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91186851203
· 쪽수 : 160쪽
· 출판일 : 2016-03-1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마음을 밝히는 보배로운 거울, 명심보감
1부 선한 일을 하는 사람에게는 하늘이 복을 준다
1-1. 선한 일과 악한 일
1-2. 선을 행하여야 하는 이유
1-3. 선한 일에 힘써라
1-4. 하늘은 사람의 마음속에 있다
1-5. 하늘에 죄를 지으면 빌 곳이 없다
1-6. 어쩔 수 없는 것이 있다
2부 삶의 근본
2-1. 자식의 도리
2-2. 효를 행하면
2-3. 다른 사람에게 배우다
2-4. 경계해야 할 일
2-5. 삼가고 또 삼가라
2-6. 마음을 진실되게 깨우치는 글
3부 행복은 어디에서 오는가
3-1. 만족함을 아는 삶
3-2. 흔들리지 말고 지켜라
3-3. 부끄럽지 않게 살려면
3-4. 후회하지 않고 살기
3-5. 마음먹기에 달려 있다
4부 배움을 통해 얻는 사람의 길
4-1. 사람의 성품은 물과 같다
4-2. 공자와 자장의 대화
4-3. 참는 자에게 복이 있다
4-4. 사람이 배우지 않으면
4-5. 배움에 힘쓴다면
4-6. 배운 것을 잃을까 두렵다
4-7. 자식 교육의 중요성
4-8. 어떻게 가르칠까
5부 욕심을 버리고 자신을 돌아보자
5-1. 잘 살기 위한 방법
5-2. 지나치면 근심을 부른다
5-3. 앞날은 알 수가 없다
5-4. 사람의 마음은 알 수 없다
5-5. 자신을 해치는 일을 하지 마라
5-6. 저절로 향기가 퍼진다
5-7. 황금보다 귀한 것
5-8. 선비의 사귐
5-9. 인과응보
5-10. 꽃은 피고 진다
6부 세상의 모든 것은 마음먹기에 달려 있다
6-1. 진실한 마음에서 나온다
6-2. 다른 사람을 보고, 나를 본다
6-3. 먹줄을 따르듯이
6-4. 그칠 때를 아는 것
6-5. 자기를 생각하는 것만큼
6-6. 가까이 있는 일이 하기 어렵다
6-7. 역지사지(易地思之)
7부 스스로의 경계로 삼다
7-1. 가르침의 근본
7-2. 삼강오륜(三綱五倫)
7-3. 장사숙의 좌우명
7-4. 범익겸의 좌우명
7-5. 무왕과 강태공의 대화
7-6. 나랏일을 맡았을 때는
7-7. 먼저 자신을 바르게 한다
7-8.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
8부 예(禮)로써 완성하는 사회
8-1. 인륜에서 가장 중요한 것
8-2. 예의가 있으면 저절로 이루어진다
8-3. 한 마디의 말도 경계하라
8-4. 좋은 친구와 함께하라
8-5. 부녀자의 네 가지 덕
8-6. 어진 아내
책속에서
동악성제(東岳聖帝: 도교의 신선)가 말하였다.
“단 하루라도 선행을 행하면, 복은 받지 못하더라도 재앙은 멀어진다.
단 하루라도 악행을 행하면, 재앙을 받지 않을지라도 복은 멀어진다.
선을 행하는 사람은 봄 동산에 자라는 풀과 같다. 자라는 것이 보이지 않아도 나날이 쑥쑥 자란다.
악을 행하는 사람은 칼을 가는 숫돌과 같다. 닳는 것이 보이지 않아도 나날이 닳아 없어진다.” (‘1-3 선한 일에 힘써라’ 중에서)
복을 다 누리지 말라.
복이 다하면 몸이 빈궁해진다.
권세가 있을 때 과시하지 말라.
권세가 다하면 원수가 나타난다.
복이 있거든 항상 조심하라.
권세가 있을 때는 항상 공손하라.
사람의 교만과 사치는 처음은 있으나 끝은 없다. (‘5-6 저절로 향기가 퍼진다’ 중에서)
『공자 삼계도』(孔子三計圖)에서 말하였다.
“일생의 계획은 어릴 때 세우고,
일 년의 계획은 봄에 세우며,
하루의 계획은 새벽에 세운다.
어려서부터 배우지 않으면 나이 들어서 아는 것이 없게 되고,
봄에 밭을 갈지 않으면 가을에 기대할 것이 없다.
새벽에 일어나지 않으면 하루의 계획을 제대로 세울 수 없다.”(‘7-1 가르침의 근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