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91638028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1-07-30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들어가며
Chapter Ⅰ. 유치원 교사, 그리고 학부모
1. 드디어 교사가 되다
유아교육과 입학, 그리고 졸업
설렘 뒤에 숨어 있는 감정의 실타래
이상적인 유치원 교사상
발령 전에 말로만 들었던 유치원 현장
아직도 유치원 현장은 따뜻하다
그러나 이것만큼은 피하고 싶다!
유치원 교사에게 필요한 역량
* 소통을 위한 마음 살피기 : 유치원 교사의 정체성을 말한다
2. 학부모를 만나다
교사에게 힘을 주는 학부모
교사를 힘들게 하는 학부모
부모란? 나도 부모가 처음이야!
학부모의 욕구를 들여다보다
가깝고도 먼 교사와 학부모 사이
4가지 유형으로 보는 학부모
동반 성장을 위한 소통
* 소통을 위한 마음 살피기 : 학부모의 불안을 잠재우는 격려의 메시지
Chapter Ⅱ. 소통으로 함께 성장하자
1. 소통을 막는 내부 요인
유치원 교사로서의 욕구
교사 역할이 주는 압박
무조건 수용하는 태도
경청 피로감
교사 안의 권위주의
학부모에 대한 고정관념
감정과 이성의 불균형
2. 소통을 막는 외부 요인
일상적 소통의 어려움
정기적 상담에서 소통의 어려움
* 소통을 위한 마음 살피기 : 학부모 상담 전에 걱정과 불안이 느껴진다면
3. 소통에 앞서, 이것부터 챙기자
유연한 나를 만드는 전략
학부모와의 관계 유지 전략
유아와의 관계 형성 전략
4. 학부모 유형에 따른 소통 방법
신뢰형_교사와 교육기관을 신뢰하는 학부모
부정형 Ⅰ_교사나 교육기관에 부정적인 시각을 가진 학부모
부정형 Ⅱ_자신의 아이를 교사가 싫어한다고 생각하는 학부모
과잉형_자녀를 과잉보호하는 학부모
방임형 Ⅰ_자녀의 잘못된 행동을 통제하지 못하는 학부모
방임형 Ⅱ_개인적인 문제로 자녀 양육이 어려운 학부모
* 소통을 위한 마음 살피기 : 상대의 마음을 보면 답이 있다
Chapter Ⅲ. 학부모 상담으로 소통의 달인이 되자
1. 정기적 학부모 상담, 왜 필요할까
2. 학부모 상담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생각
교사에게 학부모 상담이란
학부모에게 교사와의 상담이란
3. 학부모 상담의 유형
대면 상담
비대면 상담
상담에 앞서 고려할 점
4. 유치원 학부모 상담의 실제
시작이 반, 계획부터 꼼꼼하게
유아에 대한 정보 수집
따스하고 세심한 관찰
교사 스스로 자가 점검하기
차근차근 상담 진행하기
상담, 그 후가 더 중요하다
* 소통을 위한 마음 살피기 : 학부모 상담 시 유의해야 할 5가지
Chapter Ⅳ. 슬기롭게, 유치원 학부모 고민 해결
편식이 심해요•유치원에서 멍이 들어서 왔어요•자꾸 소변 실수를 해요
왼손으로 글자를 써요•손톱을 심하게 물어뜯어요•자기 성기를 만져요
이야기할 때 눈을 피해요•아이가 나쁜 말을 해요
다른 사람 말을 듣지 않고 자기 말만 해요•또래에 비해 발음이 정확하지 않아요
책 읽기를 싫어해요•쉼 없이 말을 해요•말이 너무 느린 것 같아요
유치원에 가기 싫다며 울어요•친구의 행동을 무작정 따라 해요
자기만의 스타일을 고집해요•친구에게 먼저 다가가지 못해요•심하게 떼를 써요
너무 부끄러움이 많아요•동성 친구랑만 놀아요
말을 잘 안 듣고 고집이 세요•친구가 자기를 싫어하고 때린다고 해요
* 소통을 위한 마음 살피기 : 감정은 마음의 나침반
나오며
저자소개
책속에서
학부모는 현재 불안과 걱정, 희망과 기대가 하루에도 몇 번씩 뒤바뀔 수 있는 시기에 놓인 상황이라는 것을 염두에 두고 대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학부모의 불안함을 잠재우기 위해 “불안해 하지 않으셔도 돼요.”라는 직접적인 메시지를 주는 것보다 “지금 주어진 상황에서 잘하고 계신 것 같아요. 응원합니다.”와 같은 동반자로서의 응원과 격려의 메시지가 훨씬 효과적이다. 그리고 이런 격려의 메시지가 효과를 발휘하려면 그 안에 진정성을 담아야 한다. 진심으로 학부모의 상황과 애씀을 공감하고 격려해 준다면 교사와 학부모 사이에 강한 신뢰가 형성되면서 비로소 격려의 메시지가 학부모에게 오롯이 전달될 것이다
-「유치원 교사, 그리고 학부모」중
누구에게나 자신을 보호하고 싶은 마음이 있다. 교사와 학부모의 관계에서도 예전 경험들 중 안 좋았던 기억들이 먼저 떠오르고 잘 잊혀지지 않는 것은,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한 심리적인 방어가 잘 작동되고 있는 것으로 여기면 된다. 따라서 학부모 상담 주간이나 기타 학부모 민원의 상황에서 미리부터 걱정과 불안이 느껴진다면, 이미 자신의 마음은 무의식중에 대응할 준비를 끝냈다고 생각하고 이제 실제 행동이 필요한 것이라고 판단하면 된다. 불안함과 걱정이 생길 때는 그 문제 상황에 대비하여 미리 준비를 할수록 진정 효과가 생긴다. 학부모 상담 신청서나 사전 조사를 통하여 예상되는 문제들을 미리 고민해 보고 관련 자료들을 찾아 놓는 것도 효과적이다.
-「소통으로 함께 성장하자」중
간혹 가정에서의 도움이 필요할 것이라고 판단하여 교사가 학부모에게 가정 상황에 대해 묻거나, 양육 방향에 개입하고 조언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학부모 쪽에서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라고 물어 오기도 전에 먼저 나서서 양육 방식에 대해 조언하는 것은 삼가는 것이 좋다. 조언하는 내용이 맞고 틀리고를 떠나서, 신뢰 관계가 돈독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원치 않는 충고나 조언이 두 사람의 관계를 훼손하는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유아의 지도를 위해 가정에서도 도와주어야 하는 부분이 있다면, 행동 서술을 통해 구체적으로 요구해야 한다.
-「학부모 상담으로 소통의 달인이 되자」중