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리셋 대한민국

리셋 대한민국

(우석훈 박용진 김세연의 대한민국 미래대담)

우석훈, 박용진, 김세연 (지은이), 공희준 (정리)
오픈하우스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2,600원 -10% 630원 10,710원 >

책 이미지

리셋 대한민국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리셋 대한민국 (우석훈 박용진 김세연의 대한민국 미래대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한국정치사정/정치사 > 한국정치사정/정치사-일반
· ISBN : 9791188285877
· 쪽수 : 396쪽
· 출판일 : 2021-02-22

책 소개

진보와 보수를 대표하는 젊은 정치인, 더불어민주당 박용진 의원과 국민의힘 김세연 전 의원이 『88만원 세대』의 저자이자 뛰어난 통찰력의 소유자인 경제학자 우석훈 박사와 함께 새로운 정책적 전환점을 모색하기 위한 다각적 대담을 나누었다.

목차

들어가는 말
정치의 미래를 말한다 박용진 005
미래의 정치를 말한다 김세연 008

1장 청년세대의 지체현상
21세기 버전의 ‘경부고속도로’는 무엇인가 018
830세대로의 급격한 세대 전환이 필요하다 024
서태지 세대는 왜 쓰러졌는가 027
‘런드리고’는 고 하고, ‘타다’는 못 타다 035
평창올림픽이 쏘아올린 작은 공 043
‘연금종말론’의 공포 046
인구 문제를 전담할 ‘인구부총리’를 임명하자 054
거대조직일수록 살아남기 어려운 시대 058
청년세대의 완전고용은 실현 불가능한 꿈일까 064
정치인은 국민들을 믿어라 068
최저임금은 국가가 생각하는 국민의 값어치 072
대한민국은 부유한데 국민은 빈곤하다 076
나랏돈은 눈먼 돈이 아니다 080
근로기준법의 업데이트가 시급하다 087
공무원 숫자, 절반으로 줄여도 괜찮다 090
차별금지법은 곧 평등촉진법 096
청년에게는 내 일, 중장년에게는 남 일 101
청년 인재를 박수부대로만 취급하는 기성 정당들 106
정치적 후계자와 배신자 사이 111

2장 바보야, 문제는 강남이 아니야
집 산다고 다 투기는 아니다 120
강남 때린다고 집값 잡히지 않는다 124
한국은 아파트공화국 131
분양은 한국에만 있는 실패한 제도 135
분양 핑계로 땅장사에만 열중하는 LH공사 140
공공주택청을 만들자 144
소셜 믹스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낳는다 150
지방소멸이라는 발등의 불 155
교통망 확충 효과의 양면 160
세금으로는 땅값 못 잡는다 162
집값에 대한 적정한 세금 166
한시적으로라도 양도소득세는 낮춰야 한다 169
평등한 사회서비스를 누릴 수 있는 권리가 우선이다 172
강북사람들도 고급예술을 즐기고 싶다 178
지금은 주택정책의 패러다임을 바꿀 때 181

3장 AI 시대의 교육과 신기술
코로나가 드러낸 한국 교육의 민낯 186
교육 개혁의 전제는 교육의 폐쇄성 타파 191
우리는 왜 전교조의 출현에 열광했는가 197
무상의무교육은 국민과의 70년 된 약속 199
대학교 교명을 숫자로 바꾸자 203
교정행정에 교육철학이 담겨 있다 209
대학 간의 빅딜이 지방을 살린다 214
여혐과 남혐 의식은 중학교 2학년 때 완성된다 220
교육 개혁과 사회 개혁은 더불어 가야 한다 225
코딩 교육은 필수 234
AI 시대에도 인간다운 삶을 누리기 위해 236
공감할 수 있어야 상상할 수 있다 240
인간과 기계의 결합을 통한 인류의 진화 244
기계에도 참정권이 주어질까? 248
제도는 힘이 세다 254
교육환경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 259
지도자일수록 자식 교육은 평범하게 266
정치인의 가족으로 산다는 건 269

4장 환경을 잃으면 미래도 없다
개념기업과 개념소비의 확산 282
개념소비에도 선도투가 필요하다 286
‘죽음의 계곡’에 예외는 없다 293
수소경제에 반대한다 297
수소에너지, 배보다 배꼽이 더 크다 300
무리한 원전 폐쇄는 산업생태계의 단절만 초래한다 304
경자유전의 원칙은 금과옥조가 아니다 309
한국 사회의 가장 큰 문제는 권력 집중 314
지방분권과 지방균형발전은 별개의 개념 319
지금은 진보도 586, 보수도 586 328
단일민족은 허구적 개념 331
우리의 소원은 아직도 통일이어야 하는가 334

5장 자본과 노동의 새로운 관계
긱 이코노미 시대의 바람직한 노사관계 340
다시 전태일을 생각한다 345
집으로 가야 할 사람들 348
양 노총의 전략적 투쟁이 필요하다 351
미드 경쟁력을 강화한 미국 작가들의 파업 354
네이버는 왜 의류업체가 되었나 359
새로운 노동 시장의 출현 363
정답보다 과정이 중요하다 364
‘기업 하기 좋은 나라’는 ‘노조 하기 나쁜 나라’ 369
최순실 국정농단이 아닌 이재용 뇌물 로비 370
보수는 재벌 개혁, 진보는 노조 개혁 374
세탁기 하나 사는 데 한 달 걸리는 나라 376
기업상속공제제도를 재정비해야 할 때 380
정치인은 의뢰받지 않은 일도 하는 사람 384
대담을 마치며 387

맺음말
돌덩이가 일어서는 날 우석훈 393

저자소개

우석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제학자. 영화 <졸업>을 50대 중반에 보고, 개과천선함. 결혼식장에서 같이 도망가는 연인이 불륜 상대의 딸이었다는 사실, 그리고 <로미오와 줄리엣>이 5일 남짓한 기간에 벌어지는 얘기였다는 것을 알고 매우 충격을 받음. 도대체 제대로 알고 있는 게 뭐였나, 무슨 생각을 하고 살아왔는가, 반성 속에서 근본적으로 생활 태도를 고치게 됨. 사랑을 위해서 못 할 일이 없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고, 인간은 사랑할 것을 사랑하기 위해서 존재하는 것이라는 것을 배움. 인생 전반을 B급 정서로 살아왔고, 심각한 건 질색이고, 정색을 하고 얘기하는 것은 정말 싫어함. 비행기 조종사가 되고 싶었는데, 눈이 겁나게 나빠서 고등학교 때 포기한 이후로, 되고 싶은 것도 없고 하고 싶은 것도 없는 상태로 평생을 살아옴. 욕망이 없는 대신, 호기심이 맹렬하고, 바다를 비정상적으로 좋아함. 바다에 가지 않은 달에는 금단 증상이 생겨남. 『88만원 세대』, 『사회적 경제는 좌우를 넘는다』, 『민주주의는 회사 문 앞에서 멈춘다』 등의 책을 썼음. 언젠가 한중일의 평화 경제학을 쓰기 위해서 일본과 중국 드라마를 틈틈이 보는 중.
펼치기
박용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한민국 제20대, 21대 더불어민주당 소속 재선 국회의원이다. 스물여덟 살, 처음 국회의원 선거에 도전해 서울 강북구(을)에서 13.3%의 지지를 받아 파란을 일으켰다. 이후 세 번의 도전 끝에 당내 경선에서 현역 국회의원을 누르고 공천을 따내 제20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제21대 총선에서는 민주당 서울 최다득표율 64.45%을 기록하며 재선에 성공했다. 지역에서 뿌리내리고 자력으로 살아남은 단단한 정치인이다. 국회의원으로서 유치원3법, 현대차 결함 리콜, 공매도 제도 개선, 이건희 차명계좌 세금환수, 각종 경제민주화 관련 제도를 추진하는 등 굵직한 성과들을 이뤄냈다. 정치는 국민의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라는 생각과 1cm라도 세상을 변화시키는 성과를 지향하는 박용진의 신념이 만들어 낸 성과들이었다. 2020년 6월 고창 선운사 도솔암의 마애불 앞에서 ‘내 마음속의 출정식’을 가졌다. 행복국가 대한민국을 위한 계획과 비전을 세우고 2021년 5월 9일 더불어민주당 내에서 가장 먼저 공식 출마선언을 했다. 국민자산 5억 성공시대, 남녀평등복무제, 바이미식스 대통령, 소득세와 법인세의 동시감세 등 정책적으로 차별화된 선거를 치르고자 했고, 국민들에게 차세대 리더로서 인상을 남겼다. 대선 이후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경선에 출마하며 민주당이 가야 할 길을 제시했다. 어려운 환경 속에서 경선 완주를 하며 민주당의 미래를 외쳤던 박용진은 민주당의 리더, 대한민국의 리더가 되기 위해 더 큰 도전을 준비하고 있다.
펼치기
김세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80년 역사의 동일고무벨트㈜ 전략고문. 2008년부터 2020년까지 부산 금정구에서 3선 국회의원을 지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장과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교육과학기술위원회 간사를 역임했고, 정치발전특위 위원장으로 국회의원 기득권 내려놓기를 추진했으며, 동북아역사왜곡대책특위 간사로 중국·일본의 역사 왜곡에 대응했다. 새누리당과 바른정당 등 보수 정당에서 비상대책위원, 부산시당위원장, 정책위의장, 사무총장, 시민정치원장, 여의도연구원장, 바른정책연구소장 등을 맡았다. 한일의원연맹 미래위원장과 국제민주연합(IDU) 부의장으로서 의회·정당 외교에도 활발히 참여했으며, 국회 국제보건의료포럼 이사장, 아트부산 조직위원장, 민화협 상임의장, 한국스마트헬스케어협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2019년 백봉신사상 대상을 수상했고, 대담집 『리셋, 대한민국』 공동 집필에 참여했다. 서울신문·신동아 등에 칼럼을 연재했고, 동국대·국민대에서 겸임교수로도 활동했다. 현재는 ‘청년정치학교’를 운영하는 사단법인 청정 이사로서 시민 정치 교육의 저변을 넓히고 있으며, 사단법인 Agenda 2050 대표로 국가 설계 사고 실험 프로젝트 ‘스케치 다이얼로그’를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공희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9년 충남 공주에서 태어나 서울에서 자랐다. 산업의 쌀이 반도체라면, 모든 콘텐츠의 쌀은 글이라 믿으며 정치평론과 인물비평을 중심으로 글쓰기에 전념해왔다. ‘강남좌파’ ‘먹고사니즘’ 같은 한국사회의 시대상이 담긴 신조어를 만들어낸 주인공이기도 하다. 작업한 책으로 《찐자의 저울》《보수의 종말》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우석훈(이하 '우') : 제가 박용진 의원님, 김세연 전 의원님(이하 '김세연 의원') 두 분과 대담집을 만들게 되었다고 하니까 유력 언론사 기자도 그렇고 제 주변 사람들이 다 "오, 빅카드다!"하면서 당연히 미래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겠구나 하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인구 감소, 노동 개혁, 연금 개혁, 기후 변화와 에너지 전환 모두가 더 이상 손 놓고 있어서는 안 되는 절체절명의 과제들입니다. 그러나 말만 번지르르하게 할 뿐 임기 5년 지나면 그냥 넘어가버리고 마는 정권이 반복해서 나타나고 있는 이런 정치, 지체와 정체만 거듭하는 정치가 청년들이 미래로 가는 길을 가로막고 서 있는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어요. 저의 근본적 문제의식은 정치가 청년들의 발목을 잡고, 미래의 훼방꾼이 되는 현실에 대한 자기반성에서 출발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21세기 버전의 경부고속도로는 어떤 것일지, 제2의 초고속 인터넷망 역할을 해줄 수 있는 이 시대의 혁신 고속도로는 무엇일지를 늘 심각하게 고민하는 중이에요.


국민연금 충당부채 1,500조 원과, 추계에 안 잡히는 사학연금을 제외한 공무원연금과 군인연금의 충당부채 1,000조 원을 합친 2,500조 원이라는 천문학적 손실액은 결국 세수로 충당해 보전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럼에도 이 이야기를 지금은 다들 쉬쉬하고만 있어요. 표 떨어진다고요. 저는 야당인 국민의힘에서 먼저 연금 개혁 이야기를 꺼낼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야당도 합의해줄 테니 국가공동체의 재정적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 연금 개혁에 나서자는 제안을 정부여당에 내놓자는 겁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882858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