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몽골 제국, 실크로드의 개척자들

몽골 제국, 실크로드의 개척자들

(장군, 상인, 지식인)

미할 비란, 요나탄 브락, 프란체스카 피아셰티 (엮은이), 이재황 (옮긴이), 이주엽 (감수)
책과함께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몽골 제국, 실크로드의 개척자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몽골 제국, 실크로드의 개척자들 (장군, 상인, 지식인)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중앙아시아사
· ISBN : 9791191432060
· 쪽수 : 520쪽
· 출판일 : 2021-04-30

책 소개

몽골제국 치하에서 가장 번성한 실크로드. 그 길을 일군 인물들의 파란만장한 일대기를담은 책이다.

목차

추천의 말 _ 이주엽

서론 _ 미할 비란, 요나탄 브락, 프란체스카 피아셰티

제1부 장군들

제1장 곽간: 중국과 서아시아 사이의 군사적 교류
제2장 바이주: 왕권 경쟁 한복판의 몽골 정복자
제3장 쿠툴룬: 몽골 치하 중앙아시아의 전사 공주
제4장 양정벽: 해상 실크로드를 통한 몽골의 팽창
제5장 사이프 앗딘 킵착 알만수리: 몽골과 맘룩 사이의 변절과 충성심
제6장 툭투카와 그의 후손들: 몽골 치하 원나라 군대의 지역 간 이동성과 정치적 음모

제2부 상인들

제7장 자파르 화자: 사이이드, 상인, 스파이, 그리고 칭기스 칸의 장군
제8장 보두앵 드 에노: 흑해 무역로를 개척한 외교 사절
제9장 자말 앗딘 앗티비: 아시아를 가로지른 이라크 상인
제10장 타이둘라: 기독교 상인을 후원한 금장 칸국 황후

제3부 지식인들

제11장 라시드 앗딘: 이란의 불교와 몽골 실크로드
제12장 부맹질: 몽골 치하 이란의 ‘중국 현자’와 실크로드의 천문과학
제13장 이사 켈레메치: 통역에서 아시아와 유럽 사이의 사절로
제14장 파드샤흐 카툰: 일 칸국 이란의 건축·종교·문학 후원의 사례
제15장 잘랄 앗딘 알아하위: 실크로드의 이슬람 학문

감사의 말
옮긴이의 말
연표
찾아보기

저자소개

이재황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동양사학과에서 공부하고 한국방송(KBS), 내외경제(현 헤럴드경제), 중앙일보 등에서 기자로 일했다. 역사와 언어, 문자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고 있다. 《한자의 재발견》, 《기발한 한자사전》, 《가장 빨리 외워지는 한자책》 등을 썼으며, 조선왕조실록을 재편집하고 우리말로 옮긴 《태조·정종본기》, 《태종본기》(전3권)를 비롯해 정인보의 《양명학연론》 교주본을 냈다. 《실크로드 세계사》로 제58회 한국출판문화상(번역 부문)을 수상했으며, 그밖에 《바다의 황제》, 《신의 기록》, 《로마 황제는 어떻게 살았는가》, 《아시아 500년 해양사》, 《기후변화 세계사》, 《지중해 세계사》 등의 영문서와 《맹자》, 《순자》 등 동양 고전을 우리말로 옮겼다.
펼치기
이주엽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을 전공하고 단국대학교와 토론토대학교에서 몽골제국사와 중앙아시아사 관련 논문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토론토대학교에서 유목민족제국사와 몽골제국사를 강의해왔다. 2017∼2018년에는 옥스퍼드이슬람학연구소(Oxford Centre for Islamic Studies)에서 객원연구원으로 재직했다. 여러 국제 학술 저널에 중앙아시아사 관련 논문을 다수 발표했으며, 《옥스퍼드 학술 백과사전(Oxford Research Encyclopedia)》의 집필진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몽골제국의 후예들》과 《카자흐 민족의 형성과 카자클륵: 포스트 몽골 시기 중앙유라시아의 국가와 민족 형성(Qazaql?q, or Ambitious Brigandage, and the Formation of the Qazaqs: State and Identity in Post-Mongol Central Eurasia)》이 있다. 2017년 《카자흐 민족의 형성과 카자클륵》으로 국제 중앙유라시아학계 최고 권위의 저술상인 CESS(Central Eurasian Studies Society) 도서상을 받았다.
펼치기

책속에서

서론
함께 읽든 떼어 읽든 이 글들은 중국, 이슬람 세계, 서방에 대한 몽골 제국의 영향을 주제로 한 어떤 토론에도 흥미로운 출발점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몽골 치하에서 나타났던 다면적 유동성과 문화 간 교류의 규모, 다양성, 함의를 생생하게 실증해준다.


제1장 곽간: 중국과 서아시아 사이의 군사적 교류
곽간의 원정은 몽골 치하 유라시아 일대의 군사 전문 지식과 전쟁 기술 이전을 탐구할 기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유형의 인공물들이 서아시아 및 유럽에 대한 중국인의 상상 속에서 한 역할과 그 지역들의 지리 및 정치에 대한 중국인의 지식 확대를 이야기해준다.


제3장 쿠툴룬: 몽골 치하 중앙아시아의 전사 공주
쿠툴룬은 또한 몽골과 여러 나라에서 매력적인 각본의 주제가 됐다. 이 몽골의 공주 장군은 자코모 푸치니(1858~1924)의 유명 오페라 〈투란도트〉(1924)에 영감을 주었다. 현대 몽골의 몇몇 소설에 주인공으로 등장하기도 했고, 넷플릭스 시리즈 〈마르코 폴로〉의 여주인공이 되기도 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