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91189946968
· 쪽수 : 367쪽
· 출판일 : 2021-02-25
책 소개
목차
제1부 이론·사상 시각
제1장 네트워크 국가론: 미래 세계정치 연구의 이론적 기초
I. 머리말
II. 네트워크 시각의 이론적 도전
III. 네트워크로 보는 미래 세계정치
IV. 네트워크 국가론의 이론적 구성
V. 네트워크 국가론의 이론적 과제
VI. 맺음말
제2장 네트워크 권력 개념의 등장 배경: 주권 개념 너머의 권력을 향해
I. 연구의 주제 및 목적
II. 탈주권적 권력에 대한 최근의 모색
III. 본질로서의 근대 주권 개념
IV. 대화로부터 생성되는 권력
V. 맺음말: 대안적 권력모델과 새로운 정치
제3장 고대 그리스의 국제정치사상: 전쟁론, 정의론, 국익론
I. 서론: 근대적 “국제”개념의 한계와 고대 국제정치사상의 소환
II. 투키디데스의 전쟁론: 퓌시스와 노모스의 대화
III. 플라톤의 정의론: 개인, 국가, 세계의 연계성
IV. 아리스토텔레스의 국익론: 자연과 국제의 목적론적 일체성
V. 결론: 고대 국제정치사상과 21세기의 전쟁, 정의, 국익
제2부 지역연구 시각
제4장 아메리카 합중국과 동아시아 지역 아키텍처의 변환: 네트워크 국가론의 시각
I. 서론
II. 미국특색적 네트워크 국가체제와 국제질서 건설
III. 동아시아 지역 아키텍처의 진화: 차륜구조에서 복합 패치워크로
IV. 결론: 한국에의 함의
제5장 유럽통합의 위기와 네트워크 국가
I. 들어가며
II. 유럽연합의 위기 I: 유로존 위기
III. 유럽연합의 위기 II: 정치화(politicization)와 탈기능주의(postfunctionalism)
IV. 유럽연합의 위기와 통합의 분화
V. 유럽통합의 분화와 새로운 네트워크 국가의 등장?
VI. 마치며
제6장 동아시아 지역주의와 네트워크 국가: 제도적 균형의 성격 변화
I. 머리말
II. 동아시아 지역주의와 제도적 균형(institutional balancing)
III. 일본 주도 경제적 지역화와 아시아 외환위기의 계기
IV. 중일 간 포섭적 제도적 균형과 동아시아 지역주의의 진전
V. 미중 경쟁 시대 배타적 제도적 균형과 동아시아 지역주의의 정체
VI. 맺음말
제3부 이슈별 시각
제7장 불확실성 시대의 초국가적 난제와 네트워크 거버넌스
I. 서론
II. 신흥안보 위험의 부상
III. 신흥안보 시대의 협력 거버넌스
IV. 신흥안보와 네트워크 지식국가
V. 결론
제8장 지구적 가치 사슬의 변화와 네트워크 국가의 두 얼굴
I. 서론
II. GVCs와 세계 경제의 네트워크화
III. 상호의존의 양면성
IV. GVCs와 상호의존의 무기화
V. 결론
제9장 안보와 문화 영역의 국가변환: 문화네트워크와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디지털외교, 공공외교, 샤프파워
I. 서론
II. 안보-문화의 국가변환
III. 네트워크 국가의 이론: 소프트파워 vs. 매력
IV. 결론을 대신하여: 평가와 앞으로의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