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사 일반
· ISBN : 9791187750642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23-03-17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5
서장 패전 후의 취학·진학 동향: 학교의 수용과 정착 11
제1장 “일본의 학교”의 성립: 근대 학교의 도입과 전개 31
1. 산업혁명과 근대 학교 33
2. 일본의 근대 학교 39
3. “살아가는 현장”의 형성과 갈등 52
제2장 신학제의 출발: 패전 후부터 고도성장 이전까지 65
1. 전후 학교의 틀 67
2. 교육행정과 커리큘럼 85
3. 전후 초기의 학교의 동향과 형세 91
제3장 “학교화 사회”의 성립과 전개: 경제성장 시기의 학교 99
1. 고도성장과 학교 101
2. “출구”의 전개: 중학교의 변화 107
3. 고등학교의 대중화 114
4. 학교 간 연계 문제의 양상들: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연계 119
5. 산업화 사회에 대응한 양상들 124
6. 학교에 대한 이의 제기 131
제4장 학교 기반의 동요: 1990년대 이후 137
1. 제도 기반의 변용 139
2. 학력과 학교제도의 새로운 동향 146
3. 자명성에 대한 되물음 157
4. 학교 내부의 움직임 167
5. 학교 지식을 둘러싼 새로운 전개 173
종장 학교의 역할과 과제: 전후 학교제도의 재고 179
저자 후기 195
권말 수록 도판 198
참고 문헌 203
도판 출전 209
역자 후기 210
책속에서
1870년대 학교 도입 초기에는 부모들에게 소중한 일손인 어린이들을 데리고 가고 소학교 건축 비용이나 수업료까지 징수하는 것에 반대하여 학교를 부수는 일까지 일어났다. 또한 고용한 교사가 학교에 좀처럼 나타나지 않는 일도 있었다.
1880년대 중반까지 일본의 학교제도는 사법은 사법성 법학교, 공학은 공부성 공부대학교라는 식으로 학문 영역별로 정점에 위치하는 학교가 존재했다. 후에 그 정점 학교를 통합하는 형태로 제국대학을 설치했고, 신지식·신기술의 이입을 도모하는 거대한 시스템을 만들어냈다. 그리고 학교를 근대국가의 통치기구와 연계하여 자리매김했다. 제국대학을 졸업한 사람을 국가 관료조직에 배치하는 명확한 우대 정책을 취한 것이 그 상징적인 예다.
초창기 일본의 근대 학교는 새로운 지식·기술을 도입하고 흡수하는 장치였을 뿐 아니라 언어와 역사와 도덕을 공유하는 국민의 형성을 담당하는 기관이었다. 그 국민 형성의 중핵에 자리매김한 것이 소학교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