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데이터 사회의 명암

데이터 사회의 명암

이광석, 조현석, 윤상오, 김상민, 김동원, 김기환, 성욱준, 이은미 (지은이), 조현석 (엮은이)
  |  
한울(한울아카데미)
2017-08-31
  |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22,000원 -0% 0원 220원 21,7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데이터 사회의 명암

책 정보

· 제목 : 데이터 사회의 명암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46070172
· 쪽수 : 240쪽

책 소개

누군가는 ‘빅데이터’라고 칭송하는 이 데이터 과잉의 시대는 아직 인류가 답을 내리지 못한 윤리적·정치적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데이터 사회를 역사적·정치학적·사회학적·문화이론적·연구방법론적 시각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해결책을 찾아가는 방법을 제시한다.

목차

제1부 4차 산업혁명과 데이터 사회의 도래
제1장 데이터 사회와 데이터 주체의 형성_이광석
제2장 4차 산업혁명 시대 디지털 보호주의와 정책 대응_조현석

제2부 데이터 사회의 새로운 아젠다
제3장 데이터 시대와 데이터 윤리_윤상오
제4장 디지털 자기기록 시대의 데이터 주체성_김상민
제5장 플랫폼 담론과 자본 그리고 노동_김동원

제3부 데이터 사회의 새로운 기회들
제6장 데이터 활용, 어떻게 할 것인가?_김기환
제7장 빅데이터와 선거: 혁명인가, 유행인가?_성욱준
제8장 지능정보 사회와 비정형 데이터_이은미

저자소개

이광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테크놀로지, 사회, 생태가 상호 교차하는 접점에 비판적 관심을 갖고 연구, 비평 및 저술 활동을 해 오고 있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대학원 디지털문화정책 전공 교수이며, 비판적 문화이론 저널 《문화과학》의 편집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기술문화 연구, 커먼즈, 플랫폼, 기술 생태정치학, 자동화 사회 등에 걸쳐 있다. 《디지털 폭식 사회》, 《피지털 커먼즈》, 《포스트디지털》, 《디지털의 배신》, 《데이터 사회 미학》, 《데이터 사회 비판》, 《뉴아트행동주의》, 《사이방가르드》, 《디지털 야만》, 《옥상의 미학 노트》, IT development in Korea: A Broadband Nirvana?를 썼다. 직접 기획하고 엮은 책으로 《불순한 테크놀로지》, 《현대 기술·미디어 철학의 갈래들》,《사물에 수작 부리기》 등이 있고, 그 외 다수의 국내외 학술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광석의 다른 책 >
김상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기술, 미디어, 예술의 접점에서 관찰되는 다양한 (비)인간의 삶에 관심을 기울이는 문화연구자다. 조지메이슨대학교에서 문화연구 박사학위를 받고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객원교수로 일하고 있다. 《문화과학》 편집위원, 한국문화연구학회와 캣츠랩의 운영위원이다.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 《디지털 자기기록의 문화와 기술》, 《큐레이팅 팬데믹》(공저), 《서드 라이프》(공저), <사회적 참사와 사물의 정치>, <디지털 리터러시의 위기와 교양교육의 새로운 과제>, <신체, 어펙트, 뉴미디어> 등이 있다.
펼치기
김상민의 다른 책 >
김기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17년 현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행정학과 교수이다. 연세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인디애나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관심 분야는 정보화정책, 전자정부, 환경정책 등이며, 주요 저서로 『빅데이터와 위험정보사회』(공저), 『스마트시대의 위험과 대응방안』(공저), 『스마트지능정보시대 혁신을 위한 정책』(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윤상오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17년 현재 단국대학교 공공관리학과 교수이다. 한양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전산원(現 한국정보화진흥원) 선임연구원을 거쳤으며, 네브라스카주립대학교 Global Digital Governance Lab. 방문교수를 역임했다. 주요 관심 분야는 전자정부, 정보화정책 등이며 주요 저서로는『빅데이터와 위험정보사회』(공저),『빅데이터 시대의 기회와 위험』(공저),『스마트 시대의 위험과 대응방안』(공저), 『같은 방향, 다른 행로: 중앙부처간 갈등과 협력사례』(공저), 『정보통신기술과 행정』(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성욱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17년 현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교수이다.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주요관심사는 IT융합정책, 정책이론, 정책분석이며, 주요 논문으로는 “A Study of the Digital Divide in the Current Phase of the Information Age”, “An Empirical Study on Korea's Telecommunication Policy”, “The use of smart work in government: Empirical analysis of Korean experiences”, 저서로 『스마트위험사회와 정보정책』, 『빅데이터 시대의 기회와 위험』(공저) 등이 있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교수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박사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연구원 서울대·수원대 등 시간 강사 주요 저서 ·『빅데이터 시대의 기회와 위험』(2016) ·『스마트 시대의 위험과 대응 방안』(2016) 주요 논문 · A Study of the Digital Divide in the Current Phase of the Information Age(2016) · The use of smart work in government: Empirical analysis of Korean experiences(2016) · Effects of Internet Users’ Perception Regarding the Risks and Benefits of the Internet on Cyberspace Trust(2016) · 공공부문 빅데이터 정책 활성화 연구(2016) · The Effect of Smart Device Usage on Purchase of Online Fee-based Digital Contents (2016) · A Study of Cyberbullying Policies in the Smart Age(2016) · The Policy Advice on the G4B Enhancement(2015) · 와이브로(WiBro) 정책 사례 연구(2014) · 스마트시대 정보리터러시와 정보격차에 관한 연구(2014) · 게임 셧다운(shutdown)제 정책이 청소년의 게임사용시간에 미치는 효과 연구(2014) · 미디어렙(Media Representative) 입법 과정에 관한 연구(2014) · 정책지지연합모형(ACF)을 통한 인터넷 제한적 본인확인제 정책과정에 대한 연구(2014) · 공공부문 스마트워크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2013) · 개인정보보호법 입법과정에 관한 연구: 정책흐름모형을 중심으로(2013) · 스마트시대 정보보호정책에 관한 연구(2012)
펼치기
성욱준의 다른 책 >
김동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10년 <한국방송산업의 유연화와 비정규직의 형성>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공공미디어연구소 연구팀장, 전국언론노동조합 정책국장, TBS 방송정책자문관을 거쳐 2020년부터 전국언론노동조합 정책협력실장으로 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방송영상과에서 시간강사를 겸직하며 미디어노동운동과 미디어 연구를 병행하고 있다. 『저널리즘 모포시스』 『한국의 언론과 언론운동 성찰』 『지역방송 리-디자인』 등을 공동 저술했고, 『크레디토크라시』를 함께 번역했다.
펼치기
이은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17년 현재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전문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이화여자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관심 분야는 정보화정책, 의사결정론, 도시·지방행정 등이며, 주요 저서로 『빅데이터 시대의 기회와 위험』(공저), 『스마트지능정보시대 혁신을 위한 정책』(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오늘날 데이터 생산에서 가장 크게 달라진 측면은, 국가가 전통적으로 관리하는 대국민 정보의 범위를 넘어서는 정제되지 않는 대중 의식과 감정의 흐름(정동, affect)이 데이터로 생산되는 것이다. 특히 감정과 욕망의 흐름을 즉각적·즉자적으로 데이터 공간에 배설하거나 서로 속닥거리고 주고받음으로써 생성되는 비정형 데이터들이 과거 인류 문명의 족적만큼이나 거의 매일 디지털 공간에 배출된다. 게다가 매일매일 계속해서 자동적으로 생성되는 ‘신체기록’(life-logging) 등 인간들 개개인이 배출하는 생체 정보들의 양산 또한 우리가 다룰 수 있는 데이터 스케일을 넘어선다. _ 1장 데이터 사회와 데이터 주체의 형성


한국도 2015년 12월 한국-EU 자유무역협정의 발효에 맞추어 개인정보보호 레짐(regime)의 조화를 위한 여러 가지 노력을 하고 있다. 행정자치부 주관의 ‘EU 개인정보 보호 수준 적정성 평가’가 대표적인 예이다. 그렇지만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국제 규범은 형성 중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규범 형성에 우리의 입장을 투입하는 노력이 중요하다. 최근 국회를 중심으로 ‘한국판 프라이버시 실드’를 만들자는 논의가 제기되고 있다. 이것은 국내적 입법으로만 가능한 것이 아니고 미국이나 EU와의 협상이 필요한 외교적 사안이다. 외교부 중심으로 필요성, 방향, 구체적인 내용에 관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_ 2장 4차 산업혁명 시대 디지털 보호주의와 정책 대응


법과 제도를 통한 대처에는 한계가 있다. 법·제도는 기술발전을 따라갈 수 없고 지체 현상은 필연적이다. 법·제도가 다양한 분야에서 발생하는 수많은 문제들을 다 포괄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법과 제도가 담당하는 영역은 필요 최소한의 필수적인 영역이 될 수밖에 없으며, 나머지 부분은 결국 윤리의 영역으로 남게 된다. 우리는 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하고 활용하기에 앞서 필연적으로 그것이 초래할 부작용과 문제를 살펴야 하고, 이것을 방지하기 위한 논의를 활성화시키고 안전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그것은 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시대에 필수적인 윤리 문제이다. _ 3장 데이터 시대와 데이터 윤리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