 전략 변화: 냉전기에서 핵무력 완성기까지(1948-2017)” (INSS 연구보고서) “북한의 핵전력 지휘통제체계: 이론적 예측과 안전성 전망” (INSS 연구보고서) 외 다수
펼치기
김소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이론과 교수 트랜스 아시아 영상문화연구소 소장 『파국의 지도』, 『근대의 원초경』, 『근대성의 유령들: 판타스틱 한국 영화』의 저자이며 《Electronic Elsewheres: The Production of Social Space》의 공동 편집자이다. '고려 아리랑: 천산의 디바'를 비롯한 망명 삼부작, '거류'를 비롯한 여성사 삼부작을 연출했다. 콜론 세계 예술아카데미 회원이며, 한국문화연구학회 회장직을 맡고 있다. 싱가포르 국립대 연구원을 지내고 UC 버클리대 등에서 가르쳤다.
펼치기
도지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HK연구교수. 2010년 북한대학원대학교 박사과정 10기로 입학해 2013년 “Reversing Friends and Enemies: The American Factor in the Sino-Soviet Split and North Korean Crisis Mobilization, 1962~1968”,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논문으로 “1960년대 한국의 중립국 및 공산권 정책 수정에 대한 논의”, 한국과 국제정치 제 33권 4호(2017.12), “Loss Aversion and Risk Taking in North Korean Strategy, 1967~1968”, Asian Perspective 제40권 3호(2016.7) 등이 있다.
펼치기
박천조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8년 제7회 공인 노무사 시험에 합격하여 다양한 노사 관계 이슈와 노동 문제를 다루어 왔습니다. 2007년부터 개성 공단 현지 관리 기구인 개성공업지구관리위원회에서 근무하며 우리 기업과 북한 근로자 간에 발생하는 다양한 노사 문제를 관리했고, 2014년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 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에서 일하고 있으며,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겸임 교수를 맡고 있습니다. 3명의 아이들을 키우다 보니 아이들의 미래를 위해 남북이 잘 지낼 수 있는 방법은 없는지 늘 고민하고 있습니다.
펼치기
원세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회부의장실 비서관.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친 뒤 일선에서 안보 관련 업무를 담당하다 북한에 대해 심도하게 연구할 필요를 절감해서 2015년 북한대학원대학교에 입학했다. 2017년 ‘1970년대 북한 수령제의 정치동학’이란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이 글은 북한대학원대학교에서 우수 논문으로 선정되었다. 그동안 조선일보 기자, 국회 보좌관, 대통령비서실 행정관 등을 거치면서 국내 정치와 통일.안보 분야에서 다양한 경험을 쌓았다.
펼치기
김성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15년 북한대학원대학교에서 "북한 군사주의의 형성과 전개과정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관심분야는 북한의 군사정책 및 안보전략, 당-군관계 등으로 이와 관련한 논문작성과 연구를 진행 중이다. 최근 연구로는 "1960년대 북한의 군사주의 확산과정 연구", '현대북한연구' 제18권 2호(2015), "북한 병진노선의 내용 및 논리구조 분석: 군사비 지출과 경제성장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국방정책연구' 제32권 2호(2016) 등이 있다.
펼치기
이제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과 일본이 다시 대사급 외교관계를 맺고 한국군이 베트남에 돈 벌러 가서 죽고 죽이던 1965년 가을 세상에 나왔다. 1993년 가을 《한겨레신문》 기자가 됐다. 1998년 11월 첫 금강산관광 취재를 마치고 돌아오는 배에서 ‘분단 한반도’ 취재·연구를 필생의 업으로 삼았다. 금강산관광·개성공단 사업의 시작과 중단, 다섯 차례의 남북정상회담, 여섯 차례의 북한 핵실험, 김정일의 죽음과 김정은의 ‘3세 승계’, 두 차례의 북미정상회담, 첫 남북미 정상회동 등을 현장에서 목격하고 기록했다. 반전·반핵·평화의 한반도와 남북 8000만 시민·인민의 평화로운 일상을 꿈꾼다. 한국사회의 심부에 ‘북한문제’라 불리는 식민·전쟁·분단의 상처가 뱀처럼 똬리를 틀고 있다는 걸 아프게 느낀다. 하염없이 후진 일이 많은데, 신기하게 세상의 슬픔이 잘 보였다. ‘낮은 곳’에선 세상의 민낯을 더 잘 볼 수 있다. 안다. ‘낮은 곳’에서 세상을 보려 했지만 국적·지역·젠더·학력 차별의 양지에서만 살아왔다는 사실을. 시민·기자로서 이런 치명적인 약점을 극복하려 애쓰고 있다. 《한겨레》 정치부 통일외교팀의 선임기자다. 《한겨레》 편집국장과 《한겨레21》 편집장, 한겨레신문사 노동조합장과 사주조합장 등을 지냈다. 서울대에서 사회학을 공부했고, 북한대학원대학교에서 〈‘제2차 북핵위기’ 발발 원인에 관한 연구〉(2008)로 석사학위를, 〈노태우 정부의 북방정책과 비대칭적 탈냉전〉(2016)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통일은 과정이다》(서해문집, 2015)와 《북한학의 새로운 시각: 열 가지 질문과 대답》(역사인, 2018) 《대전환시대, 한반도 평화의 새로운 길》(오름, 2022) 등에 공저자로 참여했고, 《코리안 엔드게임》(삼인, 2003) 등을 공역했다
펼치기
박유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제언어대학원대학교 통번역학과 겸임교수. 한국어-영어 국제회의 통역사. 이화여자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한 후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에서 한영통역(현 국제회의통역)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북한대학원대학교에서 정치통일 전공으로 북한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2017, 2018, 2019년에 각각 뉴욕, 워싱턴, 서울에서 열린 트럼프 대통령과의 한미 정상회담을 비롯해 유엔 총회, 유엔 안보리, G20, APEC, ASEM, ASEAN+3 등 다양한 정상외교 현장에서 한국정부 측 동시통역사로 활동했다. 외교 통역 외에도 대한상공회의소, 대검찰청, 주한캐나다대사관, 국제민주연구소, 한예종 한국예술연구소 등 국내외 주요 기관들을 대상으로 국제회의 통역사와 경제・학술 분야 전문 번역사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북한의 조세정치와 세금제도의 폐지, 1945∼1974》(선인, 2018), 《북한학의 새로운 시각: 열 가지 질문과 대답》 (역사인, 2018, 공저)이 있으며, 역서로 『트럼프 코리아』 (사회평론, 2024, 공역)와 Byun Shiji: A Painter of Storms(열화당, 2017)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