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낭송 논어

낭송 논어

김수경, 나은영, 이수민 (지은이), 우응순 (감수)
북드라망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낭송 논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낭송 논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공자/논어
· ISBN : 9791186851968
· 쪽수 : 648쪽
· 출판일 : 2019-05-30

책 소개

고전을 머리만이 아니라 몸으로 만나 신체에 새기는 낭송Q시리즈 ‘원문으로 읽는 디딤돌편’의 세번째 책. 동양 고전의 첫머리에 자리 잡은 고전 중의 고전 『논어』 20편 전체를 원문과 함께 낭송하기 좋도록 풀어 읽었다.

목차

1편 _ 학이(學而)
1-1 배우고 익히면
1-2 사람됨의 근본
1-3 교언영색
1-4 자기를 성찰하다
1-5 나라를 다스리는 방법
1-6 글을 배우는 것보다 먼저 해야 할 일
1-7 배운 사람의 행동
1-8 잘못이 있으면
1-9 신종추원
1-10 공자의 됨됨이
1-11 효라 할 만하다
1-12 예를 행할 때
1-13 주인으로 삼을 만한 사람
1-14 군자의 호학
1-15 절차탁마
1-16 공자의 걱정

2편 _ 위정(爲政)
2-1 덕치
2-2 생각에 사악함이 없다
2-3 부끄러움을 아는 정치
2-4 공자의 자서전
2-5 효에 대해 묻다 ①
2-6 효에 대해 묻다 ②
2-7 효에 대해 묻다 ③
2-8 효에 대해 묻다 ④
2-9 어리석어 보이는 안회
2-10 사람됨은 숨길 수가 없다
2-11 온고지신
2-12 군자는 그릇이 아니다
2-13 말보다 행동을 먼저 한다
2-14 편을 가르지 않는다
2-15 배움과 생각
2-16 이단을 전공하면 해롭다
2-17 안다는 것
2-18 벼슬을 구하는 법
2-19 백성을 복종하게 하려면
2-20 솔선수범
2-21 정치란 무엇인가
2-22 사람이 신의가 없다면
2-23 왕조가 백 번이 바뀌어도
2-24 아첨과 용기 없음

3편 _ 팔일(八佾)
3-1 팔일무를 추다
3-2 세 집안의 제사
3-3 사람이 인하지 못하다면
3-4 예의 근본
3-5 오랑캐에게 임금이 있으니
3-6 임방만 못하겠는가
3-7 군자의 경쟁
3-8 바탕과 무늬
3-9 옛 나라의 예악
3-10 체제사 ①
3-11 체제사 ②
3-12 제사에 임하는 태도
3-13 하늘에 죄를 지으면
3-14 찬란한 주나라의 문화
3-15 일일이 묻는 것이 예다
3-16 활쏘기의 도
3-17 그 예가 아깝다
3-18 예를 다할 뿐
3-19 정공이 묻다
3-20 애이불상
3-21 기왕불구
3-22 관중은 그릇이 작다
3-23 음악을 논하다
3-24 하늘이 목탁으로 삼다
3-25 순임금과 무왕의 음악
3-26 사람을 알아보는 법

4편 _ 이인(里仁)
4-1 어진 마을이 아름답다
4-2 인에서 편안한 사람
4-3 어진 사람
4-4 인에 뜻을 두면
4-5 부유함과 귀함
4-6 인에 힘을 쓰지 않는 것
4-7 잘못을 보면 알 수 있다
4-8 아침에 도를 들으면
4-9 도에 뜻을 두고도
4-10 군자는 의를 따른다
4-11 군자와 소인
4-12 이익에 따라 행동하면
4-13 예와 겸양이 있는 나라
4-14 걱정하지 말고
4-15 충과 서
4-16 군자는 의에 밝다
4-17 다른 사람의 행실을 보고
4-18 부모를 섬길 때
4-19 멀리 놀러 나가지 말라
4-20 자식의 효도
4-21 부모의 나이
4-22 옛사람의 부끄러움
4-23 절제
4-24 말은 어눌하게
4-25 덕은 외롭지 않다
4-26 자주 충고하면 소원해진다

5편 _ 공야장(公冶長)
5-1 공야장을 사위 삼은 이유
5-2 자천은 군자답다
5-3 자공은 호련이다
5-4 말재주 없는 중궁
5-5 칠조개의 겸양
5-6 용기를 좋아한 자로
5-7 맹무백이 제자에 대해 묻다
5-8 문일지십
5-9 낮잠 잔 재여
5-10 신정의 욕심
5-11 자공이 할 수 없는 일
5-12 선생님께 듣지 못했던 말
5-13 자로의 두려움
5-14 불치하문
5-15 자산의 도
5-16 안평중의 사귐
5-17 장문중을 평하다
5-18 영윤 자문을 평하다
5-19 두 번이면 된다
5-20 영무자의 지와 우
5-21 노나라에 있는 제자들
5-22 백이와 숙제
5-23 미생고의 정직함
5-24 좌구명의 부끄러움
5-25 제자들의 뜻을 듣다
5-26 자신의 허물
5-27 나는 호학자다

6편 _ 옹야(雍也)
6-1 임금의 자리에 앉을 만한 중궁
6-2 호학자 안회
6-3 부유함은 보태지 않는다
6-4 얼룩소의 새끼라도
6-5 삼 개월 동안 인한 안회
6-6 계강자의 물음
6-7 읍재를 사양한 민자건
6-8 백우의 병
6-9 한 그릇의 밥과 한 바가지의 물
6-10 힘이 부족한 자
6-11 군자다운 선비
6-12 담대멸명의 공사 구분
6-13 자랑하지 않는 맹지반
6-14 축타와 송조
6-15 도의 출입
6-16 바탕과 꾸밈
6-17 살아가는 이치
6-18 즐거워하는 사람만 못하다
6-19 중인 이상, 중인 이하
6-20 번지가 지와 인을 묻다
6-21 요산요수
6-22 제나라가 변하면
6-23 모난 술그릇
6-24 군자는 속일 수 없다
6-25 학문을 널리 배우고
6-26 공자, 남자를 만나다
6-27 중용의 덕
6-28 가까운 데서 취하라

7편 _ 술이(述而)
7-1 술이부작
7-2 묵묵히 기억하고
7-3 공자의 근심
7-4 한가로울 때
7-5 꿈속의 주공
7-6 도·덕·인·예
7-7 공자에게 배우려면
7-8 한 귀퉁이를 들어 주면
7-9 상을 당한 사람 곁에서는
7-10 안연과 자로
7-11 내가 좋아하는 일
7-12 공자가 삼간 것
7-13 제나라의 음악
7-14 인은 원망이 없다
7-15 부귀는 뜬구름과 같다
7-16 공자, 주역을 배우다
7-17 평소의 말씀
7-18 스스로를 평하다
7-19 나면서부터 아는 사람이 아니다
7-20 괴력난신
7-21 세 사람이 가면
7-22 환퇴가 어찌하겠는가
7-23 나는 숨기는 것이 없다
7-24 공자가 가르친 것
7-25 항심이 있는 자
7-26 낚시질과 그물질
7-27 아는 것의 다음
7-28 호향의 동자
7-29 인은 멀지 않다
7-30 진나라 사패가 묻다
7-31 함께 노래 부를 때
7-32 공자가 얻지 못한 것
7-33 제자들이 배울 수 없는 점
7-34 기도한 지 오래되었다
7-35 고루한 것이 낫다
7-36 군자의 여유
7-37 공자의 모습

8편 _ 태백(泰伯)
8-1 태백의 지극한 덕
8-2 예가 없으면
8-3 전전긍긍
8-4 군자의 도
8-5 증자의 좋은 친구
8-6 군자다운 사람
8-7 선비의 막중한 책임
8-8 시·예·악
8-9 백성을 다스릴 때
8-10 난을 일으키는 사람
8-11 교만과 인색
8-12 배움과 녹봉
8-13 도에 머무르다
8-14 지위에 맞게
8-15 관저의 아름다움
8-16 공자도 어쩔 수 없는 사람
8-17 배우는 자세
8-18 순임금과 우임금
8-19 위대한 요임금
8-20 주나라의 덕
8-21 우임금의 덕

9편 _ 자한(子罕)
9-1 공자가 드물게 한 말
9-2 공자의 평판
9-3 예를 따르는 것
9-4 공자에게 없는 것
9-5 광 땅의 고난
9-6 군자의 능력
9-7 질문에 답할 때
9-8 공자의 탄식
9-9 공자의 예법
9-10 공자의 도
9-11 하늘은 속일 수 없다
9-12 자공의 질문
9-13 군자의 거처
9-14 시와 악을 바로잡다
9-15 공자의 일상
9-16 불사주야
9-17 호덕과 호색
9-18 공부에 비유하자면
9-19 실천하는 안회
9-20 멈추지 않는 안회
9-21 다 열매 맺지 않는다
9-22 두려운 후배
9-23 어찌할 수 없는 것
9-24 명심해야 할 세 가지
9-25 필부의 뜻
9-26 자로가 외운 말
9-27 세한연후
9-28 세 가지 덕
9-29 함께할 수 없는 것
9-30 먼 것은 문제가 아니다

10편 _ 향당(鄕黨)
10-1 향당과 종묘
10-2 조정에서 말하기
10-3 손님 접대 예법
10-4 조정의 예법
10-5 조회의 예법
10-6 군자의 옷차림
10-7 목욕재계
10-8 음식의 예법
10-9 앉는 자리
10-10 마을에서 어울릴 때
10-11 선물을 받는 예법
10-12 마구간에서 불이 나면
10-13 임금을 모시는 예법
10-14 벗과 사귀는 예법
10-15 일상의 예법
10-16 수레를 탈 때
10-17 꿩을 잡은 자로

11편 _ 선진(先進)

11-1 선진과 후진
11-2 공문십철
11-3 기뻐하는 안회
11-4 효성스런 민자건
11-5 남용의 시 암송
11-6 안회의 죽음?①
11-7 안회의 죽음?②
11-8 안회의 죽음?③
11-9 안회의 죽음?④
11-10 안회의 죽음?⑤
11-11 귀신과 죽음을 묻다
11-12 공자와 제자들
11-13 이치를 아는 민자건
11-14 자로의 연주
11-15 과유불급
11-16 염구를 성토하라
11-17 제자들의 성품
11-18 안회와 자공의 차이
11-19 선인의 길
11-20 군자의 말
11-21 성품을 살펴 가르치다
11-22 뒤처진 안회
11-23 대신과 구신
11-24 말재주를 경계하다
11-25 제자들의 포부

12편 _ 안연(顔淵)
12-1 극기복례
12-2 기소불욕 물시어인
12-3 사마우가 묻다?①
12-4 사마우가 묻다?②
12-5 사마우가 묻다?③
12-6 참소와 하소연
12-7 믿음이 중요하다
12-8 바탕과 꾸밈의 조화
12-9 백성이 풍족하다면
12-10 덕과 미혹
12-11 군군?신신?부부?자자
12-12 자로의 판결
12-13 송사가 없도록
12-14 정치하는 법
12-15 학문을 널리 배우고
12-16 군자의 미덕
12-17 계강자가 정치를 묻다?①
12-18 계강자가 정치를 묻다?②
12-19 계강자가 정치를 묻다?③
12-20 통달과 명성
12-21 번지, 덕과 미혹을 묻다
12-22 번지, 인과 지를 묻다
12-23 충고하는 법
12-24 이문회우

13편_ 자로(子路)
13-1 정치는 솔선수범
13-2 중궁이 정치를 묻다
13-3 정치에서 먼저 할 것
13-4 번지가 농사를 묻다
13-5 시를 외워도
13-6 자신부터 바르게
13-7 노나라와 위나라
13-8 위나라 공자 형
13-9 백성이 많으면
13-10 내가 등용되면
13-11 선인의 다스림
13-12 왕자가 나온다 해도
13-13 바른 정치
13-14 나랏일이 아닌 까닭
13-15 말의 힘
13-16 섭공이 정치를 묻다
13-17 자하가 정치를 묻다
13-18 양을 훔친 아버지
13-19 인을 실천하는 법
13-20 선비란
13-21 광자와 견자
13-22 한결같아야 한다
13-23 화이부동
13-24 좋아하고 미워하는 기준
13-25 군자와 소인의 섬김
13-26 군자와 소인의 차이
13-27 강의목눌
13-28 선비가 사귀는 법
13-29 전쟁과 백성?①
13-30 전쟁과 백성?②

14편 _ 헌문(憲問)
14-1 원헌의 부끄러움
14-2 인의 어려움
14-3 선비의 생각
14-4 도의 유무에 따라
14-5 덕과 말, 인과 용기
14-6 덕을 숭상하는 남궁괄
14-7 어짊의 조건
14-8 사랑과 진심
14-9 정나라의 외교관들
14-10 자산, 자서, 관중
14-11 가난과 부의 차이
14-12 맹공작의 역량
14-13 인격이 완성된 사람
14-14 공숙문자에 대한 평
14-15 임금을 협박한 장무중
14-16 진문공과 제환공의 차이
14-17 관중의 업적?①
14-18 관중의 업적?②
14-19 문이라는 시호
14-20 위나라의 현명한 신하들
14-21 말하기의 부끄러움
14-22 공자의 간언
14-23 임금 섬기는 법
14-24 군자와 소인의 통달
14-25 위기지학 위인지학
14-26 거백옥의 심부름꾼
14-27 지위에 맞게?①
14-28 지위에 맞게?②
14-29 군자의 말과 행동
14-30 군자의 세 가지 도
14-31 자공의 행동
14-32 잘하지 못함을 걱정하라
14-33 미리 아는 것이 현명하다
14-34 고집불통을 미워한다
14-35 천리마의 덕
14-36 이덕보원
14-37 나를 알아주는 것은 하늘
14-38 도와 하늘의 뜻
14-39 현명한 사람
14-40 은둔한 사람들
14-41 문지기의 질문
14-42 공자의 연주
14-43 임금의 삼년상
14-44 윗사람이 예를 좋아하면
14-45 군자의 수양
14-46 원양을 꾸짖다
14-47 성급한 동자

15편 _ 위령공(衛靈公)
15-1 위령공이 진법을 묻다
15-2 일이관지
15-3 덕행
15-4 순임금의 무위지치
15-5 세상에서 인정받는 법
15-6 사어와 거백옥
15-7 사람도 말도 잃지 않아야
15-8 살신성인
15-9 인을 실천하는 법
15-10 나라를 다스리는 법
15-11 생각과 근심
15-12 어쩔 수 없구나
15-13 지위를 훔친 자
15-14 자신에게 엄격하라
15-15 노력하지 않는 사람
15-16 잔꾀 부리기
15-17 군자다움
15-18 무능력을 근심하라
15-19 군자는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
15-20 잘못을 찾는 차이
15-21 편 가르기
15-22 말과 판단
15-23 평생의 실천
15-24 올바른 도리
15-25 지금은 그런 일도 없다
15-26 작은 일은 참아야
15-27 여론에 휩쓸리지 말아야
15-28 사람과 도
15-29 큰 잘못
15-30 생각만 하면 얻을 것이 없다
15-31 추구해야 할 것
15-32 지혜와 인
15-33 그릇의 크기
15-34 인에 뛰어들어라
15-35 인은 양보가 없다
15-36 군자의 지조
15-37 녹봉은 나중에
15-38 가르침에는 부류가 없다
15-39 도가 같지 않으면
15-40 말은 뜻이 통해야
15-41 악사를 돕는 법

16편 _ 계씨(季氏)
16-1 계씨의 근심
16-2 도가 있으면
16-3 도가 없는 노나라
16-4 유익한 벗, 해로운 벗
16-5 유익한 좋아함, 해로운 좋아함
16-6 세 가지 잘못
16-7 군자의 세 가지 경계
16-8 군자의 세 가지 두려움
16-9 곤란한데도 배우지 않으면
16-10 군자의 아홉 가지 생각
16-11 은자를 비판하다
16-12 백이와 숙제를 칭송하다
16-13 공자가 자식을 가르치는 방법
16-14 임금의 부인을 부를 때

17편 _ 양화(陽貨)
17-1 공자와 양화
17-2 성과 습
17-3 상지와 하우
17-4 닭 잡는 데 소 잡는 칼을 쓰랴
17-5 공산불요가 공자를 부르다
17-6 다섯 가지 실천
17-7 필힐이 공자를 부르다
17-8 육언과 육폐
17-9 시를 배우는 이유?①
17-10 시를 배우는 이유?②
17-11 예악의 진정한 의미
17-12 도적과 같다
17-13 향원은 도적이다
17-14 길에서 듣고 길에서 말하면
17-15 비열한 사람은 못할 짓이 없다
17-16 세 가지 병폐를 돌아보다
17-17 교언영색
17-18 공자가 미워하는 것
17-19 하늘은 말을 하지 않는다
17-20 공자의 가르침
17-21 재아와 삼년상
17-22 장기와 바둑
17-23 용기와 의
17-24 군자가 미워하는 것
17-25 여자와 소인은 상대하기 어렵다
17-26 사십에도 미움을 받는다면

18편 _ 미자(微子)
18-1 은나라의 세 사람
18-2 유하혜의 도
18-3 제경공의 거절
18-4 노나라를 떠나다
18-5 미치광이 접여
18-6 피인지사 피세지사
18-7 벼슬하지 않는 것은 의가 아니다
18-8 일민
18-9 악사들이 흩어지다
18-10 주공의 당부
18-11 주나라의 여덟 선비

19편 _ 자장(子張)
19-1 선비의 자세
19-2 덕은 넓게 도는 돈독히
19-3 사람 사귀는 법
19-4 군자의 장애물
19-5 날마다 달마다
19-6 박학과 절문
19-7 장인과 군자
19-8 소인의 변명
19-9 군자의 세 가지 변화
19-10 군자가 먼저 얻어야 할 것
19-11 대덕과 소덕
19-12 자하와 자유의 제자 교육법
19-13 벼슬과 학문
19-14 상례는 슬픔이 중요하다
19-15 자장의 됨됨이?①
19-16 자장의 됨됨이?②
19-17 부모의 상례
19-18 어려운 맹장자의 효
19-19 법을 집행하는 법
19-20 하류에 머물지 말라
19-21 일식이나 월식
19-22 공자의 배움
19-23 숙손무숙이 공자를 비방하다?①
19-24 숙손무숙이 공자를 비방하다?②
19-25 진자금이 공자를 비방하다

20편 _ 요왈(堯曰)
20-1 제왕의 도
20-2 다섯 가지 미덕과 네 가지 악덕
20-3 천명, 예 그리고 말

공자 연보
공자의 제자들

저자소개

나은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책 읽기를 좋아했던 습관이 인문학공동체 ‘문탁네트워크’로 연결되었다. ‘게으르니’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십여 년의 시간을 사서와 삼경을 읽으면서 보냈다. 청소년들에게 동양고전의 맛과 멋을 전수하고 싶었지만 쓴맛만 봤다. 『낭송 사기열전』을 풀어 옮기고, 동학들과 『낭송 논어』를 풀어 쓰는 보람도 느꼈다. 고전 분야에서 덕업일치를 이루지 못하고 고민하던 차, 양생을 위한 담론을 생산하고 생업도 마련하는 기회를 잡아 소속을 인문약방 팀으로 옮겨 ‘일리치약국’ 정규직이 되었다. 더불어 기존의 별명이 약발을 다한바 ‘기린’으로 개명하고 양생 공부에 박차를 가하며 또 한 번의 덕업일치에 도전 중이다.
펼치기
이수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우연히 문탁네트워크에서 동양고전을 공부했다. 벌써 햇수로 8년이 되었고, 그 사이에 아이들과 청소년, 그리고 어른들과 함께 동양고전을 읽었다. 흔히 동양고전이라고 하면 오래된 옛이야기쯤으로 치부하지만 고전은 늘 당대의 문제를 질문하고 그것을 고민하게 한다. 그런 의미에서 동양고전을 더 젊은 친구들과 함께 읽고 생각하고, 이야기하고 싶다. 현재 문탁네트워크 내 대안학교인 ‘파지스쿨’의 교사로 있다.
펼치기
김수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양고전을 공부하면서 가장 힘든 순간은 머리로는 알겠는데 몸이 따라주지 않을 때이다. “공부를 계속하면 나도 변하겠지?” 나는 적어도 이 공부가 자신에게 이롭다는 것을 안다. 그래서 이 공부를 놓을 수 없다. 왜냐하면 이마저도 그만두면 나는 어진 사람(仁者)은커녕 어리석은 사람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뭣 좀 아는 사람(知者)이 되려고 공부한다.
펼치기
우응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에서 한문학을 전공하고, 「조선 중기 사대가의 문학론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인문학당 상우>에서 『주역』, 『춘추좌전』, 『예기』, 『당송고문』을 공부하고 강의한다. 앞으로 어디에서 무엇을 강의할지는 알 수 없다. 주문형 선생으로 살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우파니샤드’, ‘뇌과학’ 강의를 들으며 ‘그리스 희극’, ‘하버드 중국사’ 세미나를 하고 있다. 얼마나 다행인가, 다 알아들을 수도 없고, 그럴 마음도 없다. 공부의 길을 열어 주는 많은 길벗에게 감사할 뿐이다. 저서로 『친절한 강의 대학』, 『친절한 강의 중용』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증자(증삼)가 말했다.
“나는 날마다 세 가지로 나를 되돌아본다. 다른 사람을 위하여 일을 도모할 때 성의를 다했는가? 친구와 사귈 때 신의가 있었는가? 배운 것을 제대로 익혔는가?”
曾子曰(증자왈) : “吾日三省吾身(오일삼성오신) : 爲人謀而不忠乎?(위인모이불충호) 與朋友交而不信乎?(여붕우교이불신호) 傳不習乎?(전불습호)”
(1-4. 자기를 성찰하다)


자유가 효에 대해 물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요즘에 효는 부모님께 음식을 잘 해드리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개나 말도 모두 잘 먹여 키우니, 공경하는 마음이 없으면 무엇이 다르겠느냐?”
子游問孝(자유문효). 子曰(자왈) : “今之孝者(금지효자), 是謂能養(시위능양). 至於犬馬(지어견마), 皆能有養(개능유양) ; 不敬(불경), 何以別乎(하이별호)?”
(2-7. 효에 대해 묻다 ③)


공자께서 태묘에 들어가 일일이 물으시니 어떤 이가 말했다.
“누가 추땅 사람의 아들(공자)이 예를 안다고 하는가? 태묘에 들어와서 일일이 묻는구나.”
공자께서 이 말을 들으시고 말씀하셨다.
“이것이 예다.”
子入大廟(자입태묘), 每事問(매사문). 或曰(혹왈) : “孰謂?人之子知禮乎(숙위추인지자지례호)? 入大廟(입태묘), 每事問(매사문).” 子聞之曰(자문지왈) : “是禮也(시례야).”
(3-15. 일일이 묻는 것이 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